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散策’을 둘러싼 大衆 談話의 地形圖 - 大衆雜誌 <別乾坤>의 경우 (The Public Discourse Map in Respect of ‘A Walk’ -in Case of the Popular Magazine 「Byulgungon」-)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1 최종저작일 2012.06
28P 미리보기
‘散策’을 둘러싼 大衆 談話의 地形圖 - 大衆雜誌 &lt;別乾坤&gt;의 경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 40권 / 2호 / 245 ~ 272페이지
    · 저자명 : 권채린

    초록

    본 연구는 <別乾坤>을 대상으로 1920~30년대에 새로운 大衆文化로서 유행한 ‘散策’의 담론 양상을 당대 대중들의 視線의 政治學을 통해 복원․규명하였다. 1920~30년대를 거치면서 산책은 완연히 公的이고 規律化된 사회적 행위의 범주로 정착하였다. 京城이 구경, 탐색, 응시의 대상으로 재의미화 됨에 따라 산책을 위한 장소들이 公論化 되었다. 남성 지식인들의 산책이 주로 ‘運動’과 ‘健康’으로 담론화 되며 일상생활의 질서를 강화하는 공적 기능으로 편입되었던 반면, 모던 걸들의 산책은 ‘생활’과 유리된 ‘遊興’과 ‘奢侈’로서 표상되었다. ‘스위트 홈’의 理想的 規範은 가정의 안/밖을 경계로 산책의 ‘正常性/非正常性’ ‘健康함/不穩함’을 끊임없이 구별하여 유포하였다. 또한 無産者/有産者를 가르는 階級的 시선은 대중적 문화로서의 산책이 지닌 하부적 구조를 환기하였다. 산책은 異質的인 주체들의 시선의 얽힘 속에서 상이한 담론을 양산하였고 多面的인 결과물로 나타났다.

    영어초록

    ‘A walk’ appeared and was established as new mass culture in 1920's~1930's. Focusing on the fact that ‘a walk' is a complicated cultural act which can not be simply defined, this paper examined in detail aspects of a discourse on a walk through politics of glances by the then current masses. The popular magazine 「Byulgungon」 comprehensively proposes how A walk was taken attracting the people's eyes through discourses of a variety of subjects regardless of gender, occupation and the rich or poor.
    First of all, a walk is expressed, in the life of well-known persons and modern intellectuals, as a discourse on ‘exercise' and ‘health' for reasonable reorganization of their everyday lives. To them, a walk was a cultural device for forming the modern subject of ‘healthy body and spirit'. However, unlike a walk of well-known persons, the walk of modern girls was represented as ‘amusement' and ‘luxury' which were separated from ‘life'. In case when a walk does not accord with the ideal, the walk of women was considered dangerous and seditious. Also, 「Byulgungon」 took notice of the hierarchical character contained in taking a walk. The place where a walk is taken like ‘Tapdong Park’ that is, the place where the proletarian classes take a walk sometimes comes up in conversation, but, basically, a walk was regarded as exclusive property of the bourgeoisie. In the back of the cultural code named a walk, there were hierarchical discord and confli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語文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