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볼르노의 인간학에서 본 종교와 교육의 관계성 고찰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Religion and Education from Bollnow’s Anthropology)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20.05
29P 미리보기
볼르노의 인간학에서 본 종교와 교육의 관계성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천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실천 / 69호 / 551 ~ 579페이지
    · 저자명 : 한상진

    초록

    2차 대전 이후, 독일의 교육학적 저서들 속에서 인간학적 고찰 방법 혹은 인간학적 전망에 대한 논의가 새롭게 대두되고 있다. 특히, 자연과학자이며 철학자이고 교육학자인 볼르노(O. F. Bollnow)는 인간학적 개념 속에서 자연과학적 측면보다는 정신과학적이고 종교학적 측면에서 인간의 본질 자체를 고정적으로 정의하려는 유혹을 넘어서서, 규정할 수 없는 존재로서의 인간 본질을 피력하였다. 인간학이라는 일반적 개념을 교육학에 적용하면 다양한 현상들을 관찰할 수 있다.
    첫째, 교육학 역사나 정신사를 보는 관찰 방법이 있는데, 이것은 과거의 위대한 교육학자나 혹은 시대 정신의 인간관을 다루는 방법이다. 이런 인간관을 중심으로 해서 그들의 사상에 전체를 통일적으로 이해하려는 것이다. 이를 볼르노는 인간관 혹은 인간성이라고도 표현한다.
    둘째, 인간에 관한 특수 과학들을 종합한다는 의미에서 교육학적 인간학은 과거 심리학이 가지고 있는 한계를 극복하려는 종합 학문이다. 이러한 방식은 교육학적 관점 아래서 인간에 관하여 밝혀낸 다양한 인식들을 인간의 삶 전체 속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셋째, 철학적 인간학을 교육학에 적용하는데 있어 교육학적 인간학보다는 볼르노와 그의 제자 로흐는 인간학적 입장에서 교육이라는 표현보다 교육학에 있어서 인간학적 고찰 방법이라고 규정한다. 넷째, 인간의 삶은 비정초적이고 심연적인 차원에서 뿌리를 내리고 있기 때문에 측량될 수 없고 해명될 수 없는 인간의 존재성을 종교 과학적 측면에서 성(聖)스럽게 말한다.
    마지막으로 인간의 삶의 영역들과 마찬가지로, 교육적 현실과 그것을 다루는 교육학에 다양한 이론들은 철학적, 인간학적, 종교학적 원리의 근거 하에 인간에 대한 전체적 이해를 위한 우리 시대에 개방된 질문으로 미래의 유산으로 남겨진 난해한 과제이다.

    영어초록

    After World War II, a new discuss of anthropological considerations or anthropological perspectives has emerged in German pedagogical writings. Expecially, O. F. Bollnow, who was natural scientist, philosopher and educator, expressed human essence as an undefinable being in psychiatric and religious terms rather than natural science in anthropological concepts. If we apply general concept of anthropology to pedagogy, we can observe various phenomena.
    First, there is a method of observation that looks at pedagogical or psychiatric history, which is a way of dealing with great pedagogue in the past or human view of the spirit of the times. With this view of human beings, they are trying to understand the whole of their ideas. Bollnow described this as the view of human being or humanity.
    Second, pedagogical anthropology is a comprehensive study that tries to overcome the limit of past psychology in the sense of synthesizing special sciences about human beings. This approach seeks to understand the various perceptions of man from the point of view of pedagogy throughout human life.
    Third, in applying philosophical anthropology to pedagogy Bollnow and his disciple Roch defined pedagogical anthropology as the anthropological consideration in pedagogy rather than education in view of anthropology.
    Fourth, human being unmeasurable and unexplainable is holy in view of religious science because human life is rooted at an indefinite and abysmal level.
    Finally, as in the realms of human life, the various theories of pedagogy are difficult tasks remained as future property for a holistic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based on philosophical, anthropological and religious principl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실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