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한글 편지 서체에 나타난 ‘韻’의 미학적 토대 연구 - 계층별·시기별로 나타난 흘림체 이어쓰기를 중심으로 (Study on Aesthetic Foundation of ‘Rhyme’in Chirography of Letters in Korean from Joseon Period - Focusing on Continuing Brush Strokes of Cursive Handwriting based on Stratum and Period)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4.12
45P 미리보기
조선시대 한글 편지 서체에 나타난 ‘韻’의 미학적 토대 연구 - 계층별·시기별로 나타난 흘림체 이어쓰기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양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예술 / 26호 / 433 ~ 477페이지
    · 저자명 : 정복동

    초록

    본고는 한글 서예 미학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韻’을 주제로, 한글 편지 서체의 미를 분석한 것이다. 분석 대상으로 삼은 미적 요소는 흘림체에서 도출하였는데, 특히 흘림체 이어쓰기에서 여운이 남기는 미감을 특징적으로 파악함에 있어서 직선형은 절제미로 규정하였고, 곡선형은 자연미로 규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 자료는 조선시대 한글 편지 가운데 발신자와 발신일이 추정 가능한 것을 우선적으로 선정하고, 이를 시기별·계층별·성별로 구분하여 대표성을 지닌 85건을 선정하였다.
    ‘운’에 관한 서예 미학 범주는 ‘기운’에 근거하고 있으며, 한글서체에 대한 ‘운’의 분석방법은 ‘應物致知’에 기인하여 탁월한 理想美를 밝히는 것으로, 개인별 연결 글자를 분석한 결과 크게 두 가지로 규정할 수 있다. 첫째, 한글 서체의 장법이 세로획〔ㅣ〕중심인 것은 세로획이 다음 글자와 연결될 때에 직선의 형세에 의해 운필이 절제되었는데, 이는 문법 단위인 어절별로 띄어 쓰는 형식이 많아 절제미로 규정하였다. 둘째, 자형의 중앙에 중심이 있는 장법은 자소와 자소 혹은 단일문자와 단일문자가 연결되는 획이 자유롭게 運腕되었다. 세로획도 길이·굵기·기울기·공간 등이 변화를 주어 다양한 곡선의 형세로 운필하였을 뿐만 아니라 어절별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비어절인 경우에도 강한 필세로 이어서 운필하고 있다. 이는 문법의 장애를 받지 않고 마음을 따라 마치 하늘이 쉬지 않고 운행하듯이 사람의 기식이 쉬지 않고 이어지는 ‘기운’에 의해 기세의 변화가 일어난 것이라는 점에서 자연미로 규정하였다.
    조선시대 한글 편지 흘림체의 ‘운’에 대한 曲直 형세를 분석한 결과 개별적인 차이는 있으나 남성인 왕과 사대부가 남성은 정조대(1790년)를 기점으로 정조대 이전은 曲勢의 자연미가 유행하였고, 정조대 이후는 直勢인 절제미가 유행하였다. 여성인 왕비와 궁녀, 사대부가 여성은 남성보다 이른 시기인 효종대의 인선왕후(1659년)부터 절제미를 보이기 시작하는데, 18세기부터는 사대부가 여성의 한글 사용이 활발하면서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자신의 감성을 표출한 것이 늘어났다. 하지만 19세기에는 일부 왕후와 사대부가 궁녀 모두 최고조의 절제미를 이룬 궁체가 정착되면서, 남성 또한 18세기 이후 절제된 神韻을 보인다.
    한글 서예에서 ‘韻’의 미학적 특징은 1550년 이후부터 발굴되기 시작한 한글 편지의 흘림체에서 그 특징이 두드러진다. 현존하는 조선시대 한글 편지의 자료는 상당수 발견되고 있다. 그러나 본고는 궁중과 사대부가의 한글편지 중에서 시기와 발수신자를 알 수 있는 자료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자료는 대부분 한자 서예의 경험과 학행이 뛰어난 계층들이 필사한 것으로, 그들이 지향한 知行合一과 修己治人의 세계관이 그대로 반영되어 있다고 본다. 따라서 비록 편지글의 서체이지만 장법이나 용필 등에 한글 서예의 미학적 특징과 서체의 변천을 논하기에 손색없는 자료이다. 이에 실제의 작품을 분석하되 수치를 이용한 비율로써 객관성을 확보하였다는데 연구의 가치가 있으며, 한글서예의 미학적 기초 자료가 되리라 본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zed chirography of letters in Korean, emphasizing rhyme in order to establish foundation of Korean calligraphy. Artistic factors, which were subjects of analysis, were derived from cursive handwriting. In particular, I analyzed beauty of lingering imagery, and defined straight lines as art of moderation, and curves as art of nature.
    Research subject were derived from letters written in Korean from the Joseon dynasty. There were several criteria of selecting letters. When and where the letters were written must be trackable, and 85 among them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in three categories; time, social class, and gender.
    Art of calligraphy on ‘Rhyme’ is based on 'Vigor', fundamental framework of analysis on 'Rhyme' of Korean calligraphy is to figure out ideal of beauty, there are mainly two types of 'Rhyme', based on analysis of connecting characters of each individual. First, vertical strokes are widely used. When they are followed by the next letter, shape of the stroke determined style of writing. From these letters, there were many uses of spacing separate words, making this an art of moderation. Second, core of the letter was placed in the center of the letter to freely express connection between consonant and vowels, and a letter and another letter. Vertical stroke displayed changes in length, thickness, tilt, and space to express various curves. Even when not writing a full word, strong strokes were displayed. This is an art of nature as a writer’s intent was not leashed by grammar, like no one can hold the sky, it is an art of natural vigor without restriction of grammar.
    Based on analysis of curves and straight lines of ‘Rhyme’ displayed in letters of Joseon dynasty, Many kings and nobleman in the era before the King Jungjo (1790) were attracted by the art of nature (curves) in calligraphy despite slightest personal differences. After the King Jungjo’s reign, art of moderation (straight lines) was more popular. Queen Insun and maids of honor started to use art of moderation since the era of King Hyojong (1659). Beginning 18th century, ladies of noble family became active users of Hangul (Korean characters), enabling them to freely express their emotion without restriction to formats. However, from 19th century, as queens and maids of honor from noble family were attracted to the art of moderation, men’s writings showed the art of moderation as well.
    Aesthetic traits of ‘Rhyme’ in the Korean calligraphy became distinctive from correspondences excavated after 1550. Significant portion of correspondences from the Joseon dynasty was discovered. However, my research focused on correspondences of the royal and noble families that let us know when and who wrote them. The majority of these letters were hand-copied by skilled people in Chinese calligraphy, reflecting their beliefs; synchronization of knowledge and action, and becoming life examples and enlightening the others. Therefore, those letters are useful enough in estimating aesthetic traits (use of strokes and sentences), and changing trends of Korean calligraphy. Value of the research is derived from objective and measurable analysis on works of the Joseon dynasty. I believe that this research would be aesthetic foundation of study on the Korean calligraph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예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