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晉州의 舊鄕․新鄕,元儒․別儒의 재분석 (A Reanalysis of Sinhyang․Guhyang, Wonyu․Byeolyu in Jinju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1 최종저작일 2016.09
35P 미리보기
조선후기 晉州의 舊鄕․新鄕,元儒․別儒의 재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78호 / 247 ~ 281페이지
    · 저자명 : 김준형

    초록

    19세기 진주 鄕校와 관련된 몇 개의 자료를 토대로 ‘元儒’와 ‘別儒’를 분석하였다. 이때 원유는 기존 사족양반에 해당되고, 별유는 평민에서 진출한 신흥양반을 지칭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즉 신흥양반은 양반층으로 인정받으면서도 사족양반층인 원유와는 엄격히 구별하였기 때문에 ‘별유’라는 명칭으로 구별하여 기록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런 자료를 분석해 보면, 원유․별유의 지정과정에서 이를 엄격하게 구분하려고 노력한 흔적이 보인다. 그러나 이런 엄격한 신분 구분 조치에 대해 일부 가문의 반발이 있었던 것 같다. 그래서 시행과정에서 원유․별유 설정에 대한 새로운 조정이 있었다.
    진주에서는 18세기 중반까지 같은 사족 반열에 있으면서도 鄕案에 들지 못한 가문이 적지 않았다. 이들이 대거 향안에 들어온 것은 1774년이었다. 이런 인물들이 ‘新鄕’으로 구분되고 있었다. 이런 신향들은 대부분 위에 언급된 향교 자료에 원유로 등재되어 있다. 이들이 舊鄕과 함께 이전부터 유지해 오던 사족가문으로서의 입지를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셈이다. 그러나 이런 형태로 설명할 수 없는 가문도 있었다. 당시 특정 가문은 원유와 별유의 경계에서 구별하기가 애매한 상황에 처해 있는 예도 더러 존재했던 것 같다.
    반대로 18세기 말 이래 진주에서도 평민 가문 출신이 鄕任으로 올라오거나 향교․서원에 의탁하여 儒林의 명칭을 얻어 편히 지내는 현상도 나타났다. 진주에서 원래의 사족과 서민 출신의 양반을 구분하기 위해 ‘원유’․‘별유’의 명칭이 있었던 것도 이 때문일 것이다.

    영어초록

    Based on several materials related to hyanggyo (Confucian temple and school to teach local students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in Jinju in the 19th century, ‘Wonyu(元儒)’ and ‘Byeolyu(別儒)’ were analyzed. At this time, Wonyu is estimated to correspond to the existing Sajok noblemen and Byeolyu to refer to emerging noblemen entered from the common people. That is, emerging noblemen were distinguished and recorded as the name of ‘Byeolyu’ because although recognized as Gentries, they were strictly distinguished from Wonyu, Sajok noblemen class.
    If analyzing these materials, a trace trying to strictly separate Wonyu and Byeolyu in the process of designating them is shown. However, some families seem to have resisted against these strict status division measures. Thus, there was a new adjustment for setting Wonyu․Byeolyu in the implementation process.
    In Jinju, quite a few families were not included in Hyangan(鄕案) although in the same Sajok rank until the mid-18th century. It was in 1774 when many of them entered Hyangan. These figures were divided into ‘Sinhyang(新鄕)’. Most these Sinhyangs are listed in the aforementioned hyanggyo materials as Wonyu. They are like being officially recognized for the position as Sajok family that has been maintained from the past with Guhyang(舊鄕). However, there were some families that cannot be explained by this form. There seem to be some examples that specific families at that time were placed in situations where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Wonyu from Byeolyu.
    Since the end of the 18th century, on the contrary, there have been phenomena also in Jinju that those from the common people ascended to Hyangim(鄕任) or stayed comfortably by relying on hyanggyo․lecture halls and obtaining the name of the Confucian scholar. This may have created the names of ‘Wonyu’․‘Byeolyu’ to distinguish noblemen from original Sajok and common people in Jinju.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선시대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8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