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명의 종류 고찰 - 역사와 유형별 종류, 논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Kinds of Person's Names - Focusing on History, Types, and Controversy -)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1 최종저작일 2022.09
42P 미리보기
인명의 종류 고찰 - 역사와 유형별 종류, 논란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연구 / 82호 / 5 ~ 46페이지
    · 저자명 : 권익기

    초록

    본고는 우리의 인명을 근본 유형의 본명과 자, 호 유형의 호와 별명, 당호, 택호, 시호, 필명, 예명, 그리고 근본·호 이외 유형의 태명과 아명, 아이디, 닉네임, 교명, 보명 등으로 나누어서, 역사적 전개과정과 유형별로 구분하여 모든 종류를 검토하면서 관련 논란 내용까지 살폈다.
    1909년 민적법 시행 이후 모든 국민이 두 글자 한자 본명 등 모든 인명을 가질 수 있지만, 그 때까지도 하층과 대부분의 여성은 아명 밖에 없었다. 본명의 경명사상으로 부명인 자가 생겼고, 본명과 자의 별칭으로 생긴 호에서 당호와 택호, 필명, 예명 등이 분화되었다. 해당 생애주기에 따라서 태명과 아명을 지었고, 특정 용도에 사용하기 위한 별명과 교명, 보명도 생성되었다. 본명과 호, 별명과 같이 오랜 기간 사용 중인 인명도 있지만, 전통적인 자와 시호는 이미 사라졌고, 아명과 당호, 택호는 멀지 않아 사라질 수도 있다.
    논란 내용 중 본고에서 확인된 사항은 첫째, 冠名(관명)이란 성인 이전을 제외한 이후만의 본명을 지칭하므로 본명의 동의어가 아니다. 둘째, 항렬자 사용이 일반화된 기간은 근년이면서 오랜 기간도 아니고 오래전일수록 일부만 항렬자를 사용하였기에, 본명의 전통적인 작명을 항렬자 사용 여부로만 구분하는 것은 재고해야 된다. 셋째, 당호는 두 번째로 많은 호의 작명 유형이고, 필명은 생성 요인과 작명 유형이 호와 거의 동일하므로 지나친 호의 유형 분류는 옳지 않다. 넷째, 본명에서 별명이 분화되어 다명사회가 된 후, 인명은 소멸보다 더욱 다양하게 생성 분화되었으므로 일명사회로 돌아갈 수는 없다. 다섯째, 아명은 어린 아이의 애칭일 뿐 공부상 인명이 아니므로 본명을 성인 이전의 아명과 이후의 冠名으로 구분할 수 없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names of all kinds of people by dividing them into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es and types, and also investigated the contents of the controversy. The fundamental types of person's names(人名) includes bonmyeong(本名) and ja(字). The ho types includes ho(號), byeolmyeong(別名), dangho(堂號), taekho(宅號), siho(諡號), pen-name(筆名), and yemyeong(藝名). The other types includes taemyeong(胎名), ahmyeong(兒名), ID, nick-name, gyomyeong(敎名), and bomyeong(譜名).
    Since the enforcement of the Minjeogbeob(民籍法) in 1909, we have been able to have all person’s names including the bonmyeong that uses two-letters Chinese characters. Until then, however, the lower class and most women had only ahmyeong. The ja was created by gyeongmyeongsasang (敬名思想) in the bonmyeong, and the ho was made as a nickname for the bonmyeong and ja. Dangho, taekho, pen-name, and yemyeong were differentiated from ho. Based on the life cycle, ahmyeong and taemyeong were given, and byeolmyeong, gyomyeong, and bomyeong were also made for a specific purpose. Bonmyeong, ho, and byeolmyeong  have been in use for a long time, but traditional ja and siho has already disappeared, and ahmyeong, dangho, and taekho may soon disappear.
    Among the contents of the controversy, the following were found in this study. First, since it means only the bonmyeong after becoming an adult, gwanmyeong(冠名) is not a synonym of the bonmyeong. Second, the generalization period of the use of hanglyeolja(行列字) is relatively recent and not long. Also, in the past, only some of them used it. Therefore it should be reconsidered to classify the traditional naming of the bonmyeong only by the use of the hanglyeolja. Third, dangho is the second most common types of naming among ho, and pen-name has almost the same generative element and naming types as the ho, so excessive classification of ho is not appropriate. Fourth, after the byeolmyeong is differentiated from the bonmyeong and becomes a multi-names society, person's names is created and differentiated more diversely than extinction, so it cannot return to the one-name society. Fifth, since the ahmyeong is only a pet name for a young child and is not a registered name, the bonmyeong cannot be divided into the ahmyeong before the adult and the gwanmyeong after the adul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