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재물보(才物譜)』 「식음(食飮)」의 어휘 수록 양상 연구 (A Study on Vocabulary Compilation Characteristics in the 'Food and Beverage (「食飮」)' Section of Jaemulbo(『才物譜』))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24.01
29P 미리보기
『재물보(才物譜)』 「식음(食飮)」의 어휘 수록 양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제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학연구 / 36호 / 123 ~ 151페이지
    · 저자명 : 조정아

    초록

    이 연구에서는 『재물보(才物譜)』 「식음(食飮)」에 수록된 어휘의 선정 배경을 고찰해보고, 식생활 관련 어휘의 분류와 배열 순서에 대해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이본 간의 수록 어휘 배열의 차이를 파악하였으며, 대체로 [통칭-쌀로 만든 주식과 후식-조미료-부식-기호식품]의 순서로 식음 어휘를 배열하여 수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인용 출처로 밝힌 문헌을 조사하여 이본에 따라 대략 10~13%에 해당하는 표제항만 출처를 밝히고 있으며, 인용 출처로 25~26개 문헌을 제시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 가장 출현 빈도가 높은 문헌은 『禮記』임을 확인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本草綱目』, 俗語, 『譯語類解』의 순서로 출현 빈도가 높았다. 이를 통해 『재물보』 「식음」에는 당대 대표적인 예학서로 쓰인 『禮記』와 본초서로 적극 활용된 『本草綱目』에 수록된 식생활 관련 물명, 당시 사람들이 쓰던 俗語, 그리고 『譯語類解』의 漢語까지 두루 반영하고 있어서 당시의 언어 현실을 최대한 반영하려고 했음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재물보』 「식음」과 비슷한 부류의 어휘를 수록하고 있는 자서류(字書類), 유해류 역학서(類解書), 물명서(物名書)의 어휘 분류 및 배열 순서를 비교・분석하여 『재물보』의 특성과 가치가 수록 어휘의 망라성과 어휘항목 배열의 정연함임을 밝혔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process of selecting vocabulary within 'Food and Beverage (「食飮」)' Section of Jaemulbo(『才物譜』), with a specific focus on examining the classification and arrangement order of vocabulary associated with dietary life. Initially, we identify differences in the arrangement of vocabulary across various editions. Our observation reveals that, generally, the vocabulary related to food and drink follows the sequence [General Terms - Main Dishes made with rice - Side Dishes - Condiments - Snacks - Favorite Foods]. Subsequently, through an analysis of cited sources, we find that approximately 10-13% of the entries, following different editions, provide proper citations, totaling 25-26 literature materials. Notably, our investigation confirms that themost frequently cited source is "The Book of Rites(『禮記』)," followed by "Compendium of Materia Medica(『本草綱目)," "Common Sayings(俗語)," and "Yeogeo-yuhae(『譯語類解』)" in descending order of frequency. This pattern of citation suggests that "Jaemulbo(『才物譜』)" extensively incorporates references from "The Book of Rites(『禮記』)," a representative classical text of the time, "Compendium of frequency. This pattern of citation suggests that "Jaemulbo(『才物譜』)" extensively incorporates references from "The Book of Rites(『禮記』)," a representative classical text of the time, "Compendium ofMateria Medica(『本草綱目)," actively used for its botanical information, as well as "Common Sayings(俗語)," and "Yeogeo-yuha(『譯語類解』)," reflecting colloquial expressions and Chinese translations used during the contemporary era. This inclusive approach indicates an effort to faithfully capture the linguistic realities of the time in the 'Food and Beverage (「食飮」)' Section of Jaemulbo(『才物譜』). Finally, dictionaries and the classificatory glossaries (類解類譯學書), which contain similar types of vocabulary as 'Food and Beverage (「食飮」)' Section of "Jaemulbo (『才物譜』)" ) compared and analyzed the vocabulary classification and arrangement order shown in.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 of 『"Jaemulbo (『才物譜』)" can be said to be the comprehensiveness of the vocabulary included and the orderliness of the arrangement of lexical ite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