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궁중 모란병 기화화원의 私的 賣畵 활동과 그 영향 (A Study on the Sale and Influence of Folding Screens of Peonies by Court Painters in the Joseon Dynasty)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2 최종저작일 2022.12
22P 미리보기
조선시대 궁중 모란병 기화화원의 私的 賣畵 활동과 그 영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화 / 17호 / 152 ~ 173페이지
    · 저자명 : 이은지

    초록

    본고는 조선시대 궁중에서 제작된 모란병이 민간에 유출된 경로를 추적하고, 민간에서 제작된 궁중 양식의 모란병의 유통 배경을 추론하는 글이다. 궁중 모란병은 조선시대 궁중의 대표적인 장식 병풍으로 왕실과의 밀접한 관련 하에 제작, 소용되었으며 17세기 무렵부터 민간에 전해지기 시작하였다.
    17세기 정안옹주와 박미의 혼례와 같이 궁중에서 사가로 출가하는 왕녀 혼례 때 부마에게 궁중에서 제작한 모란병이 하사되었고, 18세기 후반 민간의 혼례를 행하는 과정에서 제용감이 보관한 모란병이 민간에 대여되면서 궁중 모란병은 민간에 시차 없이 공유될 수 있었다. 특히 18세기 후반 궁중 모란병이 민간에 대여될 수 있었던 결정적인 계기는 당시 왕실의 열악한 재정 상황의 극복 방안으로 민간 자본의 유입을 허용하게 되면서 이루어질 수 있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이때 제용감의 모란병이 그 대상이 된 것에는 제용감 관아의 지리적 위치, 낮은 품질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18세기 무렵부터 광통교 일대에 형성된 문화 유통 공간에서는 다양한 계층의 수요자를 대상으로 서화, 도서가 판매되었다. 이러한 광통교 일대의 유통 공간은 도화서와 인접한 곳에 자리하였고, 이곳에서 궁중 화원들은 공적 활동만으로 충족되지 않는 자신들의 경제적 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사적 수요에 응하며 궁중 양식으로 제작한 다양한 화제의 그림을 판매하였다. 그중에서도 모란병의 경우 현존하는 유물 수가 상당하여 여러 계층에서 모란병에 대한 수요가 있었음을 알려주며, 나아가 당시 많은 수요에 부합하도록 대량 제작되었음을 짐작하게 한다.
    특히 현전하는 모란병 유물 중에는 궁중 소용이 아님에도 궁중 양식으로 제작된 것이 다수 확인되는데, 이는 궁중에서 모란병 기화화원으로 활동한 화원들이 궁중 양식의 모란병을 민간에서 활발히 제작하였음을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모란병 기화화원으로 활동한 궁중 화원 중 백두용의 경우 한남서림을 경영하면서 그림을 제작해 판매한 이력이 존재해 궁중 양식의 모란병을 자신의 점포에서 판매하였을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나아가 본고는 현전하는 모란병 유물들을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그 특징을 살펴 궁중 화원들이 민간에 유통하였을 모란병을 구체화하였다. 이 과정에서 민간 화가가 제작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는 유물들의 경우 궁중 화원이 제작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는 유물들에 비해 청색 안료의 사용량이 적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민간 화가들이 자신들의 주요 고객이었을 일반 중인 혹은 평민층을 염두에 두어 고가의 청색 안료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모란병을 제작, 판매한 결과라 추정해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traces the route of folding screens of peonies produced by the royal court during the Joseon Dynasty to the public and infers the public circulation background of folding screens of peonies produced in the royal style. Folding screens of peonies of the royal court are representative decorative folding screens of the Joseon Dynasty, produced and used in close connection with the royal family, and began to be handed down to the public around the 17th century.
    In the 17th century, a folding screen of peonies produced by the court was given to king's son-in-law during the princess’s wedding, and in the late 18th century, Jeyonggam(濟用監)’s folding screens of peonies was rented to the public.
    In addition, from the 18th century, calligraphic paintings and books were sold in the cultural circulation space formed in the Gwangtonggyo Bridge(廣通橋) area. The circulation space around Gwangtonggyo Bridge was located adjacent to Dohwaseo(圖畵署), where court painters sold various paintings made in royal style in response to private demand to improve their economic conditions that were not met only by public activities. Among them, in the case of folding screens of peonies, the number of existing relics was considerable, indicating that there was a demand for folding screens of peonies in various classes, and furthermore, it is assumed that they were mass-produced to meet many demands at the time.
    In particular, it is confirmed that many of the existing folding screens of peonies were made in the royal style even though they were not for court use, which shows that those who worked as court painters who made folding screens of peonies in the royal court actively produced folding screens of peonies in the royal style. Among those who worked as court painters who produced folding screens of peonies, it is noteworthy that Baek Du-Yong(白斗鏞, 1872-1935) has a history of producing and selling paintings while running a bookstore called Hann am-seorim(翰南書林), so he is likely to sell folding screens of peonies were made in the royal style in his own store.
    Furthermore, this study classified the existing folding screens of peonies into four types and examined their characteristics to specify folding screens of peonies that court painters would have circulated to the public. In the process, it was confirmed that the use of blue pigment was reduced in the case of relics believed to have been produced by local painters compared to those believed to have been produced by court painters. This can be presumed to be the result of the local painters producing and selling folding screens of peonies by minimizing the use of expensive blue pigments with the common people who were their main customers in mi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