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경아교세포와 조현병 (Neuroglial Cells and Schizophreni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1 최종저작일 2015.05
8P 미리보기
신경아교세포와 조현병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생물정신의학회
    · 수록지 정보 : 생물정신의학 / 22권 / 2호 / 47 ~ 54페이지
    · 저자명 : 원승희

    초록

    중추신경계에는 신경세포보다 더 많은 여러 형태의 신경아교세포들이 있으며 신경세포와 상호작용을 통하여 뇌 발달및 뇌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희소돌기아교세포(oligodendrocyte)는 축삭을 둘러싸는 수초를 형성하여 효율적인 신경전달이 가능하도록 하고, 별아교세포(astrocyte)는신경세포와 주변의 혈관을 구조적으로 지지해 주며 신경전달물질을 조절하고 신경영양인자(neurotrophic factor)나 사이토카인을 분비한다. 미세아교세포(microglia)는 면역반응을통해 대뇌의 항상성을 유지한다.1) 최근에는 대뇌 전반에 분포하면서 뇌 부위에 따라 분화가 달라지는 전구세포(progenitor cell)의 일종인 nerve/glial antigen 2(NG2) 양성 세포가신경아교세포에 포함되었다.2) 대부분의 신경과 질환이나 퇴행성 뇌 질환의 병리와 비교하여 조현병의 중요한 차이점 중 하나는 특정 뇌 부위(전두엽, 두접엽, 측두엽, 해마, 부해마회)에 용적은 감소하지만 신경세포의 소실은 관찰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3) 조현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뇌 영상과 사후부검 및 동물모델 연구 결과 뇌 백질의 다양한 이상 소견이 보고되면서, 신경 연결성(neural connectivity) 또는 신경망 연결성(neural networks connectivity)의 단절이라는 구조적 변화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뇌 백질을 주로 구성하고 있는 신경아교세포들이 조현병 병리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관한 연구가 집중되었다.4) 최근 들어 조현병에서 신경아교세포의 이상 소견에 대한 보고가 증가는 하고 있지만, 아직 신경아교세포가 조현병발병에 일차적 원인인지 이차적 현상인지에 대해서는 논란이있다.5)본 논문에서는 최근 조현병과 관련하여 관심이 증가하고있는 신경아교세포들의 구조적, 기능적, 병리적 소견들을 살펴보고, 이 세포들의 이상을 표적으로 하는 치료전략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In the past decade, structural, molecular, and functional changes in glial cells have become a major focus in the search for the neurobiological foundations of schizophrenia. Glial cells, consisting of oligodendrocytes, astrocytes, microglia, and nerve/glial antigen 2-positive cells, constitute a major cell population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There is accumulating evidence of reduced numbers of oligodendrocytes and altered expression of myelin/oligodendrocyte-related genes that might explain the white matter abnormalities and altered inter- and intra-hemispheric connectivities that are characteristic signs of schizophrenia. Astrocytes play a key role in the synaptic metabolism of neurotransmitters ; thus, astrocyte dysfunction may contribute to certain aspects of altered neurotransmission in schizophrenia. Increased densities of microglial cells and aberrant expression of microglia-related surface markers in schizophrenia suggest that immunological/inflammatory factors are of considerable relevance to the pathophysiology of psychosis. This review describes current evidence for the multifaceted role of glial cells in schizophrenia and discusses efforts to develop glia-directed therapies for the treatment of the disea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