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질병의 근대: 일제강점기 부인병의 의미와 매약광고 (Modernity of Disease: Exploring Meanings of Women's Disease and Patent Medical Advertisement in Colonial Korea)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1 최종저작일 2021.12
49P 미리보기
질병의 근대: 일제강점기 부인병의 의미와 매약광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아시아여성연구 / 60권 / 3호 / 45 ~ 93페이지
    · 저자명 : 박진경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일제강점기 부인병의 의미를 탐색해 보는 것이다. 한국의 식민지근대의 형성과정은 근대 서양의학의 유입과 정착을 내포하는 것이었다. 이 과정은또한 근대 매체를 통한 질병에 관한 수많은 언어, 은유, 이미지와 스테레오타입이 새롭게 대량 생산되는 문화적 과정과 밀접한 연관관계를 가지는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는이러한 사회문화적 현상을 질병의 근대라고 명명한다. 그렇다면, 질병의 근대를 여성주의적 관점에서는 어떻게 이해하고 연구할 것인가? 이를 위한 구체적인 사례 연구로서 일제강점기 일간지에 나타난 부인병의 사회문화적 의미를 고찰해 본다. 일제강점기 부인병(婦人病)은 월경불순, 냉대하, 불임, 성병 등을 포함하는 여성의 임신, 출산에관련된 거의 모든 병을 총망라하는 일종의 완곡어법(euphemism)이었다. 본 연구는 부인병의 의미를 살펴보기 위해 두 가지 측면에 주목한다. 우선 근대의학의 권위자로서 의사들이 기고한 기사를 분석한다. 의사들은 부인병 치료를 포함하여 여성의 몸과 질병에 관한 근대적 인식과 치료방식의 보급을 위해 신문을 통하여 부인병에 관한 근대의학적 지식을 대중에게 전파하고자 하였다. 이와 더불어 신문에 등장한 부인병 치료를위한 매약광고를 분석한다. 매약광고가 여성의 몸과 질병에 관한 새로운 은유와 이미지를 생산해 내는 과정에 비판적으로 주목한다. 특별히 조선인 매약 업자들의 광고와일본 제약회사 신문광고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일제가 부인병약, 성병 치료제 등을 통하여 제국의 젠더 이데올로기와 식민지의 몸을 구체적인 이미지로 형상화하여 각인시키며 제국일본과 식민지조선의 경계를 그려내었음을 주장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meanings of women’s disease in Korea under Japanese rule. Colonial modernity in Korea saw the rise and development of modern medicine. This process was closely linked with the cultural origin and dissemination of countless languages, meta phors, images, and stereotypes of illnesses through modern mass media.
    The study aims at capturing this socio-cultural phenomenon by naming it the “modernity of disease” and investigates it from a feminist perspective, focusing on the social, cultural, and medical meanings of what was then called puinbyǒng (婦人病; women’s disease). Puinbyǒng referred to a con stellation of women’s diseases concerning pregnancy and childbirth in cluding irregular menstruation, leucorrhea, infertility, venereal disease, and frigidity. It served as a powerful and convenient euphemism for women’s sexual and reproductive illnesse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cultural meanings of women’s diseases are delineated through a crit ical investigation of medical doctors’ reports on puinbyǒng. Special atten tion is paid to the newspaper patent medical advertisements of women’s disease, which were key sites in which new metaphors and images in volving the female body and illnesses appeared in colonial Korea. These advertisements on puinbyǒng produced by Korean and Japanese manu facturers are compared and contrasted. Finally, the study argues that Japanese producers of women’s medicine piggybacking on Japanese im perial power and its colonial ideologies constructed different images and languages of the colonial body to showcase the prowess of the empire and medicine, producing myriads of meanings of women’s bodies and diseas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시아여성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