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남북조의 전염병에 대한 시론 (A Study of the Epidemics in the Northern and the Southern Dynasties of Medieval China)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1 최종저작일 2021.04
40P 미리보기
중국 남북조의 전염병에 대한 시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의료역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의료사회사연구 / 7권 / 65 ~ 104페이지
    · 저자명 : 이현숙

    초록

    본고는 중국 중세-특히 남북조 시기에 발생한 전염병의 양상을 살펴보고, 그것이 사회에 끼친 영향을 시론적으로 살펴본 것이다. 남북조의 전염병은 기후변화로 인해 야기된 북방 유목민족의 대대적인 주거지 이동에서 유래되었다. 북방 유목민족은 전쟁을 통해 중원 지역을 차지하였으며, 중원 지역에 살던 한족들이 양자강 유역의 무더운 지역에서 살게 되었다. 이와 같은 주거지 이동은 기존의 원주민과 새로 온 이주민이 가지고 온 병원체 간의 교환이 이루어졌다. 새로 온 이주민은 새 거주지의 풍토병에 대한 면역이 취약하였으며, 기존 원주민은 새 이주민이 가지고 온 생소한 병원체에 대한 면역이 없었다. 또한 이주민과 거주민 간의 전쟁, 그리고 이주민의 새 주거지 건설로 인한 환경파괴, 기근 등등은 야생동물의 서식지를 파괴하고 인육까지 먹는 비상 상황에서 코로나19에서 보듯이 병원체의 변이를 초래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남조와 북조에서 유행하였던 전염병의 양상은 달랐다. 북쪽에서 온 선비족은 우선 인수공통 감염병으로 고통을 받았으며, 이는 화북지역에 남아있던 한족과 사슴과 같은 야생 동물에게도 해당되었다. 전염병의 빈번한 유행으로 인해 남북조 모두 전염병에 대한 대응책이 발달하였다. 빈번한 전염병의 발생은 남북조가 통합하려는 힘을 약화시키는 한 요인이 되기도 했지만, 전염병의 대처에 보다 체계적으로 접근한 북조가 역사의 헤게모니를 장악할 수 있는 원동력을 제공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남북조의 의료체제와 의학의 발전은 통일 제국을 이루었던 수에 이르러 관료제하의 의료체제가 확립되었다. 의료가 통치기재로 중요하다는 점을 잘 인식하고 있던 수나라 권력층에서는 610년 『제병원후론』과 『사해유취방』이라는 관찬 의학서를 편찬함으로써 남북조 의학의 통합을 이루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aspects of the epidemics that occurred during the medieval era in China, especially during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南北朝, 386-589). At the first, the epidemics were caused by the massive migration of northern nomads. They had invaded and moved on China's central region where Chinese Han had been for generations. Because they had to avoid the severe cold due to climate change that began in the later Han Dynasty. Frequent wars between Chinese Han and northern nomads led to frequent epidemics. The Chinese Han people who lived in the central area lived in the hot areas of the Yangtze River basin. This migration of dwellings took place in exchange for pathogens brought by existing natives and new immigrants. The new migrants were vulnerable to endemic diseases in the new residence, and the existing natives were not immune to unfamiliar pathogens brought by the new migrants. In addition, the war between migrants and residents, environmental damage caused by the construction of new residences, famine, etc. are likely to have caused pathogen mutations in the emergency situation of destroying wildlife habitats and eating human flesh. In other words, the prolonged confrontation between the two Koreas resulted in frequent outbreaks of infectious diseases. The prevalence of infectious diseases in the South and North Dynasties was different. The Xianbei(鮮卑)'s Northern Wei(北魏, 386-534) from the north first suffered from zoonosis, which seems like to be derived from their horses and cows. The Chinese Han in the Yangtze may also be expose in a new environment as well as new virus and pathogens. Due to the frequent breakout of epidemics, the North and South both have developed countermeasures against infectious diseases. It seems like that the government focused on distributing curable medicines, training professional medical personnel, and institutionalizing them. The trials of the epidemic in the South and the North were severe, but the North tended to be superior in medical system comparing with the South. Frequent outbreaks of epidemic have also been a factor in weakening the power of the North and South to integrate. However the North, which has a more systematic approach to dealing with the epidemic, seems to have provided the driving force to take control of the hegemony of China. The development of the medical system and medicine in the two led to the establishment of a bureaucratic medical system. The authorities of the Sui(隋, 581-630) Dynasty, who were well aware of the importance of medical care as a governing method, toried to make the integration of the South and North medicine by compiling two distinguished medical books titled Zhubing- yuanhou-lun(諸病源候論, Treatise on the Pathogenesis and Manifestations of All Diseases) and sihai-juleifang(四海類聚方, The Prescriptions of Grouping the Classes in the Whole World) in 610.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의료사회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