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용성진종의 「總論禪病章」에 나타난 십종병 고찰 (A view about ten malfunctions in Chongronseonbyungjang(總論禪病章) by Yongsung-Jinjong(龍城震鍾))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1 최종저작일 2019.12
25P 미리보기
용성진종의 「總論禪病章」에 나타난 십종병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각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대각사상 / 32호 / 221 ~ 245페이지
    · 저자명 : 김호귀

    초록

    간화선에서 대표적으로 참구되고 있는 무자화두에 대하여 그 주의사항이 대혜로부터 널리 제기되어 왔다. 이것이 이후에 무자화두의 십종병이라는 용어로 정립되어 온 근원이 되었다. 본고에서는 대혜가 무자화두를 참구하는 데 있어서 잘못된 견해라고 보고 주의해야 할 사항으로 제시한 여덟 가지 또는 열 가지를 언급하였다. 그리고 그로부터 영향을 받은 지눌은 『간화결의론』을 통해서 처음으로 십종병이라는 용어를 확립하였다. 그리고 진각혜심은 「구자무불성화간병론」을 저술하여 십종병의 낱낱 항목에 대하여 간별하였다. 이것은 태고보우를 거쳐서 청허휴정도 『선가귀감』에서 십종병을 계승하였다. 백파긍선은 혜심의 「구자무불성화간병론」에 과해를 한 「무자간병론과해」에서 해설을 붙이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이처럼 지눌에게서 정형화된 십종병은 내용을 비롯하여 명칭과 순서에 약간의 변화는 보이지만 전체적으로는 대동소이하였다.
    이와 같은 십종병의 전승에 대하여 「총론선병장」을 통하여 용성진종은 기존의 십종병에 대하여 세 가지 점에서 차별되는 견해를 보여주었다.
    첫째, 간화선의 수행에서 무자화두를 참구하는데 있어서 잘못된 십종의 병통에 대하여 그 근본을 知解에다 두고, 그 지해로부터 발생하는 경우를 십종병으로 간주하였다.
    둘째, 십종병의 열 가지 명칭에 論字를 붙여서 참구하는 납자가 분별의식과 분별사상으로 논하려는 것이 곧 병통임을 진단하였다.
    셋째, 십종병 가운데 와 의 명칭에 대하여 각각 論無心病과 論平常病으로 제시하여 설명하였다.

    영어초록

    The core of discipline in Khanwha-seon depends on the method of meditating on one’s whadu without a break and pause. When zen-practician misapprehend about the equipment and forget the basic principle of practice, the malfunctions arise.
    The origin of indirect of Wuzihuatou(無字話頭) is Zhaozhou-Congshen(趙州從諗). But direct of Wuzihuatou from the seon master Wuzu-fayan(五祖法演). And the original form of malfunctions about Wuzihuatou suggested by Dahui-Jonggao(大慧宗杲). He had presented eight items of malfunctions of Wuzihuatou practice through his analects.
    After that time, Bojo-Jinul(普照知訥) performed the ten malfunctions of Wuzihuatou practice through his work, that is, Ganwhagyeoluiron(看話決疑論). He mentioned the ten items about malfunctions for the first time. Thereafter, Jingak-Hyesim(眞覺慧諶) had plenty of notes about the ten malfunctions through his work, i.e. Gujamubulsunghwaganbyeongron(狗子無佛性話揀病論).
    And, Cheongheo-Huejung(淸虛休靜) accepted the views and the ten terms of Jingak-Hyesim in Seongaguigam(禪家龜鑑). In the meantime, Bakpa-geungsun(白坡亙璇) had note and divided into four parts or two parts in his work, i.e. Mujaganbyeongrongwahae(無字揀病論科解).
    On the other had, Yongsung-Jinjong(龍城眞宗) had set forth his views of the ten malfunctions in Chongronseonbyungjang(總論禪病章). We can understand the distinctive features of the ten malfunctions are three point.
    First, Yongsung-Jinjong grasped the point about its origin of the ten malfunctions are knowledges and discriminations. Second, Yongsung-Jinjong made an additional comment, so called, arguement(論) on the ten malfunction items each other. Third, Yongsung-Jinjong replaced the item not a thing(眞無) and the item profound reason(玄妙道里) with absence of the worldly desires(無心) and normal conditions(平常) each oth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각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