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현대광장의 유형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Chinese Squares)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23.10
14P 미리보기
중국 현대광장의 유형별 특성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8권 / 7호 / 215 ~ 228페이지
    · 저자명 : 황건화, 임선희, 김주연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중국의 광장을 체계적으로 유형화하여 현대 도시의 다양한 공공 생활 요구를 충족하고 복잡성을 다루기 위한 통합적인 사고방식이 필요하다고 판단이 내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형학 방법을 활용하여 광장을 재분류하고 사례 분석을 통해 각 유형의 특성을 추출하고 유형별 특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유형 분류를 통해 현상을 개념화하고 체계화하여 향후 각 유형의 특성을 강화하여 공공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각각의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기를 기대하여 도시 광장의 이론 형성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방법) 첫째, 중국 광장에 대한 변천과 연구 현황을 고찰하고 중국 광장의 유형별 특성을 탐색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둘째, 유형학과 광장 기본 분류에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유형학을 활용하는 특성을 고려해서 광장을 이차적으로 유형화하였고 재정의 하였다. 셋째로, 선행연구를 통해 광장의 특성을 추출하였으며 사례분석의 기준을 삼았고 중국 현대광장을 대상으로 사례분석을 통해 유형별 특성을 탐색하였다. (결과) 첫째, 광장에 관련 선행연구를 통해 접근성, 사용성, 경관성, 연계성, 지역성, 지속성, 지원성, 교류성, 개방성 9가지 광장 특성을 도출하였다. 둘째, 사용 현황을 기준으로 도출한 교통완화 허브형, 상업협력 재생성, 문화보존 강화형, 소통증진 활력형, 선도개발 융합형을 유형학 활용하는 방법을 통해 허브매개형, 데마주도형, 창조융합형의 세 가지 광장 유형을 도출하였다. 셋째, 사례분석을 통해 허브매개형 광장은 연속성과 지속성이라는 특성을 가지며, 테마주도형 광장은 문화의 테마를 강조하며 랜드마크로서 도시의 이미지를 심화시킬 지역성, 경관성, 개방성이라는 특화되어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조융합형 광장 새로운 조성한 광장으로 도시의 최신 발전 추세를 보여주었으며 경관성과 연계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로 나타냈다. (결론) 이는 광장을 조성할 때 주변 경관과 주변 시설 간의 연결을 다소 소홀한 부분이 있어 보인다. 이 상황에서는 광장의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앞으로의 개발 및 재건축할 때 주변 건물과 조화를 이루며 사용자에게 풍부한 야외 공간 경험을 제공하는 데 주의를 기울여야 더 통일적인 도시 이미지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연구 동서양 광장에서 문화적 경계를 허물고 통합하는 유형화 방식을 통해 도출하는 3가지 유형과 특성은 광장의 역할을 잡으면서 도시 공공자원을 최대한 활용하여 도시 이미지를 향상하게 시키길 기대한다. 본 연구는 주관적인 도출하는 한계가 있어 더 디테일 한 광장 유형 탐색에 대한 후속 객관적 검증 연구를 할 계획이 있다.

    영어초록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In order to address the various public life needs and complexities of modern cities in China, an integrated strategy was deemed necessary to systematically categories Chinese squares. The aim of this investigation is to reclassify squares using typological methods, extract features of each type through case analysis, and present the distinctive attributes. By conceptualising and systematically categorising phenomena into types, it will be possible to focus on enhancing the properties of each type in future studies. This, in turn, will enable more effective utilization of public resources and the maximization of their respective values,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urban square theories. (Research Method) Firstly, this study conducted a review of the evolution and research trends related to Chinese squares, highlighting the necessity of investigating distinct square types' the unique characteristics. Secondly, a thorough reclassification and redefinition of squares has been conducted, incorporating typological considerations based on a comprehensive review of previous studies on typology and square classification. Thirdly, by drawing on previous research, characteristics of squares were extracted, case analysis criteria were applied, and the distinctive features of each square type were explored through case studies of contemporary Chinese squares. (Results) Initially, this study drew upon previous research regarding public squares to establish nine crucial features: accessibility, usability, landscape, connectivity, locality, sustainability, support, exchange, and openness. Subsequently, three distinct types of square were delineated: hub-mediated squares, theme-led squares, and creative convergence squares, classified as transportation-relaxation hub squares, commercial cooperation and regeneration squares, and cultural preservation and reinforcement squares, respectively. Lastly, case analyses unveiled that hub-mediated squares emphasize continuity and coherence, while theme-led squares prioritize cultural themes, specializing in locality, landscape, and openness to enhance the city's image as a landmark. The newly constructed plaza represents the latest urban development trend, albeit with noticeably inferior ratings in terms of landscape and connectivity. (Conclusion) It seems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surrounding landscape and facilities was somewhat overlooked during the square's creation. Given this situation, the emphasis has been on square development. However, future development and renovation efforts should prioritize enhancing the outdoor experience for users. This study has identified three square types and their respective characteristics through a typological approach that transcends cultural boundaries between the East and West. It is anticipated that these findings will contribute to enhancing the urban image by optimizing the city's public resources through the role of the square. Nevertheless, it's worth noting that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erms of subjective derivation. Consequently, there are plans to conduct follow-up objective verification studies to delve into more detailed square typolog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