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강박장애 및 조현병 환자에서의 정량뇌파 소견과 신경인지기능 간의 연관성 (Correlation between Quantitative Electroencephalogram Findings and Neurocognitive Functions in Patients with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and Schizophrenia)

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16.11
6P 미리보기
강박장애 및 조현병 환자에서의 정량뇌파 소견과 신경인지기능 간의 연관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생물정신의학회
    · 수록지 정보 : 생물정신의학 / 23권 / 4호 / 193 ~ 198페이지
    · 저자명 : 김서영, 신정은, 김민주, 권준수, 최수희

    초록

    강박장애는 스스로 원하지 않음에도, 반복적으로 의식으로 침투하는 특정한 생각들이나 심상들(강박사고)과, 이와연관된 불안을 무마하기 위하여 특정 행동(강박행동)을 반복하는 정신질환이며, 조현병은 망상, 환청, 일관되지 않거나비논리적인 생각, 기이한 행동과 말 등이 증상으로 나타나는정신질환이다. 강박장애와 조현병은 진단기준으로 비교적 명확히 구분되지만, 조현병 환자에서 강박장애 증상이 관찰되는 경우도 드물지 않으며, 조현형(schizotypal) 성향을 갖는강박장애 환자 또한 종종 볼 수 있다.1) 또한 병식이 없거나 망상적 믿음을 갖는 강박장애의 경우 임상적으로는 조현병과감별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일부에서는 이러한 중복된 소견이 각 질환의 공통된 내적표현형(endophenotype)과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 있으나 한편으로는 별개의 병태생리학적 기전이 작용하고 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어, 두 질환을보다 객관적으로 구별하고, 병태생리적인 특성을 반영할 수있는 진단체계를 만들고자 유전학, 역학, 뇌 영상 등 다양한분야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2-4) 한편, 강박장애 환자에서 관찰되는 신경인지기능의 이상은대표적으로 시공간 기억력 및 조직화 능력의 저하, 언어 유창성의 저하, 기억 인출의 손상 등이 있으며,5) 실행기능의 결함또한 많은 연구에서 보고된 바 있다.6)7) 조현병 환자에서는 언어 유창성의 저하, 실행기능의 저하뿐 아니라 집중력 저하를비롯하여 언어적 기억력 및 학습 등에 있어서도 이상을 보이며, 인지기능 영역 전반에 걸쳐 기능의 손상이 보고되고 있다.8) 이처럼 실행기능의 저하, 언어 유창성의 저하 등 두 질환모두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인지기능의 이상이 있으나, 두군의 신경인지기능을 직접 비교했을 때는 전반적으로 조현병에서의 기능저하가 강박장애보다 극심하며, 우울 정도에 따른 신경인지기능의 영향은 강박장애에서만 관찰된다는 것에서 두 군 간의 차이를 보인다.9) 또한, 최근 발표된 메타분석결과에 따르면, 강박장애에서는 특히 스트룹 검사(Stroop test) 상에서 억제성 실행기능(inhibitory executive function) 의 저하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0) 따라서, 두 질환의 인지기능 저하의 기전에 있어서도 구분되는 특성이 있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정량뇌파 분석은 아날로그 방식으로 획득된 뇌파자료를컴퓨터를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분석하여 정량화하는 것이며, 가장 전통적이고 대표적인 방법은 스펙트럼 분석으로, 이는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ation)을 통해 복잡한 파형을 주기에 따라 분리하여 주기별 진폭의 양을 표시하는 것이다. 카오스 이론(chaos theory), 그래프 이론(graph theory) 등의 여러 이론들을 바탕으로 정량적 뇌파의 분석방법은 더욱 다양해지고 있다.11) 기존 연구에서 강박장애의 정량뇌파 소견으로 전두엽과 전측두엽 영역의 이상, 쎄타(theta) 파 활동의 증가, 전두엽 영역의 저하된 평균 주파수 배경활동 등이 보고된 바 있다.12) 또한, 델타(delta)와 베타(beta) 절대력(absolute power)의 저하와 알파(alpha)와 델타 상대력(relative power)의 증가도 관찰되고 있다.13) 이는 강박장애환자에서 전두엽 과활성(hyperfrontality)를 시사하는 소견이기도 하다.14)15) 조현병 환자에서 정량뇌파 소견은 우반구에저하된 알파 주파수 편측성(laterality), 저주파 영역에서의 증가된 상대력과 동시성(coherence) 등이 보고된 바 있고,16) 반구(hemisphere)내 동시성(synchronization)의 전반적인 증가도 관찰되고 있다.17) 한편, 다양한 주파수의 뇌파 활동 중 8~13 Hz의 활동을뜻하는 알파파는, 눈을 감은 상태에서 촬영한 뇌파 상에서후두엽 영역에서 두드러지게 발생되는 활동파이며, 인지기능과의 연관성이 여러 연구들에서 보고되어 온 바가 있다. 아직 알파리듬이 정확히 어떠한 신경학적 기능을 반영하는지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가 없으나, 높은 주파수의 알파리듬이기억 유지 또는 과제 수행에 불필요한 기능을 억제하는 것과관련되어 있을 것이라는 것이 대표적인 가설로18) 억제성 실행기능과의 연관성도 시사된다.
    본 연구에서는 강박장애와 조현병 환자에서 정량뇌파 분석소견과 신경인지기능 검사결과의 연관성을 평가, 비교하여 강박장애 환자에서 특이적으로 나타나는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특히, 강박장애 환자에서 특징적인 억제성 실행기능의저하와 전두엽 과활성을 시사하는 알파리듬과의 연관성에 있어서 조현병 환자와 그 차이가 관찰되는지 보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Objectives :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OCD) and schizophrenia have many common clinical and neurocognitive features.
    However, not all of them share the same underlying mechanism.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evidences that indicate a pathophysiological mechanism specific to OCD by comparing correlations of quantitative electroencephalography (QEEG) patterns and neurocognitive function in patients with OCD and schizophrenia.
    Methods : Resting-state QEEG data of total 265 patients were acquired retrospectively and parameters such as absolute power, relative power and peak frequency were analyzed from the data. Stroop test and Trail Making Test results as well as demographic features were reviewed for this study. The correlation of neurocognitive functions and brain electrical activities in each group were assessed and compared by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 Compared with the OCD group, the schizophrenia group performed poorly in neurocognitive tests. Mean values of QEEG parameters in patients with OCD and schizophrenia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oth absolute and relative power of alpha rhythm in central and frontal region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troop test results in OCD patients.
    Conclusions : Findings in this study shows distinctive correlations between frontal executive dysfunction and frontal alpha rhythm in the OCD patients, both of which might be a candidate for endophenotype underlying obsessive rumin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생물정신의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