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성 단백뇨가 있는 당뇨병성 신증 환자에서혈청 VCAM-1의 증가 (Elevated Serum Level of Soluble VCAM-1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withOvert Nephropathy)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03.06
9P 미리보기
현성 단백뇨가 있는 당뇨병성 신증 환자에서혈청 VCAM-1의 증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신장학회
    · 수록지 정보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 22권 / 3호 / 294 ~ 302페이지
    · 저자명 : 서장원, 김유미, 민원기, 권순길, 김상현, 이정익, 장재원, 양원석, 박수길

    초록

    배 경 : 가용성 세포부착분자 (sVCAM-1)는 죽상동맥경화증 같은 염증성 과정 동안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뇨병성 신증에서도 sVCAM-1의 발현이 증가되어 나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 의의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방 법 : 본 연구에서는 하루 300 ㎎ 이상의 현성 당백뇨가 있는 제 2형 당뇨병성 신증 환자 64명 [24시간 요단백 중간값 (범위) : 2.2 (0.2-18.7) g/day] 및 정상대조군 12명을 대상으로 혈청 sVCAM-1을 효소면역검사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혈청 sVCAM-1과 총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oxidized LDL 및 죽종형성 단백질 (atherogenic protein)인 lipoprotein(a) (Lp(a))를 포함하는 지단백들 및 혈청 hs-CRP를 포함하는 염증성 인자들, 혈청 알부민 및 섬유소원, 그리고 24시간 요단백양 및 혈청 크레아티닌을 포함하는 신기능과 관련된 인자들 및 혈증 호모시스테인 농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결 과 : 대상 환자들은 남자 37명, 여자 27명이었으며 평균 혈청 크레아티닌 농도는 2.5±1.3 ㎎/dL이었다. 당뇨병성 신증 환자군에서 혈청 sVCAM-1의 중간값 (범위)은 561 ng/mL (183-1304)이었으며, 정상대조군의 중간값(범위) 324 ng/mL (213-760)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p<0.05). 당뇨병성 신증 환자군에서 혈청 sVCAM-1은 단변량 분석상 혈청 크레아티닌 (r=0.31, p=0.025), 혈청 Lp(a) (r=0.29, p=0.043) 및 24시간 요단백양 (r=0.37, p=0.008)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다변량 회귀분석에서는 24시간 요단백양 및 혈청 Lp(a) 농도가 혈청 sVCAM-1 농도의 증가와 유의성이 있었다 (r²=0.22, p=0.003). 결 론 : 현성 단백뇨가 있는 당뇨병성 신증 환자에서 혈청 sVCAM-1 농도가 24시간 요단백양 및 혈청 Lp(a) 농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 결과는 혈청 sVCAM-1의 증가가 진행된 신손상에 의한 sVCAM-1의 생산 증가 및 동반되어 나타나는 죽상경화성 병변과 연관되어 나타나는 것을 시사하며, 이에 대한 전향적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영어초록

    Background: Soluble adhesion molecules including soluble 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1 (sVCAN-1) are released during in infalmmatory process such as artherosclerosis. Elevated sVCAM-1 also has been reported in diabetic nephropathy. But,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edevated of sVCAN-1 is not certain. We measured serum sVCAM-1 for the purpose to validate the clinical usefulness in diabetic nephropathy. Methods: In this study, we measured serum sVCAM-1 in normal subjects and 64 type 2 diabetic patients with proteinuria over 300mg/day [median 24-h urint protein (range):2.2 (0.3-18.7) g/day]. We evaluated the relationship of serum sVCAM-1 with lipoproteins including total cholesterol, LDL, oxidized LDL (oxLDL), HDL, and lipoprotein(a) (Lp(a)), with markers of inflammation including high-sensitivity CRP (hs-CRP), serum albumin and fibrinogen, and with renal parameters including 24-h urine protein, seurm creatinine and homocysteine. Results: In patients with diabetic nephropathy, median sVCAM-1 was 561 ng/mL(range 183-1304),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ormal subjects (324 ng/mL: 213-760, p<0.05). In the diabetic nephropathy patients, sVCAM-1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rum creatinine (r=0.26, p<0.05). In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24-h urine protein and srrum Lp(a) wer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level of sVCAM-1 (r^(2)=0.22, p=0.003). Conclusion : In summary, a positive correlation of sVCAM-1 with 24-h urine protein suggests that high sVCAM-1 may reflect increased production of sVCAM-1 due to more advanced renal injury. A positive association of sVCAM-1 and serum Lp(a) also suggests increased release of sVCAM-1 from associated atherosclerotic lesions in these pati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VCAM-1 may be closely related with the renal function in patients with overt diabetic nephrophthy. (Korean J Nephrol 2003; 22(3):294-302)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