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큰쿠폰이벤트-통합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의 비순응 조현병 환자에서 경구용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 대비 항정신병 장기지속형 주사제 Paliperidone Palmitate의 비용-효용분석 (Cost-Utility Analysis of Paliperidone Palmitate Long Acting Injection (PLAI) versus Oral Atypical Antipsychotics in Non-Adherent Schizophrenia Patients in South Korea)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2.01
11P 미리보기
한국의 비순응 조현병 환자에서 경구용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 대비 항정신병 장기지속형 주사제 Paliperidone Palmitate의 비용-효용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정신약물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정신약물학회지 / 23권 / 1호 / 17 ~ 27페이지
    · 저자명 : 김보라미, 이태진, 우종민, 박종익, 권준수

    초록

    본 연구는 경구용 항정신병 약물에 비순응하는 조현병 환자에 있어 최근 새롭게 개발된 PLAI가 경구용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에 비해 비용-효과적인 측면에서 선택 가능한 대안이 될 수 있는지 평가하고자 한다.
    경구용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에 비순응하는 조현병 환자 중 PLAI를 투여한 환자군과 경구용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을 투여하는 환자군의 1년간 비용-효용분석을 위해 의사결정수형 모형을 사용하였다. 재발률, EPS 부작용 발현율, 자살율 및 순응도는 기존 문헌 자료를 직접 의료비용 자료는 국내 연구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조현병의 각 건강 상태에 대한 효용값은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로 측정된 호주연구결과를 이용하였다. 본 분석결과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파악하기 위한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기존 경구용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군 대비 PLAI군은 한 환자당 QALY을 환자 1명당 약 0.39년 연장시키고, 재발률은 약 2.93배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0.2204 대 0.6462). 반면, 1년간 발생한 약제비, 입원비, 외래비를 포함한 총 의료비용은 PLAI군은 약 451만 원이었고, 경구용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군은 약 519만 원으로, PLAI군이 한 환자당 약 68만원을 절감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경구용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에 비순응하는 조현병 환자에게 PLAI는 기존 경구용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보다 총 의료비용은 절감시키면서 치료효과를 증대시키는 매우 중요하고 우월한 대안임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Objective Schizophrenia is a chronic and persistent mental illness and requires continuous treatment. Nevertheless, a majority of schizophrenia subjects show non-adherence to oral antipsychotics due to many factors including a lack of insight and a decline in their cognitive function. Medication non-adherence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relapse and hospitalization and incurs a heavy burden not only to subjects and caregivers, but also to society. Treatment with antipsychotic long acting injection can maintain a consistent plasma drug concentration and has been shown to prevent relapse and re-hospitalization.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cost-effectiveness of paliperidone palmitate long acting injection (PLAI) compared with atypical oral antipsychotics (risperidone, olanzapine, aripiprazole and paliperidone) in schizophrenia subjects who are non-adherent to oral atypical antipsychotics.
    Methods A decision-tree model was constructed to compare the clinical and economic outcomes of PLAI and oral comparator over 1 year in schizophrenia subjects who are non-adherent to oral atypical antipsychotics. Clinical data such as relapse rate, extra pyramidal symptoms (EPS) rate, suicide rate and non-adherence rate were obtained from published literature. Utility values for each schizophrenia health state were calculated based on an Australian study to measure the utility values for schizophrenia patients. Direct medical cost data were obtained from domestic literature. Sensitivity analyses were performed on major variables.
    Results Based on model estimates, PLAI can increase quality-adjusted life years (QALY) per patient by 0.39 and is associated with a 2.93-fold lower probability of relapse compared with the weighted average of the oral treatments (0.2204 vs 0.6462). The total annual medical costs per patient (including medication, inpatient and outpatient cost) were 4.51 million Korean Won for PLAI, and 5.19 million Korean Won for the weighted average of oral atypical antipsychotics, leading to a cost reduction of 0.68 million Korean Won with PLAI.
    Conclusion With lower total medical cost and improved treatment outcomes compared to oral treatments, PLAI was assessed to be a dominant treatment option for schizophrenia patients who are non-adherent to oral atypical antipsychot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