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멀티레이어 프레임워크 기반 스마트워크 유형별 디자인 전략 (Design Strategies per Smart Work Types based on Multi-Layered Framework)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1 최종저작일 2024.11
25P 미리보기
멀티레이어 프레임워크 기반 스마트워크 유형별 디자인 전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디자인학연구 / 37권 / 5호 / 431 ~ 455페이지
    · 저자명 : 이주현, 강효진

    초록

    연구배경 코로나19 이후 재택 근무, 유동근무 유형이 늘어감에 따라 업무의 효율 증대를 위한 스마트 디바이 스 및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효율적인 협업을 위해 다양한 기술이 활용된 연구들도 진행되었으나 특정 사용자 유형 및 한정된 환경 내에서만 활용 가능하다는 점에서 사용자 경험 중심으로 니즈를 파악하고 기능을 제 안하는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다양한 변수가 존재하는 스마트홈 환경을 파악하기 위해 레이어 개념이 적용된 문헌 연구 기반으로 다층 구조를 지닌 멀티레이어 프레임워크를 수립하였다. 프레임워크를 고도화하기 위해 체계적 문헌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재택 근무 연구 사례를 추출한 뒤 프레임워크 내에 적용하였다. 이후 분류된 재택 근무 그 룹에 따라 3단계에 걸친 실증 조사를 진행하였고 정성 분석을 통해 사용자 니즈 및 필요 기능을 확인하였다. 해 당 결과는 멀티레이어 프레임워크의 레이어 요소와 매칭하여 니즈 분류를 통한 스마트워크 유형화 및 디자인 방 안을 도출하고 프레임워크의 활용성을 다시 한번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실증 연구 단계에서 다양한 변수를 가진 재택 근무자를 조사한 결과를 프레임워크 내 적용하여 스 마트워크를 위한 기능 및 니즈를 각각 파악하고 4가지로 유형화하였다. 각 유형은 자동화 기능을 추구하는 ‘안락 의자형’, 방해 요소를 해결하고 멀티 유저 간 통합 관리를 원하는 ‘미니멀리즘형’, 개인 비서 역할을 원하는 ‘비서 추구형’, 가변형 기능을 통해 업무 집중 시간을 통제하길 원하는 ‘해방추구형’으로 나뉘었다. 이를 기반으로 유형 특성에 부합하는 디자인 전략을 제시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스마트홈 내 사용자 및 주변 환경을 다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활 용하여 재택 근무 맥락에서 실제 사용자의 니즈가 반영된 기능을 도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재택 근무 유형에 따른 디자인 전략을 제안하였고 이는 추후 실제 재택 근무, 유동근무를 위한 스마트홈 구축에 필요한 기능 및 서 비스 설계 시 참고하고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Background Smart devices and services have been increased to improve work efficiency as the number of smart work and remote work has increased since COVID-19. In addition, various technologies have been utilized for efficient collaboration, but they can only be utilized within specific user types and limited environments, confirming the need for a study that identifies needs and proposes functions centered on user experience.
    Methods This study established a framework with a multi-layered structure based on the literature study in which the concept of layers was applied to identify the smart home environment where various variables exist. To improve and refine the framework, a systematic literature analysis method was utilized to extract smart work research cases and apply them to the framework. Then, we conducted empirical research in three stages according to the classified smart work groups, and identified user needs and required features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The results were matched with the layer elements of the multi-layered framework to derive a smartwork typology and design strategies through user’s needs classification and to verify the framework’s utility.
    Results In the empirical research phas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of smart workers with various variables were applied to the framework to identify the features and needs of smartwork and categorized into four types. Each type was divided into ‘armchair type’ who pursued automation functions, ‘minimalist type’ who wanted to solve distractions and integrated management among multi-users, ‘secretary type’ who wanted to act as a personal assistant, and ‘liberation type’ who wanted to control their work focus time through variable functions. Based on this, we proposed design strategies to match the characteristics of the smart work type.
    Conclusions This study establishes the theoretical framework to identify the user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the smart home from various perspectives to derive functions that reflect actual user needs in the context of smart work. Based on this, we propose design strategies according to smart work types, which can be used as a reference and utilized in the design of functions and services required to build an actual smart home for smart wor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5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