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천태지의와 화엄경 - 華嚴別圓說을 중심으로 - (Tientai Zhiyi and Avatamska Sutr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1 최종저작일 2014.02
28P 미리보기
천태지의와 화엄경 - 華嚴別圓說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69권 / 133 ~ 160페이지
    · 저자명 : 지창규

    초록

    天台智顗(538-597)에게 『화엄경』이란 어떤 의미일까. 종래에 智顗가 『화엄경』에 대해 평가를 내린 바와 같이 화엄은 원교에다가 별교를 겸하는 경전이므로 지의가 所依로 하는 『법화경』에 비해서는 낮은 정도의 경전이라는 측면에서 이해되었다. 물론 이런 견해가 아주 타당성이 없는 것은 아니나 천태의 圓融적 교관체계나 開顯論적 교판체계 및 圓頓止觀論 등을 가지고 비춰본다면 지의의 평등적 경전관을 무시하는 태도라고 생각된다. 이런 점에서 지의와『화엄경』의 관련성에 주목하여 지의의 교관체계를 총체적으로 재고해 보았다. 五時八敎로 구성된 교판론에서 지의는 항상 相待와 絶待를 가지고 모든 경교를 가리며 최종적으로는 絶待開會하려는 태도를 지니고 있는데, 지의의 『화엄경』 평가는 상대와 절대의 두 측면에서 이루어진다고 볼 때, 지의의 화엄 평가가 종래에 이해했던 바와 같이 편향적으로 평가절하되었다는 태도는 아니라는 점은 분명하다. 반면에 장통별원의 사교 가운데 화엄은 별원이교를 설한다는 점에서 오히려 천태의 별교와 원교가 화엄에 의해 주로 조직되고 체계화된다는 점은 종래에 주목하지 않은 점으로서 지의의 교학사상 특필할 만 하다고 하겠다. 또한 圓融三諦와 一念三千 및 三法無差로 대표되는 원융교상론이나, 一心三觀과 같은 원돈지관론 등에서 『화엄경』의 ‘一卽多 多卽一’의 원융사상과 매우 많은 관련을 갖고 있는 사실도 파악된다. 그러나 그것은 화엄의 원융원리 그대로가 아니라 『유마경』의 생사즉열반론, 반야경의 一心具萬行論, 『법화경』의 開會論, 『열반경』의 佛性論 및 四句論 등 모든 대승경전의 여러 원융원리를 수용하고 있다. 이러한 원융적 교관은 『화엄경』을 비롯한 여러 경전에 힘입고 있는 것은 분명하나 지의가 스스로 “觀心에 의해 획득된 것을 경전에 의해 증명해 보인다”고 하는 솔직한 심정 고백도 경청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 이런 측면에서 지의가 『화엄경』에 내린 원별이라는 평가만 가지고 『화엄경』을 평가절하했다고 보는 견해는 지의의 화엄경관에 대한 오해라고 할 수 있으며, 지의의 원융적 관심적 안목을 오히려 곡해하는 처사라고 하겠다.

    영어초록

    What does Avatamska Sutra, or the Flower Adornment Sutra, mean to Tientai Zhiyi? It is understood that the Flower Adornment Sutra is not as supreme a scripture as the Lotus Sutra which he held to be the supreme synthesis of Buddhist doctrine and relied on, since the doctrine of the Lotus Sutra is not only the perfect, unsurpassed, and comprehensive teaching but also the distinct or differentiated Bodhisattva teaching for the lesser minded, as he appreciates it. It does not mean that this understanding is exceedingly unreasonable, but with respect to the systematic doctrines of Cheontae, or Tientai, his view of the scriptures is thought of as being neglectful. This is because Zhiyi analyzed and organized all the doctrines of sutras and founded the Tiantai school with absoluteness and relativity. That is, it is clear that as his appraisal of the Flower Adornment Sutra has both the absolute and relative aspects, and moreover an absolute aspect is his ultimate conclusion, it is not necessarily a biased underestimation, as understood in the past. In this respect, as a result of overall examination of his view on the doctrine with focus on the relation of Zhiyi and the Lotus Sutra, his works, critical classification of the various doctrines of Buddhism, Wonyung thought, or perfect harmony thought, and Jigwan, or tranquility in meditation, are closely related to the perfect unification thought in the Flower Adornment Sutra. Furthermore, it is observed that his view is not only organized by the Flower Adornment Sutra, since it does not embrace the perfect unification principle of this sutra itself, but the principles of all the sutras in the Mahayana, the Greater Vehicle. Although it is clear that Zhiyi owes his doctrine of the perfect harmony to the Flower Adornment Sutra, attention must be paid to his sincere confession, "what is acquired by interest is proven by scriptures." Therefore, the opinion that he underestimates the Flower Adornment Sutra can be misleading and misinterprets his appreciative eye of harmony or unification.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at he has contributed for later generations to understand the Flower Adornment Sutra widely and deeply by quoting the sutra and making use of the unification princip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