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서조절 관점에서 본 불성사상 (The Buddha-nature Thought Reviewed ; From the Perspective of Emotional Control)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6.09
30P 미리보기
정서조절 관점에서 본 불성사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27호 / 355 ~ 384페이지
    · 저자명 : 전여정

    초록

    오늘날 부적절한 정서표출로 인해 각종 사회문제들이 부각되면서 정서조절을 위한 다양한 방안 마련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는 심리학에서 밝히는 정서조절의 의미와 방법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불성사상이 정서조절을 위한 수단으로써 활용 가능한지에 대한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우선 정서가 무엇인지를 설명하는 정서의 정의를 살펴본 후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 두 범주로 구분하면서 각 범주에 속하는 정서들의 특징과 정서목록을 제시해 보았다. 정서는 무엇 때문에 조절될 필요가 있으며 그 방법론은 무엇인지에 대한 내용도 검토했다. 무엇보다 불성사상은 인지적 방법론을 통해 정서조절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는 점은 특기할 만한 사항이다.
    『불성론(佛性論)』에서 밝히는 불성의 교설목적은 불성사상이 효율적인 정서조절을 위한 방법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이론적 근거이다. 『불성론』에 의하면 불성에 대한 바른 이해는 오종과실(五種過失)을 제거시키고, 오종공덕(五種功德)을 생성시킨다. 이 사실은 심리학에서 밝히고 있는 정서조절의 목표와 다르지 않다. 심리학에서의 정서조절은 부정적 정서를 감소시키고 긍정적 정서의 증대를 목표로 한다. 오종과실의 제거는 부정적 정서의 감소와, 오종공덕의 생성은 긍정적 정서의 증대로 각기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그러므로 불성사상은 부정적 정서를 감소시켜 주고 긍정적 정서를 효율적으로 증대시켜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정서조절을 위한 방법으로써의 유용성을 갖는다. 이 연구는 불성사상을 기반하여 치유적 접근을 하기 위한 방법론 모색을 위한 기초연구로서의 역할이 기대된다.

    영어초록

    Today, as various social problems are highlighted due to the inappropriate emotional expression, there is an imminent need to prepare diverse measures for the emotional control. This study reviewed the possibility regarding whether the Buddha-nature thought is available as the means for emotional control based on the understanding about the meaning and methodology of emotional control suggested by the psychology. First of all, after investigating the definition that explains an emotion, it tried to suggest the characteristic and list of emotions that fall into each category with the introduction of two categories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Additionally, it examined the necessity of emotional control and the content about an important process recognition. Above all, it is remarkable that the Buddha-nature thought performs the function of emotional control through the cognitive methodology.
    The teaching purpose of the Buddha-nature revealed by The Buddha-nature Theory(佛性論) is the very theoretical basis demonstrating that the Buddha-nature thought is capable of functioning as the method for the effective emotional control. According to this theory, the right understanding regarding the Buddha-nature abolishes the effects of five misconducts(五種過失) and creates the effects of five merits(五種功德). This fact is not different from the goals of emotional control which psychologists know. The latter purposes to reduce the negative emotion and enhance the positive one. Therefore, in theory, the elimination of the effects of five misconducts accords with the reduction of the negative emotion, and the creation of the effects of five merits does with the increase of the positive one. Consequently, the Buddha-nature thought is largely useful as the method of emotional control owing to its capability of decreasing the negative emotion, and effectively fostering the positive one.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such a basic research as searches the methodology for the therapeutic approa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