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흑사병 창궐과 유대인 학살(pogrom): 1348~51년 유대인 음모론과 사회적 대응 (Jewish Poison Conspiracy and its Responses during the Black Death in 1348~51)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21.03
34P 미리보기
흑사병 창궐과 유대인 학살(pogrom): 1348~51년 유대인 음모론과 사회적 대응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양중세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양중세사연구 / 47호 / 153 ~ 186페이지
    · 저자명 : 이상동

    초록

    14세기 중반(본 논문은 신성로마제국의 경우에 집중하지만) 서유럽 사회는 흑사병이라는 미증유의 재난에 직면했다. 사회는 공포와 불안에 휩싸였고, 이는 유대인이 기독교도를 살해하기 위해 우물에 독을 푼다는 독극물 음모론의 생산과 유통으로 이어졌다. 이 음모론은 유대인 대량 학살의 명분을 제공했다. 음모론은 실재한 것으로 여겨졌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대인이 자백을 통해 죄를 인정했기 때문이다. 둘째, 사회적으로 어려운 상황 아래에서 사회 구성원은 소수자를 타자로 만들고 희생양으로 삼는 경향이 있다는 뒤르켐과 지라르의 일반론적 입장을 적용할 수 있다. 셋째, 종교·심성적인 면에서 기독교 사회에 내재화되어 있던 반유대인 정서 역시 유대인의 음모론이 실재한다고 믿게 했다. 음모론 및 유대인을 대하는 태도는 계급(층)에 따라 달랐다. 각자의 이해관계 및 입장에 따른 것이었다. 민중 계급은 종교·심성적 맥락과 정치·경제적 상황에 따라 유대인 학살을 자행했다. 도시 엘리트 계급은 경제·사회적 이유에서 유대인을 보호하고자 했다. 교회 당국은 교리적 전통에 따라 유대인을 보호하고자 했다. 그러나 그들의 노력과 시도는 실패로 끝났다.

    영어초록

    The mid-fourteenth century Europe experienced a deadly plague, which made people frightened and anxious and led to the belief that the Jews put poison into the well to kill Christians and destroy the Christendom. As a result, the Jews were accused and massacred (especially in Holy Roman Empire). The conspiracy was believed to be real on account of these: firstly, the accused Jews confessed their crimes. Secondly, the theories of Emile Durkheim and Rene Girard, which indicate that minority groups were inclined to become the scapegoats when communities faced difficulties to hardly deal with, could also apply to why people considered the conspiracy true. Thirdly, the anti-semitism of Christians enabled them to believe in Jews putting poison into the well. The responses to the conspiracy and the Jews were different between social classes. The lower class had the anti-semitism in religion, political and economical terms, which caused them to massacre the Jews. On the other hand, the elite group and the church intended to protect the Jew, which based on the former's relationship with the Jews in economical and social aspects and the latter's doctrinal tradition. However, they could not keep the Jews sa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