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염병 도시’ 경성의 비판적 검토: 통계 자료를 중심으로 (A Critical Review of Gyeongseong as an ‘epidemic city’: Focusing on Statistical Data)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1 최종저작일 2023.02
41P 미리보기
‘전염병 도시’ 경성의 비판적 검토: 통계 자료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서울학연구 / 90호 / 1 ~ 41페이지
    · 저자명 : 이규원

    초록

    일제강점기 경성은 당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명실상부한 ‘전염병 도시’로서 표상되어왔다. 이러한 평가는 비판적인 고찰 없이 수용되고 재생산되어왔으며, 가장 기본적인 논거가 되어야 할 당대 경성의 전반적인 전염병 유행 상황조차 제 대로 파악된 적이 없었다.
    본고는 경성의 전염병 유행 상황을 객관적·상대적·시계열적으로 파악함으 로써 경성의 ‘전염병 도시’론을 재검토한 최초의 시도이다. 일제강점기 조선의 전 염병 통계에는 조선인의 상황이 거의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에 일본인의 통계치 를 이용하였고, 경성의 상대적 평가를 위하여 일본 본토의 다양한 통계를 활용하 였다.
    1914∼1937년 경성부 거주 일본인의 법정 전염병 8종 사망률은 조선 전역보 다는 다소 높았지만, 일본 전역이나 6대 도시(도쿄, 오사카, 나고야, 교토, 고베, 요코하마)보다는 상당히 높았다. 그러나 1930년대에 들어서는 경성부의 법정 전 염병 8종 사망률이 크게 낮아져 6대 도시의 수준에 근접하였다. 질병별로 차이 는 있었지만, 수인성 전염병 3종의 사망률은 6대 도시와의 격차가 상당히 줄어들 었다. ‘전염병 도시’라는 꼬리표가 확산하고 고착화한 시기에 경성의 실제 전염병 유행 상황은 그러한 오명과는 다소 거리가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본고는 경성 주재 조선인의 상황을 추측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한계를 지닌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일제강점기 경성부의 현실을 더욱 정교하게 규 명하는 작업이 과제로 남는다.

    영어초록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Gyeongseong (Keijo, an old name for Seoul) has been represented as an ‘epidemic city’ from the time to the present. This evaluation has been ac- cepted and reproduced without critical consideration, and even the overall epidemic situa- tion in Gyeongseong, which should be the most basic premise of such arguments, has never been properly grasped.
    This paper is the first attempt to reexamine the theory of Gyeongseong as an ‘epidemic city’ by objectively, relatively, and time-sequentially grasping the epidemiological situa- tion in Gyeongseong. Since the situation of Koreans was hardly reflected in the statistics of communicable diseases in Jose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tatistics of Japanese people were used, and various statistics of mainland Japan were used for the relative evalua- tion of Gyeongseong.
    From 1914 to 1937, the mortality rate of eight notifiable communicable diseases in total among Japanese residents of Gyeongseong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the whole of Joseon, but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all of Japan or the six major cities (To k y o , Osaka, Nagoya, Kyoto, Kobe, and Yokohama). However, in the 1930s, the mortality rate of eight notifiable communicable diseases in total in Gyeongseong decreased significantly, approaching the level of the six major cities. Although there were differences by disease, the mortality rate of three waterborne communicable diseases in total in Gyeongseong, signifi- cantly narrowed the gap with the six major cities. At the time when the label of ‘epidemic city’ spread and became fixed, the actual epidemic situation in Gyeongseong was somewhat far from such a stigma.
    However, this paper has a limitation in that it has no choice but to rely on speculation about the situation of Koreans living in Gyeongseong. Overcoming this limitation and clari- fying the reality of Gyeongseo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more elaborately remains as a tas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