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강원도 겨리연장의 부분별 목재 종류와 산림지식 (Types of wood parts of Gyuri-yeonjang in Gangwon Province and the Forest Knowledge)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1 최종저작일 2019.06
36P 미리보기
강원도 겨리연장의 부분별 목재 종류와 산림지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민속박물관
    · 수록지 정보 : 민속학연구 / 44호 / 5 ~ 40페이지
    · 저자명 : 김세건

    초록

    본 연구는 강원도 지역에서 가장 널리 쓰인 겨리연장의 핵심 부분인 성에, 번데기, 모로리, 멍에 등에 사용되는 목재가 지역별로 어떻게 다르고, 그 차이가 지닌 의미를 살펴보고자 했다. 강원도는 밭 중심의 논밭병행농업이 행해졌던 곳으로 겨리·호리연장, 훌치, 왜쟁기, 인걸이 등 매우 다양한 연장이 발달했는데, 그 가운데에 겨리연장이 있었다. 강원도에서는 지역마다 심지어 같은 지역일지라도 개인마다 연장감으로 사용한 목재가 서로 달랐다. 연장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성에감은 기본적으로 곧고 단단하여 잘 휘지거나 부러지지 않아야 하고, 가벼워야 했다. 성에감으로는 자작나무, 다릅나무, 박달나무, 들무(들메)나무, 느릅나무 등이 많이 사용되었다. 연장의 핵심축인 번데기를 만드는 목재는 대체로 성에감과 비슷했는데, 길이가 성에보다 짧아서 상대적으로 목재를 구하기가 쉬웠다. 연장을 끄는 힘의 원천이자 연장의 기능을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부분인 모로리는 다른 부분과 달리 강원도 전역에서 물푸레나무로 만들었다. 소의 축력을 모으는 역할을 하는 멍에감은 소 목등에 부담을 주지 않고자 대체로 가볍고 단단하며, 무엇보다 표면이 잔가지가 없이 매끄럽고 무르며, 말라도 잘 트지 않는 나무가 좋았다. 이런 특성을 지닌 나무로는 소나무, 잣나무, 버드나무, 사시나무, 피나무, 황철나무 등이었다. 지역마다 연장에 사용된 나무는 매우 다양하고, 각 나무에 대한 농민들의 지식은 매우 상대적이었다. 농민들은 끊임없는 창조성을 발휘하면서 그 자신들만의 연장 등 농기구를 마련하였다. 연장 그리고 지게, 가래, 써레 등 다양한 농쟁기들을 만드는 기술은 오랫동안 축적된 것으로 선대(先代) 사람들과 함께 일하면서 보고 느끼고 배우고, 거기에 자신만의 색깔을 더하면서 후대에 이어진 것이었다. 이는 끊임없는 시행착오의 과정이었다. 이 시행착오를 통해 궁극적으로 적당한 농기구를 얻었다. 끊임없는 시행착오 속에서 얻어진 농기구를 관통하는 원칙은 다름 아닌 적재적소(適材適所)였다. 연장을 구성하는 각 부분이 자신에게 알맞은 목재로 만들어지는, 이른바 적재적소 원칙이 지켜질 때 그 연장은 제 기능을 할 수 있었다. 적재적소는 기본적으로 적당한 재를 아는 것과 동시에 그 재가 쓰일 적당한 장소를 아는 것을 아는 총체적 지식을 필요로 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the difference in the wood used in the core parts of the most popular gyurri-yeonjang(bi-plow) in Gangwon province. Gangwon-do was a place where farming and paddy field farming was conducted in the center of the field. There were various kinds of plows such as a gyurri·hori-yeonjang, a improved plow, a Julchi(small plow) etc. The gyurri-yeonjang was a key. In Gangwon Province, the wood used to make the plows was different from region to region and even from person to person. The beam(seong-ae) that occupied the most part of plow was basically straight and solid, so it had to be light and not bent or broken. Representative woods were birch, elm, and amur maackia trees. The wood for making the body(bundegi), which is the core of the plow, was mostly similar to the seong-ae, but its length was shorter, so it was relatively easy to find timber. The leg(morori), that determines the function of the plow, was made from ash wood all over Gangwon Province. The yoke was made of light, smooth woods such as pine and lime tree without burdening the bovine neck. The woods used in the yeonjang vary widely, and the knowledge of the peasants on each wood is very comparative. The yeonjang was able to function when the so-called right-of-fit principle, in which each part of the plow was made of suitable wood, was kep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속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