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당뇨병 성인 대상 보건소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개인별 맞춤 하루 필요 에너지 및 식품군 단위수 교육을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Effects' Analysis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Diabetes Mellitus at Community Health Center-Focused on Individual Daily Energy Requirements and Food Exchange Units-)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0.08
13P 미리보기
당뇨병 성인 대상 보건소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개인별 맞춤 하루 필요 에너지 및 식품군 단위수 교육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15권 / 4호 / 485 ~ 497페이지
    · 저자명 : 오지윤, 김숙배

    초록

    본 연구는 식품교환법을 활용하여 개별화된 하루 필요 에너지 및 하루 필요 ‘식품군 단위수’ 중심의 보건소 영양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교육 전·후 신체계측적 조사, 혈액 생화학적 조사, 식이섭취 조사를 비교· 평가함으로써 개발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조사대상자는 고창군보건소에 내소한 성인 당뇨병 환자 20명(평균 연령 66.9세) 이었다. 교육 전·후 일반사항, 신체계측적 조사, 혈액생화 학적 조사, 식사섭취 조사를 비교· 평가한 결과를 요약하면다음과 같다.
    1. 학력은 초졸이 40.0%로 가장 많았고, 유병기간은 5년미만이 40.0%로 가장 많았다. 합병증은 고혈압이 40.0%로가장 높았으며, 당뇨병 조절 방법은 ‘식사요법 + 운동요법+ 약물요법’이 35.0%이었다. 자가혈당검사는 35.0%가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당뇨병 영양교육 경험은 35.0%가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주당 운동 횟수는 3~4회, 5~6회가 각각30.0% 이었다.
    2. 교육 후 체중, 혈중요소질소, 당화혈색소의 평균치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교육 후 LDL-콜레스테롤, 혈중요소질소, 당화혈색소의 기준별 대상자 분포에 있어서 유의적인개선을 보여, 정상에 해당하는 대상자의 비율이 각각 교육 전70.0%, 75.0%, 65.0%에서 교육 후 90.0%, 100.0%, 85.0%로 증가하였다.
    3. 3대 영양소 에너지 구성비에 있어서, 단백질 : 지질 : 탄수화물의 비율이 교육 전 15.98% : 16.30% : 66.69, 교육후 17.51% : 18.94% : 64.10%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교육 후 단백질과 식이섬유 섭취의 기준별 대상자의 분포가 유의적으로 개선되어, 단백질은 권장섭취량 이상 대상자의 분포가 증가하였으며, 식이섬유는 충분섭취량 이상 대상자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비타민 E, 니아신, 엽산, 칼슘, 아연 섭취의 기준별 대상자의 분포가 유의적으로 개선되었다.
    4. 교육 후 단백질, 비타민 A, 리보플라빈, 니아신, 엽산, 칼슘, 인, 아연의 INQ의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 또한 교육후 비타민 A, 리보플라빈, 니아신, 비타민 B6, 엽산, 칼슘, 아연의 NAR과 MAR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 식품교환법을 활용한 4주 영양교육 프로그램- 1주 ‘서론: 당뇨병의 혈당 관리’·2주 ‘식품교환법의 6가지 식품군 및 급원 식품’·3주 ‘개인별 하루 필요에너지 및 하루 필요 식품군 단위수’·4주 ‘당뇨병 환자를위한 올바른 식품 선택’-에 의해 보건소에 내소한 당뇨병환자의 체중, LDL-콜레스테롤·혈중요소질소·당화혈색소, 3 대 영양소 에너지 구성비율, 에너지 및 영양소 섭취의 양적·질적 변화에 있어서 긍정적인 개선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보건소에서 당뇨병 환자의 교육시 집단 교육과 병행하여 개인별 식품군 단위수의 개별화 교육, 개인별식품군 단위수를 제공하는 당뇨시식회 등으로 구성된 영양교육 프로그램이 실시된다면, 당뇨병 환자의 관리에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당뇨병 환자를 위한 표준화된 영양교육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각 보건소에 보급된다면, 급증하는 당뇨병 환자의 관리에 크게 기여 할 것으로사료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the develope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individual daily energy requirements and food exchange units using Food Exchange System for diabetes mellitus at a community health center. Developed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ur weeks' nutrition education including provided twice individual meal as diet therapy (2 hour/lesson/week, 4 week), was provided to 20 diabetic elderly (12 male, 8 female, 50-75 yrs): 1st lesson “Introduction: management of diabetes mellitus”, 2nd lesson “6 Food groups and sources of 6 food groups”, 3rd lesson “Individual daily energy requirements and food exchange units”, and 4th lesson “Food choice for diabetes mellitus”. For effects' analysis of the developed program, we assessed the changes in anthropometric characteristics; b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nutrient intakes using 24 hr recall method. Effects of the develope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were as follows: weigh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lood urea nitrogen (BUN) and glycosylated hemoglobin (HbA1c)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distribution of subjects in BUN and HbA1c was significantly changed. In protein : fat : carbohydrate (PFC) ratio, it was significantly changed from 15.98 : 16.30 : 66.69 to 17.51 : 18.94 : 64.10. In evaluation of nutrient intakes b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KDRI), protein, fiber, fat, vitamin E, niacin, folic acid, calcium and zinc were shown significantly positive changes in distribution of subjects according to intake level. The index of nutrition quality (INQ), nutrition adequacy ratio (NAR) and mean nutrition adequacy ratio (MAR)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conclusion, the developed 4 weeks'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individual daily energy requirements and food exchange units using Food Exchange System for diabetes mellitus at community health center may improve the symptom of diabetes mellitu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5(4) : 485~497, 2010)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4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