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 한센병문학의 의의와 현재성 (The Significance and Nowness of Leprosy Literature in Japan with a Focus on Hojo Tamio's The First Night of Life(いのちの初夜))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1 최종저작일 2016.02
26P 미리보기
일본 한센병문학의 의의와 현재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일본연구 / 25호 / 75 ~ 100페이지
    · 저자명 : 이지형

    초록

    본 논문은 일본의 대표적 한센병소설 작가 호조 다미오의 삶과 문학을 그의 대표작 『생명의 초야』를 통해 고찰함으로써, 한센병문학의 의의와 현재성에 대해 논구한 연구이다. 일본의 한센병문학은 호조 다미오의 소설 『생명의 초야』를 통해서 세상 밖으로 나왔다. 오랜 동안 혹독한 혐오와 차별 그리고 공포의 대상이었던 한센병과 한센병자의 실상에 대한 정보가 당사자의 글을 통해 처음으로 사회로 발신된 것이다. 한센병자의 요양소 격리에 대한 최초의 문학적 자기표현, 소설『생명의 초야』에 대한 가장 적합한 정의라고 할 수 있다.
    한센병자가 사회 밖에서 요양소 안으로 ‘수용’되는 과정은 실은 그가 사회 내부로부터 그 울타리 밖으로 ‘추방’되는 과정 외에 다름 아니다. ‘격리’를 본질로 하는 한센병 요양소의 ‘안과 밖’은 이렇게 대극의 의미로 맞물려 있다. 한센병 요양소는 한센병자 당사자에게 이계(異界)이자 미지의 세계다. 체념과 허무는 요양소 격리를 통해 불안과 공포로 증폭된다. 입소 후 직시한 중증 한센병자의 훼손된 신체는 그것이 피할 수 없는 자신의 미래를 의미하기에 전율과 자살 충동을 야기한다. 한센병은 한센병자에게도 결코 인정하고 싶지 않은 타자의 영역이다.
    그러나 부정할 수 없는 것은, 한센병이야말로 고뇌의 근원인 동시에 존재를 규정하는 절대조건이라는 사실이다. 그 낯선 타자를 받아들이고 한센병자로서 살아가기까지의 과정을 소설 『생명의 초야』는 담담히, 생생히 그리고 있다. 그 과정은 과거의 삶에 집착해 한센병자를 타자로 바라보던 자신의 ‘인간’을 죽이고 한센병자로서의 ‘생명’을 새로이 받아들임을 통해 가능했다. ‘온 몸이 무너져도 좀처럼 죽지는 않는’ 한센병자의 비극적 숙명을 삶의 끈질긴 생명력으로 전화시킨 것이다.
    그렇기에 한센병문학은 결코 한센병이라는 ‘특수한 세계’가 아니라 우리 삶의 보편성과 긴밀히 맞닿아 있다. 어떻게든 살아가겠다는 의지, 어떻게 살 것인가라는 고뇌야말로 ‘생명’을 지향하는 모든 이들에게 공통되는 보편적인 삶의 당면문제이기 때문이다. 한센병문학이라는 마이너리티문학의 의의가 결코 왜소할 수 없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소설 『생명의 초야』는 그간 은폐돼 있었던 한센병 요양소의 초야를 뜨겁게 지새움으로써 한센병문학이라는 새 생명의 새벽을 열었다.

    영어초록

    Attempts are made in the present paper to determine the significance and nowness of leprosy (Hansen's disease) literature by reviewing the life and literature of Hojo Tamio (北條民雄), who caught leprosy at the age of 20, through his masterpiece The First Night of Life. This work brought leprosy literature to light in Japan. In his novella, the writer sent Asia a message about the real states of leprosy and lepers who had long been maltreated and dealt with as objects of extreme fear, hatred and discrimination. A literary self-expression about lepers kept in isolation in a sanatorium might be the truest definition of the novella The First Night of Life.
    The process in which lepers are hunted down to be confined in to sanatoria is no more than a sort of ostracism, from living within society to being forced to exist outside of it. The essential nature of sanatoria for lepers is isolation, signifying the fierce confrontation between insiders and outsiders. A sanatorium is a strange and unknown world for a leper in which his sense of resignation and futility develops into suspense and horror. Immediately after being admitted, he has to face the horrible sight of the impaired bodies of advanced stage lepers, which before would drive him to shuddering and now urged him to commit suicide since he knows it is the unavoidable course he will follow. Leprosy or Hansen's disease was a world that lepers themselves did want to accept under any circumstances.
    It cannot be denied, however, that leprosy is a source of suffering, and at the same time a condition which absolutely defines the existence of a leper. The events from the moment a leper receives a strange other up to the moment he has lived his life with this stranger are described calmly but vividly in the novella The First Night of Life. Such events are only possible because the leper eventually accepts his life as a leper after killing the part of himself which had persistently stuck to his past life, looking upon lepers simply as others. The tragic fate of lepers whose disease does not kill its host until all parts of the body are totally destroyed is transformed into an insistent life force in the novel.
    It may therefore be said that leprosy literature belongs not to a particular world at all but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universality of our lives. This is because our will to live in any way and struggle to find a way to live are common issues for all who endeavor to orient themselves toward life. This is why the significance of leprosy literature, though a minority branch, should not be underestimated. The novella The First Night of Life is said to open a new dawn of life for leprosy literature by heating up the first night of life in a sanatorium for lepers who have been set aside behind the curtai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