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불교총보의 전개 양상과 시론(時論)의 지향성 (The Developmental Patterns and Orientation of the “Journal of Joseon Buddhism Collectanea”(朝鮮佛敎叢報))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21.06
29P 미리보기
조선불교총보의 전개 양상과 시론(時論)의 지향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각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대각사상 / 35호 / 161 ~ 189페이지
    · 저자명 : 김종진

    초록

    『조선불교총보(朝鮮佛敎叢報)』(총22호, 1917.3∼1921.1)는 삼십본산연합사무소에서 발행한 기관지로, 3.1운동 직전에 종간한 만해의 『유심』을 제외하면, 3.1운동 전후에 걸쳐 간행된 유일한 불교계 잡지다. 이 잡지는 친일인사들이 포진한 불교옹호회(佛敎擁護會)와 직간접적인 관련을 맺으며 출발했으나, 잡지의 후반기에 당시 신진 불교 지식인이 다수 포함된 조선불교회(朝鮮佛敎會)와 불교청년회(佛敎靑年會) 소식에 지면을 할애하면서 새로운 불교운동의 모태가 된 점은 특기할 만하다. 여기에는 3.1운동 이후 불교계에서 자생한 문화적 실천운동의 움직임이 잡지를 통해 표출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조선불교총보』는 기본적으로 이능화를 중심으로 한 불교 지성인들의 학술 연구 결과가 축적된 학술적 교양 잡지다. 본고는, 학술적 성과를 고찰하기 전에, 이 잡지에 대한 최초의 연구로서 잡지의 지향성을 시론(時論)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시론에는 잡지 발행인과 연합사무소 위원장의 정치 행보가 고스란히 드러나 있는데, 여기에 담긴 그들의 보수적이고 반동적 목소리는 잡지 자체의 구성과 문체의 보수성으로 이어진다. 이는 이능화의 보수적인 문화 인식, 감각의 한계이며, 시대의 억압이 동시에 작용한 결과다.
    『조선불교총보』에는 그 시대의 불교학을 바라보는 중앙학림 교수 박한영과 일본 유학생들의 상이한 시각이 고스란히 노출되어 있다. 김정해 등 신진 유학생들은 종교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기하고 총독부가 제정한 사찰령(寺刹令)에 근거한 삼십본산(三十本山) 제도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등 새로운 목소리를 내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조선불교총보』의 후반기에는 일본에서 귀국한 불교유학생의 목소리가 더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
    『조선불교총보』는 1917∼1921년 사이 한국의 불교계가 처한 시대의 특징과 한계, 그리고 가능성이 복합적으로 반영된 텍스트라 평가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developmental patterns and orientation of the Buddhist magazine, the "Journal of Joseon Buddhism Collectanea" (Total 22 volumes, March 1917∼January 1921). The “Journal of Joseon Buddhism Collectanea” is a paper published by the 30 axis temples association office, and is the only Buddhist magazine in the period before and after the 3.1(March 1st) Movement.
    The “Journal of Joseon Buddhism Collectanea” started with direct and indirect connections with the Buddhist advocacy group (佛敎擁護會), which pro‐Imperial Japanese people were in charge of, but in the latter half of the magazine, as it launched the Joseon Buddhist Association (朝鮮佛敎會) and Buddhism Youth Association (佛敎靑年會), which included many Buddhist intellectuals at that time, it is notable that it became the birthplace of the new Buddhist movement. Here, it can be evaluated that the activities of cultural practice movements that were spontaneous in the Buddhist world after the 3.1 Movement were expressed through the magazine.
    The “Journal of Joseon Buddhism Collectanea” is basically an academic liberal arts magazine that accumulated academic research results of Buddhist intellectuals centering on Lee Neung‐hwa. This study considered the orientation of the magazine as the first research on this magazine, focusing on contemporary opinions (時論), before examining academic achievements. Contemporary opinions revealed intact the political actions of the magazine publisher and the chairman of the association office. The conservative and reactionary voice contained in contemporary opinions is linked to the composition of the magazine itself and the conservatism of the style. This is the limit of Lee Neung‐hwa's conservative cultural perception and sense, and is the result of the oppression of the times at the same time.
    In the “Journal of Joseon Buddhism Collectanea”, the different perspectives of professor Park Han‐yeong of Jungang Hakrim who viewed Buddhism of the period and Buddhist students who returned from Imperial Japan studying abroad are exposed intact. New people from studying abroad, such as Kim Jeong‐hae, raised a new perspective on religions, and a new voice began, such as pointing out the problems of the 30 axis temples (三十本山) system based on the temple decree (寺刹令) established by the government‐general. Accordingly, in the latter half of the “Journal of Joseon Buddhism Collectanea”, the voices of Buddhist people who returned from Imperial Japan studying abroad occupied a greater proportion.
    Through this, it was revealed that the “Journal of Joseon Buddhism Collectanea” is a complex text that reflects various characteristics, limitations, and possibilities of the times faced by the Buddhist world in Joseon (Korea) between 1917 and 1921.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