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冬不藏精, 春必病溫”의 개념 및 임상활용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Concept and Clinical Application of “冬不藏精, 春必病溫”)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1 최종저작일 2019.11
17P 미리보기
“冬不藏精, 春必病溫”의 개념 및 임상활용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한의학원전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32권 / 4호 / 17 ~ 33페이지
    · 저자명 : 은석민

    초록

    Objectives: 이 연구는 “冬不藏精, 春必病溫”이 본래 『內經』에 있지 않았던 것이었음에도 후대 의가들에 의해 『內經』의 설로 인용되면서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 과정을 살펴보는 한편, 그 개념이 실제 임상에서 어떤 이론적 의의를 지녔던 것이었는지를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Methods: “冬不藏精, 春必病溫”의 개념이 처음 등장하게 된 과정을 『內經』에 대한 주해 및 李東垣의 傷寒 해석 등을 통해 밝히고, 이어 그 개념을 임상에서 구체화했던 의가들의 학설을 통해 그 임상적 의미를 고찰하도록 한다.
    Results: “冬不藏精, 春必病溫”은 李東垣이 『內經』의 “冬傷于寒, 春必病溫”을 해석함에 있어 “少陰不藏”의 개념을 기초로 했던 것에서 그 실마리를 찾을 수 있으며, 이는 王冰과 楊上善의 『內經』 주해로부터 영향을 받은 면이 있었다. 이후 “冬不藏精, 春必病溫”은 점차 기존의 “冬傷于寒, 春必病溫”의 논의를 대체하면서 溫病의 병인을 새롭게 설명하는 개념으로 자리하게 되었는데, 그 논의들은 겨울에 精을 藏하지 못함으로 인해 寒邪가 침습하여 少陰에 잠복하게 됨을 말하였고, 잠복했던 寒邪가 이후 溫病으로 발하는 과정 및 치법에 대한 서로 다른 주장들로 이어졌다.
    Conclusions: “冬不藏精, 春必病溫”은 결국 “冬傷于寒, 春必病溫”이 겨울의 “少陰不藏”을 기초로 한 寒邪의 침습이라는 관점으로 새롭게 해석되는 과정을 거친 것이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Objectives : The verse, “冬不藏精, 春必病溫”, which had much influence, has been falsely referenced as contents of 『Neijing』.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is process, while looking at its theoretical meaning within clinical practice.
    Methods : The origins of the concept “冬不藏精, 春必病溫” are explained through annotations of 『Neijing』 and Li Dong Yuan(李東垣)’s interpretation of Shanghan(傷寒), while its clinical meaning is examined through theories of doctors’s who applied the concept in their practices.
    Results : The beginning of “冬不藏精, 春必病溫” could be traced back to Li’s annotation of the verse “冬傷于寒, 春必病溫” from the 『Neijing』, where he based his understanding on the concept “少陰不藏.” Since then, the discourse on “冬傷于寒, 春必病溫” has been replaced by “冬不藏精, 春必病溫” as a new concept to explain the pathology of Wenbing(溫病). These discussions followed the line of thought that by failure to store Jing(精) during the winter, Cold pathogen would infiltrate, hiding itself in Shaoyin(少陰). Various arguments on how the Cold pathogen would develop into Wenbing and its treatment followed.
    Conclusions : “冬不藏精, 春必病溫” can be understood as the result of a new interpretation of “冬傷于寒, 春必病溫” through the perspective of Cold pathogen infiltration based on “少陰不藏”.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