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요한복음의 연계부(11-12장)에 나타난 문학기법과 그 기능에 대한 연구: 병행법(Parallelism)과 사슬-연결고리(Chain-link interlock) 분석 (A Study on the Literary Figure and Its Function of the Bridge Section(Jn 11-12) of the Gospel of John: An Analysis of Parallelism and Chain-link Interlock)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2.10
23P 미리보기
요한복음의 연계부(11-12장)에 나타난 문학기법과 그 기능에 대한 연구: 병행법(Parallelism)과 사슬-연결고리(Chain-link interlock)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성경과 신학 / 63권 / 273 ~ 295페이지
    · 저자명 : 고병찬

    초록

    요한복음의 구조의 연구에 있어서, 학자들 간에 많은 이견들이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요한복음은 크게 세 부분-서론, 본문, 그리고 저작 후기(epilogue)-으로 분류되지만, 이러한 구분은 학자들 간에 많은 논쟁들을 야기했다. 그중 중요한 논쟁점 가운데 하나는 요한복음 본문의 구분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요한복음의 본론에 해당하는 1:19-20:31을 두 단락으로 나누어 이해하며, 1-12장은 ‘표적의 책’으로, 13-20장은 ‘영광의 책’ 또는 ‘수난의책’으로 구분한다. 그러나 D.A. Carson은 이러한 구분을 거절한다. 그는 예수님의 고난이 18장 이전에는 등장하지 않는다는 점과 1-12장에서도 예수님의고난이 상당수 등장한다고 주장한다. 최근에는 이중 배열법에 근거한 복합역교차 구조를 통해 요한복음의 구조가 5개의 거시적 단락으로 이루어져 있음이 제안되었다.
    특히, 요한복음 11-12장은 나사로의 사건과 향유 부은 여인의 사건이 함께어우러져 형성되어 있다. 그렇기에 11-12장의 구조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내용 분석이 없이는, 요한복음 전체의 구조를 제대로 파악할 수 없다. 특히 요한복음의 상반된 두 가지 단락, 즉 전반부에 나타나는 예수의 표적에 대한기사와 후반부에 나타난 예수의 고별 담화(farewell discourse) 및 수난 이야기(passion narrative)의 관계에 대한 설명이 어렵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요한복음 11-12장에 나타난 문학기법을 밝힘과 동시에 요한복음 전체 구조 안에서연계부로서의 그 기능을 증명코자 하는 데 있다

    영어초록

    There are various viewpoints on the study on the structure of the Gospel of John. In general, the Gospel of John is widely divided into three parts, such as the Prologue, the Body and the epilogue. One of the debatable issues is the division of the body. Most scholars consider 1:19-20:31 as the body and divide it into two sections. They name John 1-12 as ‘Book of Signs’ and John 13-20 as ‘Book of Glory’ or ‘Book of suffers’. However, D. A. Carson criticizes such opinions because there are no stories of suffering of Jesus before Chapter 18 and there are many implications about His sufferings in John 1-12.
    The complex chiastic structure based on dual mode has recently suggested as a new structure of the Gospel of John.
    In particular, John 11 and 12 are regarded as one section which are unified two stories, viz. story of signs and story of suffering. Thus the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these chapters gives us a key to understanding of the whole structure of the Gospel of John. Therefore,this paper focuses on describing the literary figures and pointing out their functions of John 11-12.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성경과 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3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