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무라병으로 오진된, 말초혈액 호산구증가증을 동반한 역형성대세포림프종 (Anaplastic large cell lymphoma with marked peripheral eosinophilia misdiagnosed as Kimura disease)

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8.03
4P 미리보기
기무라병으로 오진된, 말초혈액 호산구증가증을 동반한 역형성대세포림프종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 수록지 정보 :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 6권 / 2호 / 131 ~ 134페이지
    · 저자명 : 신윤지, 오지연, 이영석, 민경훈, 이승룡, 심재정, 강경호, 허규영

    초록

    Hypereosinophilia, defined as an absolute eosinophil count of >1,500/μL, can be caused by a number of allergic, infectious, paraneoplastic and neoplastic disorders. In cases of hypereosinophilia with lymphoid proliferation, pathological confirmation is essential to exclude either myeloid or lymphoid malignancy. A 38-year-old woman with both cervical lymphadenopathies and peripheral blood eosinophilia visited our clinic. She had already performed core biopsy of lymph nodes and diagnosed as Kimura disease at a regional hospital. At the time of our clinic visit, there were no palpable cervical lymph nodes. The blood test showed hypereosinophilia with a high total IgE level. There was no evidence of tissue infiltration of eosinophils except for duodenitis with eosinophilic infiltr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she was diagnosed as Kimura disease. She treated with high-dose systemic corticosteroid (1 mg/kg) and additional immunosuppressants sequentially used cyclophosphamide and cyclosporine. However, her eosinophilia waxed and waned, and a left inguinal mass was newly found. Excisional biopsy findings showed large atypical lymphoid cells with numerous eosinophilis, and immunohistochemistry showed CD3+, CD20-, CD30+ and anaplastic lymphoma kinase (ALK). The final diagnosis was ALK-negative anaplastic large cell lymphoma. We report a case of anaplastic large cell lymphoma with marked peripheral eosinophilia misdiagnosed as Kimura disease. In the case of hypereosinophilia with lymphadenopathy, it is necessary to differentiate hematologic diseases through immunochemical staining.

    영어초록

    Hypereosinophilia, defined as an absolute eosinophil count of >1,500/μL, can be caused by a number of allergic, infectious, paraneoplastic and neoplastic disorders. In cases of hypereosinophilia with lymphoid proliferation, pathological confirmation is essential to exclude either myeloid or lymphoid malignancy. A 38-year-old woman with both cervical lymphadenopathies and peripheral blood eosinophilia visited our clinic. She had already performed core biopsy of lymph nodes and diagnosed as Kimura disease at a regional hospital. At the time of our clinic visit, there were no palpable cervical lymph nodes. The blood test showed hypereosinophilia with a high total IgE level. There was no evidence of tissue infiltration of eosinophils except for duodenitis with eosinophilic infiltr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she was diagnosed as Kimura disease. She treated with high-dose systemic corticosteroid (1 mg/kg) and additional immunosuppressants sequentially used cyclophosphamide and cyclosporine. However, her eosinophilia waxed and waned, and a left inguinal mass was newly found. Excisional biopsy findings showed large atypical lymphoid cells with numerous eosinophilis, and immunohistochemistry showed CD3+, CD20-, CD30+ and anaplastic lymphoma kinase (ALK). The final diagnosis was ALK-negative anaplastic large cell lymphoma. We report a case of anaplastic large cell lymphoma with marked peripheral eosinophilia misdiagnosed as Kimura disease. In the case of hypereosinophilia with lymphadenopathy, it is necessary to differentiate hematologic diseases through immunochemical stain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