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라남도 동부지역 학도병의 참전 연구: 화개전투 참전 학도병의 구술 증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articipation of Student Soldiers in Eastern Jeollanam-do Province: Focusing on the Oral Statements of Student Soldiers in Battle of Hwagae)

5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1 최종저작일 2021.09
51P 미리보기
전라남도 동부지역 학도병의 참전 연구: 화개전투 참전 학도병의 구술 증언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구술사연구 / 12권 / 2호 / 87 ~ 137페이지
    · 저자명 : 김현익

    초록

    이 연구는 전사(戰史) 중심적 기록물에서 벗어나, 전쟁을 경험한 학도병들의 구술 을 바탕으로 참전 과정을 분석하였다. 전쟁이라는 거시적 흐름에서 벗어나, 학도병이 라는 개인에 초점을 맞춰 전투과정을 서술하였다. 필자는 지역민들조차 학도병이 있 었는지 화개전투가 무엇인지 모르는 상황에서, 그들의 존재가 잊혀지지 않게 하고자 구술인터뷰를 시작하게 되었다. 증언자들의 구술 범위를 생존 학도병과 더불어 학도 병 중대장 및 학도병 유가족으로 확장하여 새로운 시각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학도 병들이 전투를 경험하면서 느꼈던 감정들과 당시 상황에 대한 구술증언을 통해 화개 전투를 재구성하였다.
    화개전투가 발발한 지 71년이 지났기에, 생존 학도병들은 구술을 진행하는 동안 기억의 왜곡이 일부 발생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 학도병들의 구술을 모으고, TV 다큐멘터리, 신문, 책, 학도병동지회 자료 등을 종합한 끝에 화개전투의 전 과정 을 재구성할 수 있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학도병들은 여수·순천 10·19사건을 목격하면서 전쟁의 참혹함을 느꼈으며, 그날의 경험은 한국전쟁이 발발하면서 학생들의 자발적 입대를 촉진시킨 계기가 되었다. 9일 간의 훈련을 마친 학도병들은 화개전투에서 북한군 6사 단과 전투를 치뤘는데, 아비규환의 현장을 경험하게 된다. 이때 생존 학도병들은 부상 당한 학도병들을 구하지 못한 미안함과 죄책감을 느꼈다. 그 이후 진주전투에서는 전 과 다른 모습으로 전투에 임하였다. 학도병들이 절반 정도 희생되자, 학도병 중대장은 대부분의 학도병들을 제주도 하사관학교에 입교시켜 더 이상의 희생을 막았다. 일부 학도병들은 전선에 계속 남으며, 치열한 전투를 헤쳐나갔다. 생존 학도병들은 전역 이 후 먼저 떠난 이들을 그리워하였고, 매년 추모활동을 이어나갔다.
    학도병 구술을 통해 그들이 전쟁을 겪으면서 느꼈을 감정을 생각하고, 전쟁의 참혹함과 아픔을 공감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Apart from the war historical-centered records, this study analyzes the participation process of war based on the oral statements of student soldiers. The battles were described by the experience of individual student soldiers, not the macroscopic view of war. Even the local people did not know what the Battle of Hwagae was. For that reason, an interview with student soldiers was conducted to make them be remembered. The interviewees were surviving student soldiers, the company commander, and bereaved families of student soldiers. The interview revealed various points of view about the war. Based on the interview, this paper reconstructs the Battle of Hwagae through their oral statements of feelings and situations in the battles.
    It has been 71 years since the Battle of Hwagae broke out. Some memories of student soldiers were distorted. Nevertheless, it was possible to reconstruct the entire process of the Battle of Hwagae by gathering the oral statements of various student soldiers and combining TV documentaries, newspapers, books, and the documents of the student soldier comrade council.
    The contents are as follows. The student soldiers felt the horrors of war when they witnessed the Yeosu-Suncheon 10·19 Incident, and the experience of that day encouraged the voluntary enlistment of students when the Korean War broke out. After nine days of training, the students fought with the 6th Division of the North Korean Army in the Battle of Hwagae, where they experienced the pandemonium. At this time, the surviving soldiers felt sorry and guilty for not saving the wounded fellow soldiers. In the Battle of Jinju, their skill had improved. Nevertheless, about half of the student soldiers were killed. The company commander of the student soldiers admitted most of them to the Jeju-do Military Academy to prevent further casualties. Some student soldiers remained in the front line and kept fighting. After being discharged from the army, the surviving soldiers missed their deceased fellows and continued their annual memorial ceremonies.
    This paper attempts to shed light on the student soldiers’ feelings and experience of war, and empathize with the horrors and pain of war through their oral statem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술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