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내 2형 당뇨병 애플리케이션의 디자인 사례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Case of Type 2 Diabetes Application in Korea)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1 최종저작일 2024.09
12P 미리보기
국내 2형 당뇨병 애플리케이션의 디자인 사례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 / 9권 / 3호 / 164 ~ 175페이지
    · 저자명 : 송은주, 남원석

    초록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현재 우리나라의 2020년 기준 30대 당뇨병 환자는 12만 1,568명으로 4년 전보다 25.5% 증가하였으며 특히, 젊은 당뇨 환자의 증가율이 20~30대에서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로 20대 유병률은 2016년 2만 3,798명에서 2020년 3만 5,005명으로 약 47% 늘어 심각한 증가세를 보였다. 이들은 긴 유병 생활로 인해 합병증 발생 위험이 크므로 꾸준한 관리와 지속적인 정보 취득을 위해 당뇨병 관리 앱의 중요성이 주목받고 있지만, 대다수 앱은 중장년층에 초점을 맞추어 개발되고 있다. 중장년층의 생활환경과 20~30대의 생활환경에는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는데 1인 가구의 비율이 높은 젊은 세대의 특징상 스스로 당뇨병 관리를 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낄 수밖에 없다. 젊은 당뇨병 환자와 40대 이상의 당뇨병 환자들의 경우 생활 환경 사회 환경 등에서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게 되는 부분들에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어서 선호하는 디자인이 달라지며 신체적인 상황도 영향을 받게 되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영향을 주게 된다. 두 대상을 같이 보고 당뇨병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것에는 사용자의 불편함을 일으킬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두 대상의 격차를 인정하고 기존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아니라 개발 목적의 대상에서 밀려났던 젊은 당뇨병 환자들이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의 필요성이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젊은 당뇨 환자들이 스스로 당뇨병을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해 20~30대가 선호하는 애플리케이션과 당뇨 관리 앱의 디자인적 특징을 비교하여 젊은 당뇨 환자에게 적합한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를 진행하였다. 해당 논문은 20~30대의 사용 빈도가 높은 애플리케이션과 기존 당뇨병 애플리케이션을 비교 분석하였다. 현재 당뇨병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사용자의 접속 횟수를 늘릴 수 있는 재미 요소가 부족하여 젊은 당뇨병 환자들이 지속적인 관리를 도와줄 수 있는 재미 요소의 개발이 요구되어 보인다.

    영어초록

    According to statistics from the Korea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the number of diabetes patients in their 30s stood at 121,568 as of 2020, up 25.5% from four years ago. In particular, the prevalence of young diabetes patients in their 20s increased by 47% from 23,798 in 2016 to 35,005 in 2020. They are at high risk of complications due to their long disease life, so the importance of the diabetes management app is drawing attention for steady management and continuous information, but most apps are being developed focused on middle-aged people. There is inevitably a difference between the living environment of middle-aged people and those in their 20s and 30s, bu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younger generation, which has a high propor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it is difficult to manage diabetes on their own. For young diabetics and diabetes patients in their 40s or older, there will be differences in the areas that are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ed by the living environment and social environment, so the preferred design will change and the physical situation will be affected, which will affect the user interface. Looking at the two objects together and developing diabetes applications will inevitably cause inconvenience to users. Recognize the gap between the two targets and see the need for applications used by young diabetes patients who have been pushed out of development targets, not applications for existing middle-aged people. Therefore, the study conducted a basic study for developing applications suitable for young diabetes patients by comparing applications preferred by people in their 20s and 30s with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diabetes management apps in order to develop applications that can help young diabetics manage diabetes on their own. The paper compared and analyzed the most frequently used and existing diabetes applications in their 20s and 30s. Currently, for diabetes applications, there is a lack of fun factors that can increase user access, leading to the need to develop fun factors that can help young diabetics manage continuous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리서치”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