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安東權氏成化譜』를 통해 본 조선 초기 여성의 再嫁 문제 (Genealogical Record of Andong Kwon Clan (Chenghua Era Genealogy) and the Remarriage of Women in the Early Period of Choson Dynasty)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1.06
34P 미리보기
『安東權氏成化譜』를 통해 본 조선 초기 여성의 再嫁 문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57호 / 39 ~ 72페이지
    · 저자명 : 이남희

    초록

    이 글에서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족보 [안동권씨성화보](1476년, 성종 7)에 나타난 부녀자들의 재가 기록과 분포, 그리고 그것이 갖는 사회적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고 있다. 이를 통해서 조선 초기 족보와 여성의 사회적 지위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검토해볼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성화보에서는 딸의 이름 대신에 사위의 성명을 적고 있다. 딸의 자리에 ‘女夫’를 적었다. 또한 初室, 中室, 後室, 三室 등을 註記하여 혼인 형태에 대해 밝히고 있다. 아울러 자기 딸이 낳은 외손만을 기록했다. 재가할 경우, 남편을 ‘後夫’라 하고 이름을 적었다. 앞서의 註記가 남편 쪽 입장에서 嫁女의 혼인 형태를 적은 것이라면, 후부는 嫁女의 입장에서 남편과의 혼인 형태를 말해주는 것이다. 첫 번째 남편은 前夫, 先夫라 칭했다. 후부는 여부와 같은 線上에 기재하고 있다.
    후부 기록은 14세 廉悌臣부터 21세 權自均에 이르기 까지 모두 17건 기록되어 있다. 세대별 재가 기록을 보면, 대부분은 고려 말을 중심으로 건국 초기의 그것이었으며(13건), 성화보 편찬이 이루어진 조선 초기에는 4건에 지나지 않는다. 또한 성화보에 수록된 3,265명(친손, 외손 포함)의 부녀자 중에서 17명만이 재가, 전체 여성 인원 대비 재가율은 0.5% 정도에 그친다. 천 명 중 5명 정도로 낮은 재가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수록된 인원에 비해 후부 기재 건수가 적지 않는가 하는 의문을 제기해보았다.
    건국과 함께 조선 사회에서는 유교화 과정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하지만 재가와 삼가가 현상적으로 존재하고 있었다. 성종 8년(1478) 조정에서의 논의가 그것을 말해준다. 재가가 행해지고 있었지만, 점차로 비판적이고 부정적인 견해가 강해졌던 듯하다. 양반 가문들 사이에서는 그런 추세가 더 강했을 것이다. 그런데 양반 부녀자의 재가 금지와 재가녀 자손의 문무과 생원진사시 등 과거시험 응시를 제한하는 [경국대전]의 법제화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재가를 법제적으로 규제하기 시작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성화보는 고려 말 조선 초라는 변혁기, 다시 말해서 유교적인 사회질서가 굳어져가는 과도기적인 양상을 말해주는 족보라 하겠다. 재가 기록이 17건이 보이지만 대부분 고려 말의 그것이었다. 재가 기록의 신뢰도에 대해서 의문을 던져보는 것 역시 필요하겠다. 재가 사실을 그대로 다 기록해야 할 당위는 없었을 것으로 여겨지며, 편찬 과정에서 누락되었을 개연성도 배제할 수 없을 것이다. 이후의 족보에서 後夫라는 용어 자체가 사라지고, 성화보에 수록된 후부와 그 가계가 이후 간행되는 안동권씨 족보에서 사라지는 것 역시 그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focuses on the records and distributions of remarriage of women in the Genealogical Record of Andong Kwon Clan(Chenghua Era Genealogy, 1476) which is the oldest Genealogical Record in the Korean history. It will show us an important aspect of the Genealogical Record and the social position of women of the Early Period of Choson Dynasty.
    Chenghua Era Genealogy recorded the name of son-in-law instead of daughter's name, wrote "Yobu"(女夫, daughter's husband) at the position of daughter. And it added the type of marriage such as the first, second and third marriage. If the son-in-law had another wife, it recorded only the daughter's children. In the case of remarriage, it recorded the husband as "Hubu"(後夫, later husband) and his name. We can see the record of Hubu from 14th generation, and 17 cases of records of Hubu in the Chenghua Era Genealogy. the record of Hubu from 14th generation. There are only 4 cases at the Early Period of Choson Dynasty. Compared to the number of women of Chenghua Era Genealogy, it can be said to be too little.
    There was a grand social change, in other words the Confucian Transformation from Korea dynasty to Choson Dynasty. At the same time, there were many cases of remarriage and third marriage. The debate of Government(1478) shows the phenomenon of remarriages and third marriages. But it seems that the critical and negative view on the remarriages gradually has become stronger, especially among the ruling class, i.e. Confucian-oriented Yangban clans. And the prohibition of women's remarriage and restriction of their son's getting job at the Government at the law of Gyeongguk Daejeon(1485) was an important and critical turning point. It means the social and legal discrimination of remarriage of women at Choson Society and Government.
    Chenghua Era Genealogy is a good material which shows the change and transition from Korea dynasty to Choson Dynasty, and the aspects of transition from Buddhist social order to the Confucian social order. The most part of the records of remarriage was those of the later Kore dynasty. It is necessary to doubt the reliability of the Genealogical Record. Basically Choson Society does not evaluate the remarriage, so there was no reason to record the fact of remarriage. And after, we can not see the Hubu of Chenghua Era Genealogy, at the Genealogical Records of Andong Kwon Clan, and can not find the word of Hubu itself at Genealogical Recor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