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물질문화 관점으로 본 고려청자 (Goryeo Celadon Understood from the Material Culture Perspectiv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6.11
26P 미리보기
물질문화 관점으로 본 고려청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와 시각문화 / 18호 / 154 ~ 179페이지
    · 저자명 : 장남원

    초록

    고려시대 청자에 대한 연구는 가마터나 유적출토품을 중심으로 제작기술과 편년을 탐구하여 많은 성과를 축적했다. 또 기종이나 문양, 명문자료 등을 통해 편년을 비정하고 조형적 특성을 추출하여 중국과의 관계나 자체 변화과정 등을 살피는 데 주력했다. 나아가 유통과정을 보여주는 선박의 발견과 인양은 도자사 연구는 물론 문화사 탐구에서 많은 자료와 의미를 구체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고려시기 중국과 일본에서는 이미 자기를 수집하고 다루는 전문인들이 등장하고 자기로 번안된 고대 기물들이 다른 목적으로 소비되기도 했다. 서적과 출판물, 기물 목록 등을 통해 물질로서 기능했던 자기의 여러 측면을 보여준다. 고려역시 전에 없던 기종으로 구성된 청자들이 만들어지고 새로운 도구로서 발달하기도 했는데, 그 과정에서 본래의 의미나 용도에서 나아가 취향의 대상이 되거나 물질적 가치를 부여받게 되기도 했다. 실내 진설(陳設, 진열)에 활용되고 재화적 교환가치를 갖게 되면서 매매되거나 예물이 되기도 하였다. 물건의 문화적 속성에주목하면서 인간과 물질 사이의 상호관계를 탐구하는 것이 물질문화 연구라고 할때, 고려를 대변하는 물질문화적 텍스트로서 청자의 의미는 크다.
    가마터를 조사해보면 기종이 급증하고 질이 다양해지는 12-13세기 전국의 요장들은 앞다투어 청자를 만들어냈고 그중에서도 강진과 부안은 개경을 비롯한 주요 소비처의 청자를 공급하고 있었다. 기록과 자료에 나타난 자기의 진설과 감상, 차와 향 문화의 발달에 따른 기물의 세트구성, 부장용 자기에서 보이는 함축적 의미, 다양한 취향의 발달이 이미지화되어 청자로 소비된 과정을 유추할 수 있었다. 흥미롭게도 고려인들은 스스로 청자에 대해 “비색(翡色)”이라는 명칭을 부여했고, 이에 대해 송(宋)·원(元)시기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무역과 예물 등으로 전해진 고려청자에 대해 명품으로 인식하거나 또는 수집 대상으로서 가치평가의 대상으로 거론되곤 했다. 청자를 지칭하던 다양한 개념어와 다양한 기종에 대한 물명(物名)이 정착되고 있어 이미 고려 당시부터 청자가 여러 갈래의 활용과정을 통해 타자화(他者化)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같은 기종 내에서 보이는 크기 차이와 변화, 청자로 번안되는 과정에서 분리되는 청동기와의 역할 분담, 동시대 다른 물질로 만든 기물들과 비교되는 재화적 가치 등에 대한 구체적 사례들이 밝혀진다면 그 정황은 더 분명해질 것이다.

    영어초록

    The study on celadon produced during the Goryeo dynasty, which is based on the close examination of kiln sites and archaeological finds to identify technique and chronological dates, has earned many achievements in academia. The approach to the dating of Goryeo celadon includes comparative studies of its models, motifs, and any inscriptions on celadon. By extracting formative features from such approach, the study has focused on exploring Goryeo celadon’s own evolution or the relationship with China. The discovery and the salvage of a shipwreck, which could be the evidence for the extensive trade of ceramics at that time, also enabled a number of data and its meaning to become concrete in the studies of cultural history as well as ceramic history.
    Already in medieval China and Japan, contemporary with the Goryeo period, collectors and experts in celadon emerged, and a ceramic adaptation of ancient objects resulted in the consumption of celadon for other purposes. Written records such as books, publications and lists of ceramic objects suggest many aspects of celadon wares functioned as material objects. Goryeo celadon, too, was re-modelled and developed as a new type of utensil that had never existed before, which consequently allowed it to re-identify itself as an object of taste and to acquire new material value in addition to its original meaning and function. Goryeo celadon wares were also used for table arrangement and frequently regarded as goods for sale or diplomatic gifts, as they gained exchange value as commodities. Considering that the study of material culture centers upon cultural facets of a thing and understands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people and their objects, Goryeo celadon is therefore significant as a material culture text, for it reflects the Goryeo period.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of kiln sites, the twelfth and thirteenthcentury kilns in the Korean peninsula competitively manufactured celadon, and these periods saw the diversity in celadon models and their qualities. Kilns in Gangjin and Buan, in particular, were two of the largest cities that supplied celadon to other major consumer cities including Gaeseong. It could be inferred by written records and materials that the process of celadon consumption is the visualized results of contemporary cultural phenomenon such as the use of celadon for table arrangement and contemplation, the admiration of tea sets and incense burners parallel with the growth of tea and incense culture, connotation in burial ceramic objects, and the development of diverse tastes. Interestingly, Koreans referred to their celadon wares as “jadecolored( 翡色)”, and Goryeo celadon was thus regarded as a masterpiece and appraised as a collectable item in the Song and the Yuan China or in Japan in which Goryeo celadon had been introduced through trade and gift. It is notable that, already in the Goryeo period, the use of various names and terms indicating Goryeo celadon and each model as well as a wide variety of use of Goryeo celadon made celadon itself “the other”. If more specific cases – for example, with regard to the size difference and change in the same celadon model, the function of newly adapted celadon separated from that of original bronze wares, and its commodity value distinctive from other objects at that time – are explained, it will be more promising to clarify such circumstan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