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에도시대 일본무사들의 주자학 수용과 검술적 변용 - 『兵法家傳書』를 중심으로 (Acceptance of Neo-Confucianism and Sword Transformation of Japanese Warriors in the Edo Period: With a Focus on Heihou Kadensho)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23.09
35P 미리보기
에도시대 일본무사들의 주자학 수용과 검술적 변용 - 『兵法家傳書』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율곡학회
    · 수록지 정보 : 율곡학연구 / 53권 / 211 ~ 245페이지
    · 저자명 : 김용훈

    초록

    본 논문은 에도시대 일본 무사들의 주자학 수용과 검술적 변용을 탐색하는데 있다. 에도시대 일본 검술의 철학적 의미를 고찰하기 위해서는 주자학을 토대로 논의해야 한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에도시대 일본 무사들의 주자학 흡수를 통한 궁극적인 수양의 목표와 변용된 철학적 의미에 대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에도시대에는 주자학을 관학으로 지정하고 통치 이념으로 삼았다. 이러한 주자학은 자연스럽게 무사들의 검술사상에도 녹아들었다. 구체적인 주자학의 수양론으로 무사들은 ‘격물치지(格物致知)’와 ‘인심도심(人心道心)’, ‘경(敬)’ 사상을 받아들였다. 다쿠앙 소호(澤庵宗彭, 1573∼1646)와 야규 무네노리(柳生宗矩, 1571∼1646)는 ‘敬’을 마음을 한 곳으로 모아 몰입하는 정신통일의 개념으로 보았다. 그러나 ‘敬’은 단계가 낮은 수련법이고 더 높은 단계는 불교의 ‘응무소주, 이생기심(應無所住, 而生其心)’이라고 했다. 즉 검술적 측면에서 마음은 자유롭게 풀어놓는 것이 붙잡아 두는 것 보다 중요하다고 보았다.
    이처럼 일본의 선승과 무사들은 주자학의 이론들을 받아들였으나 검술의 실전 경험과 함께 불교식으로 재해석 하였다. 검도가 긴 역사를 거듭 하면서 갖춘 문화적 특징 중에 가장 주목할 만한 점은 정신성에 역점을 둔 것이다. 이러한 정신성에 관한 문제는 적과 대면했을 때의 마음 상태와 함께 수련을 통한 인격도야에 있다. 이것은 검술의 최고 경지는 검과 마음이 하나가 되는 것을 뜻한다. 결국 일본무도가 주자학의 철학적 기반을 통해 궁극적으로 추구하고자 했던 것은 ‘무심/평상심(無心/平常心)’이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acceptance of Neo-Confucianism and swordsmanship transformation of Japanese warriors during the Edo period. In order to examine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Japanese swordsmanship in the Edo period, it must be discussed based on Neo-Confucianism. Through this consideration, it will be easier to understand the ultimate goal of cultivation and the transformed philosophical meaning of Japanese warriors in the Edo period through the absorption of Neo-Confucianism.
    During the Edo period, Neo-Confucianism was designated as a government school and used as a governing ideology. This Neo-Confucianism naturally melted into the swordsmanship of warriors. As a specific theory of cultivation of Neo-Confucianism, the warriors accepted the ideas of ‘Gewuzhizhi(格物致知)’, ‘the way ward human mind, the Moral min(人心道心)’, and ‘Jing(敬)’. Takuang Soho(澤庵宗彭, 1573∼1646) and Yagyu Munenori(柳生宗矩, 1571∼1646) saw ‘Jing(敬)’ as a spiritual unification that concentrates the mind in one place and prevents it from being scattered elsewhere. However, ‘Jing(敬)’ is a low-level training method, and a higher level is Buddhism's ‘one should generate a mind that is not fixed on anything(應無所住, 而生其心)’. In other words, in terms of swordsmanship, it was more important to release the mind freely than to hold it.
    As such, Japanese Zen monks and warriors accepted the theories of Neo-Confucianism, but reinterpreted them in a Buddhist way along with their practical experience of swordsmanship. The most notabl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kendo over its long history are its emphasis on spirituality. The problem with this spirituality lies in the view of personality through training along with the state of mind when facing the enemy. This means that the highest state of swordsmanship is that the sword and the heart become one. In the end, what Japanese martial arts ultimately wanted to pursue through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Neo-Confucianism was ‘composure(平常心)’.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율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