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전반적 피질 위축, 내측두엽 위축, 백질 고강도 신호와 인지기능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Global Cortical Atrophy, Medial Temporal Atrophy, White Matter Hyperintensities and Cognitive Functions in Korean Alzheimer’s Disease Patients)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5.08
9P 미리보기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전반적 피질 위축, 내측두엽 위축, 백질 고강도 신호와 인지기능의 연관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생물정신의학회
    · 수록지 정보 : 생물정신의학 / 22권 / 3호 / 140 ~ 148페이지
    · 저자명 : 최린, 주수현, 이창욱, 백인호

    초록

    현대 고령화 사회에서 치매 인구는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치매의 원인과 증상, 그리고 치료에 대한 관심도가높아지고 있다. 치매의 가장 흔한 유형인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은 기억력뿐 아니라 주의집중력, 언어능력,시공간능력, 계산능력과 집행기능 등 여러 인지기능의 저하가 나타나는 다양한 증상의 집합체로,1)2) 일상생활에 대한 병력 청취, 신경심리검사와 뇌영상검사 등을 통한 종합적인 평가 후 진단이 내려진다.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뇌영상검사에서 초기에 그리고 흔히발견되는 내측두엽 위축(medial temporal atrophy, 이하 MTA) 은 알츠하이머병의 민감한 진단적 표지자이며,3) 경도 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에서 치매로의 진행을예측하는 기능을 하기도 한다.4)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인지기능과 뇌의 변화를 조사한 과거 여러 연구에서 내측두엽 위축, 특히 해마(hippocampus)의 위축은 언어적 기억(verbal memory), 삽화적 기억(episodic memory)과 일반적 인지 상태(general cognitive status)의 저하와 연관이 있다는 일관된 결과를 보여 왔다.5-7) 또한 전반적 피질 위축(global cortical atrophy, 이하 GCA)은 인지기능 저하의 심각도와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었고,8)9) 최근에는 백질 고강도 신호(white matter hyperintensities, WMH)와 인지기능 사이의 관계에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일부 연구에서는 시공간능력(visuospatial function), 실행능력 및 인지 처리 속도의 저하와연관이 있다는 결과를 보인 데 반해, 일부에서는 인지기능과의 연관성이 떨어진다는 등 상반된 결과들을 보이고 있다.10-12) 이렇듯 뇌에서 나타나는 퇴행성 변화의 양상에 따라 연관된 인지기능이 다를 것이며, 뇌영상검사를 통하여 치매 환자의 인지기능 중 어떤 특정 영역에서 어느 수준의 저하가 나타날 것인지를 예측하고 상호연관성을 확인하는 것은 중요한임상적 의의가 있을 것이다. 최근 화소 기반 형태계측술(voxel-based morphometry, 이하 VBM)13)이나 용적측정 자기공명영상(volumetric MRI)14)을 이용해 뇌영역과 인지기능과의 연관성을 알아보는 연구들이 진행되었으나, 보다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뇌자기공명영상의 시각적 평가 척도와 세부적인 인지영역별 기능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특히국내에서 부족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노인 인구를 대상으로 과거의연구 결과를 확인할 뿐 아니라, 임상에서 보다 용이하고 표준화된 뇌자기공명영상의 시각적 평가 척도와 치매 환자의 인지기능을 포괄적이면서도 간편하게 평가할 수 있는 Korean version of the Consortium to Establish a Registry for Alzheimer’s Disease(이하 CERAD-K)를 이용하여,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전반적 피질 위축, 내측두엽 위축, 백질 고강도 신호와 인지영역별 기능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degenerative changes in brain [i.e., global cortical atrophy (GCA), medial temporal atrophy (MTA), white matter hyperintensities (WMH)] and neurocognitive dysfunction in Korea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Methods : A total of 62 elderly subjects diagnosed with Alzheimer’s disease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degenerative changes in brain MRI were rated with standardized visual rating scales (GCA or global cortical atrophy, MTA or medial temporal atrophy, and Fazekas scales) and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degree of degeneration for each scale. Cognitive function was evaluated with Korean version of the Consortium to Establish a Registry for Alzheimer’s Disease (CERAD-K) and several clinical features, including apolipoprotein E ε4 status, lipid profile and thyroid hormones, were also examined. Chi-square test and Fisher’s exact test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cerebral degeneration and neurocognitive functions.
    Results : Demographic and clinical features, except for the ag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divid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cerebral degenerative changes. However, higher degree of GCA was shown to be associated with poorer performance in verbal fluency test, word list recall test, and word list recognition test. Higher degree of MTA was shown to be associated with poorer performance i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in the Korean Version of CERAD Assessment Packet (MMSE-KC), word list recognition test and construction praxis recall test. Higher degree of white matter hyperintensities was shown to be associated with poorer performance in MMSE-KC.
    Conclusions : Our results suggest that severe brain degeneration shown in MRI is associated with significantly poorer performance in neurocognitive tests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Moreover, the degree of GCA, MTA and white matter hyperintensities, represented by scores from different visual rating scales, seems to affect certain neurocognitive domains each, which would provide useful information in clinical sett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생물정신의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