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간 조형요소별 지각자의 인지 반응에 관한 연구 (Study on Percipient’s Cognitive Reaction of Spatial Formative Elements)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1 최종저작일 2016.02
12P 미리보기
공간 조형요소별 지각자의 인지 반응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초조형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초조형학연구 / 17권 / 1호 / 245 ~ 256페이지
    · 저자명 : 박태욱

    초록

    공간이 가지고 있는 조형적 요소와 공간 사용자의 개인적 특성은 인간과 환경 간의 공간 인식 문제로서 서로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정보에 기초한 공간 환경을 구성하는 조형적 요소에 대한 지각반응의 정량적 데이터화를 통해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접근을 시도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공간 지각 정보의 중요도를 정량적 실험을 통해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공간 인지의 효율성을 객관화시키고자 하였다. 실증적 연구는 인지 과학 이론들을 통해 공간적 조형요소에 대한 인간의 인지적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객관화된 수치로 산정하기 위한 인지실험과 설문조사를통해 이루어졌다. 인지 실험은 공간적 조형요소의 주목성을 결정하는 인지 반응 속도와 인지 정확도를 알아보기 위해 시지각에 기초한 물리적 자극물과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험 참가자들의 인지 반응을 유도하고 그 결과를 측정하도록하였다. 실험 참가자 516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자료에 대한 통계적 모형의 검증과 자료 분석을 위해 범용적통계 패키지를 사용하여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인지 실험 결과 첫째, 인지 반응 속도는 색상이 가장 우수하며 이어서입체, 문자, 형태 순으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지 정확도에 대한 실험에서는 순간 정확도는 4가지 공간 조형요소 간 차이가 크지 않았지만, 난이도가 조정된 정확도 실험에서는 입체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뒤를 이어 색상, 형태, 문자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인지 속도와 정확도에 의한 상호작용 결과 결정되는 공간에서의 주목성은 색상과 함께 양감을 가지는 입체가 효과적일 수 있다. 셋째, 각각의 인지 실험 반응 속도와 정답률이 생물학적 특성인 성별과 경험적 특성에 따른집단 간 반응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有意)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인간의 인지 과정이 공간 환경의 시지각반응과 경험에 의한 상호작용 결과임을 보여주는 것으로 인간의 인지능력은 개인의 생리적 특성과 경험에 따라 차이가 나기때문에 인지 과정에서 지각자 특성에 따라 인지 반응의 우월적 요소가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As a space cognition issue between human and environment, the formative elements of space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f space users work as important elements to understand the relation to each oth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ttempt the scientific and objective approach through the quantitative data of the cognitive response to the formative elements composing the spatial environment based on the visual information. Systematically organizing the importance of the spatial cognitive information through the quantitative test, the efficiency of the space cognition was aimed to be objectified. The empirical study was done through survey and cognition test to understand human's cognitive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spatial formative elements through cognitive science theories, and then to estimate them into the objectified figures. In case of the cognition test, in order to examine the cognitive response speed and the cognitive accuracy deciding the attractiveness of the spatial formative elements, a visual perception-based physical stimulus and computer program were developed to induce the test participants' cognitive responses and then to measure the results. Total 516 test participants' data was used for the analysis, and such meaningful results were obtained by using the general-purpose statistics package for the verification and analysis of the statistical model. In the results of the cognition test, first, the cognitive response speed was the most excellent with color, and then followed by 3D structure, letter, and shape. Second, in the test of the cognitive accuracy, the instant accuracy did not show much differences between the four spatial formative elements. In the test of the accuracy with the adjusted difficulty, however, 3D structure was the best, and then followed by color, shape, and letter. Therefore, regarding the attractiveness of the space which is decided by the results of the interactions between cognitive speed and accuracy, such voluminous 3D structure and color can be effective. Third, each cognitive test response speed and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ponses between groups in accordance with the experiential characteristics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 sex. It just shows that human's cognitive process is the result of the interactions between experience and visual perception response of the spatial environment. Since human's cognitive ability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individual's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 the superior elements of the cognitive response can be differently shown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perceivers in the cognitive proc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초조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