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 강점기 일본인 교사 야스다 야스노리(安田保則)의 교육저술과 교육활동 (A Study on Educational Writing and Activity of Yasda Yasnori(安田保則), A Japanese Teacher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9.08
31P 미리보기
일본 강점기 일본인 교사 야스다 야스노리(安田保則)의 교육저술과 교육활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학연구 / 58호 / 393 ~ 423페이지
    · 저자명 : 한예원

    초록

    이 글은 일본 강점기 광주(光州)지역의 일본인 교육자 야스다 야스노리(安田保則, 1885〜?)의 교육저술과 교육활동을 살펴본 것이다. 야스다는 일본의 이시카와현(石川縣)의 노미군(能美郡)에서 출생하였고, 이시카와현 사범(師範)학교를 졸업한 뒤, 1915년 조선총독부의 공립학교 훈도(訓導)가 되어서 조선으로 건너와 경성에서 활동하다가, 1918년부터 30여년간 전남과 광주의 교육기관에 근무하였다. 주로 현재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보통학교’, ‘심상초등학교’와 중학교에 해당하는 ‘실업학교’ 등에서 근무하면서 조선교육의 현황을 『조선교육에 안주하여(朝鮮敎育に安住して)』(1927년)로 출간하였고, 이어서 당시에 주목받던 심신(心身)의 전인교육을 수용하여 ‘광주식 작위교육’이라고 이름 붙이고, 『작위교육의 건설과 귀추(作爲敎育の建設と歸趨)』(1931년)로 출간하였다. 뿐 만 아니라 조선의 현지 사정을 교과내용으로 삼은 『(광주)향토독본(鄕土讀本)』(1937년)이라는 교재를 편집하였고, 또한 자신이 교장으로 있던 광주중앙심상고등소학교에서 실제로 시행하였던 교육과정을 『우리 학교 체육에 관한 종합연구(我が校体育の総合研究)』(1938년)라는 서명으로 발간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4권의 저술 중, 앞의 두 권을 발굴하고 그 내용을 소개하고자 하였다. 특히 야스다가 ‘광주식 작위교육’이라는 이름으로 정리한 교육내용을 개략적이나마 소개하여, 차후 일본 강점기 재조 일본인 교육자들의 교육활동이 본격적으로 조명되기를 기대한다. 이러한 일본인 교육자들의 조선에서의 교육활동을 고찰함은, 우리 근대교육 시발점의 교육 활동을 이해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된다. 또한 국권 회복 이후의 초기 한국교육을 이해함에 있어서도 없어서는 안 될 작업이라고 생각된다. 나아가 일제 강점기의 교육관련 저술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은 한반도 미래교육의 방향잡기에 좋은 가이드라인 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d educational writings and activity of Yasda Yasnori a Japanese teacher in Gwagju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安田保則, 1885〜?). He was born in Nomi-gun, Isikawa, Japan and was graduated from a teacher school in Isikawa. He came to Korea and worked as a teacher of a public school in 1915 and from 1918, he was engaged in diverse educational activities in Jeonnam and Gwangju for about 30 years. He published 『Working for Education in Korea(朝鮮敎育に安住して)』(1927) which recorded the status of education in Korea at that time while working as a teacher of an elementary school and a middle school. Then he published 『Construction of Factitive Education and Consequence(作爲敎育の建設と歸趨)』(1931) about trend of all-round education for ‘Gwangju-style Factitive Education.’ He compiled 『(Gwangju)Hyangtodokbon(鄕土讀本)』(1937) which explained the necessity of education on the conditions of Korea at that time while teaching Japanese people at Gwangju Simsang Public School.
    This study examined two writings mentioned above and his educational activities and perspectives. ‘Factitive Education’ accepted work, labor and feasance of children as educational methods to remove disadvantages of nobility education for intellectualist and realize harmony between body and mind, which was influenced by Arbeitsschule of Germany. He wrote about educational theories including specific educational methods and activities while working as a teacher in Gwangju. It was hard to understand Gwagnju- style factitive education as there were only a few studies on it, but this study has meaning in that it presented an outline of 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