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나철 친필본’을 통해 본 나철 사상의 일면 (Aspects of Na Cheol’s Thoughts Through his Handwritten Texts)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9.08
45P 미리보기
‘나철 친필본’을 통해 본 나철 사상의 일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주대학교 한국고전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공존의 인간학 / 2호 / 57 ~ 101페이지
    · 저자명 : 정욱재

    초록

    본고는 근래에 발견되어 나철의 친필 유서로 공인된 ‘나철 친필본’ 을 주요 자료로 이용하여 나철 사상의 일면을 탐색하였다. 나철은 19세기 중엽 호남의 한미한 집안에서 태어나 성리학과 과거 공부를 병행하였다. 그는 근대 이행기에 크게 두 번의 만남을 통하여 인생의 행로를 바꾸게 되는데, 첫 번째는 김윤식을 만나서 동도서기론적 개화사상을 지닌 개신유림으로 활동하였다. 두 번째는 일본 제국주의에 의해 대한제국의 명운이 다하는 시기에 나철은 ‘백봉교단’을 만나 경전류를 전수받으면서 대종교를 개창한 일이다. 즉 나철은 종교사상가로 각성하여 ‘단군’을 민족의 시조이자 종교적 대상으로 재발견하였다. 나철에 의해 개창된 대종교는 독립운동의 정신적 구심점이 되었다. 민족독립운동사에서 큰 위치를 차지하는 나철과 대종교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축적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기존 연구는 대종교를 “민족 종교를 표방한 독립운동 단체”로 간주하고 주로 민족독립운동사적 관점에서 연구했다. 나철에 대한 개인 연구 역시 그런 토대 위에서 이루어졌다. 그러나 역사학계에서는 나철과 대종교 연구에서 중요한 사상이나 종교 자체에 대한 접근은 소홀히 다루어졌다.
    나철의 사상 연구에 한정을 한다면, 나철의 사상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준 ‘백봉교단’에 대한 연구는 사실상 전무하다. 최근에 백봉 자료가 수집ㆍ정리되어 그동안 학계 일부에서 허구의 인물 내지 가상의 교단으로 여겨졌던 ‘백봉’과 ‘백봉교단’이 역사적으로 실존하였다는 것이 밝혀졌다. 즉 대종교 중광을 전후한 시점에 ‘백봉교단’의 방대한 경서류가 초기 나철의 대종교단에 전해졌으며, 저술 주체도 나철의 대종교와 전혀 상이한 대상이라는 점이 확인된 것이다. ‘백봉교단’의 실체와 자료는 나철의 사상 형성 과정 및 사상 자체를 재검토해야 하는 당위성을 준 것이다. 또한 대종교 교주로서의 나철의 사상을 온전히 파악하려면, 근래에 발견된 ‘나철 친필본’을 비롯하여 나철의 문헌을 수집ㆍ정리하여 사료 비판을 철저히 해야 한다. 아울러 나철을 바라보는 관점도 역사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일부 연구는 나철을 도통한 도인이나 종교적 성인으로 보는 시각이 전제된 까닭인지 주 논조가 호교론적ㆍ찬양적인 성격을 담고 있다. ‘나철 친필본’을 비롯하여 나철의 직접 남긴 언설들은 시대적 산물로 생각하여 당시의 맥락과 상황에서 학문적으로 분석ㆍ검토하고 비판해야 한다. 그래야 박제된 성인의 이미지가 아닌, 역사 속에 살아 있는 나철의 사상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Na Cheol, a Confucian scholar born in mid-19th century from a mediocre family in Honam, had two major encounters that changed the course of his life. The first encounter with Kim Yoonsik turned Na Cheol into a Reformist Confucianist, and the second encounter with the Order of Baekbonggyo (the Baekbonggyodan) at the end of the Daehan Empire had taught him a series of religious texts and classics, eventually providing him the foundation for the new religion of Daejonggyo. Na Cheol, after becoming a religious thinker, rediscovered the Dangun as the ancestor of the Korean people and religious figure, and new religion of Daejonggyo eventually turned into the ideological center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this context, there has been myriads of studies on Na Cheol and his new religion, as they hold important position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s; however, as the previous studies regarded the order of Daejonggyo as “independence movement group professing as a nationalistic religion”, focusing on its aspects as part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s, many studies on Na Cheol himself were also based on such preconditions. Approaches to the founder, his thoughts, and his religion itself, were therefore less studies by the historians. Other academic communities, such as religious studies, have approached the Daejonggyo from different point of view, but as explained in this article, studies on Na Cheol’s ideas and thoughts derailed from the historical facts.
    Collection of basic documents on Na Cheol and the Daejonggyo has been relatively neglected until now, and there rarely has been any studies on the Order of Baekbonggyo that immensely affected the modern religion. Recent collection and review of the documents on the Baekbonggyo has proven the existence of the Baekbong and the Order of Baekbonggyo, which had once been regarded as fictional by some members of the academic community. In other words, as it has been identified that vast collection of religious texts and classics by the Order of Baekbonggyo was delivered to the new group of Daejonggyo right before or after the Junggwang (Re-enlightenment) ceremony, and the collection was written by the group of people who had otherwise no relationship with the Daejonggyo, the proof on the existence of the Baekbonggyo necessitates overall re-validation on the establishment of Na Cheol’s thoughts themselves. In order to thoroughly understand ideas of Na Cheol as the leader of the Daejonggyo, his texts, including the recently discovered Handwritten Texts, shall be collected, reviewed, and criticized as genuine historical records. In addition, Na Cheol himself shall be viewed as a historic figure. Despite some studies that views him as an enlightened saint, his words and texts (including the Handwritten Texts), as the product of the period, shall be subject to academic analysis and criticism, in the context and condition of the era. Only by viewing Na Cheol as a man who lived throughout the turbulent history, not as a religious saint, his ideas will be understood proper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존의 인간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