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북지역 제철유적의 현황과 시대별 특징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Iron Production Sites in Jeollabuk-do)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23.06
35P 미리보기
전북지역 제철유적의 현황과 시대별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호남고고학보 / 74권 / 154 ~ 188페이지
    · 저자명 : 유영춘

    초록

    본고는 전북지역에서 조사된 제철 유구 및 유물을 검토하여 유적 내에서 행해진 제철 공정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시대별 특징을 정리하는데 목적이 있다.
    삼국시대에는 만경강 유역을 중심으로 단야 유적이 주로 확인되었다. 단야의 중심지는 완주 상운리와 수계리 집단 등이 활동했던 만경강 상류 유역으로, 주거지 내의 노지를 통해 단야가 이루어졌다. 3세기 중반∼4세기 전반 무렵, 성형단야를 통한 철기 생산 기술이 존재했으며, 4세기 후반∼5세기 전반에 이르러 괴련철의 품위를 높이거나 철정(鐵鋌)을 생산했던 정련단야 내지 단련단야 기술이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삼국시대 제련과 관련된 유구는 아직 조사되지 않았으나, 과학적 분석 결과 남원 아막성에서 출토된 철재가 제련 과정에서 생성된 것으로 밝혀져 6∼7세기 무렵 아막성이 위치한 ‘시리봉’ 일대에서 제련이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다.
    통일신라∼고려시대에는 주조와 관련된 유적이 조사되었다. 주변에서 관청으로 추정되는 건물지가 조사되었음을 감안하면 생산의 주체는 관(官)으로 추정된다. 생산품은 철솥(鐵鼎)으로 이는 당시의 난방과 취사 방법, 취사 용구의 보급 과정 등을 보여준다.
    조선시대에 이르면 괴련철을 생산하기 위한 상형로의 조성이 성행한다. 이러한 제련로는 전(前) 장벽에 배재구가 존재하고 후(後) 장벽에 소구경 송풍구가 뚫린 구조이다. 이는 일본의 상형로와 닮았으나 세부 구조는 다르다. 또한 제련로와 세트를 이루는 단야로에서 단조박편과 철재가 수습되어 유적 내에서 제련뿐만 아니라 괴련철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철정(鐵鋌) 등을 제작하기 위한 정련단야 또는 단련단야가 이루어졌던 것으로 판단된다.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제철유적의 운영 시기는 조선 후기(17∼19세기)로, 당시의 광업사적 연구 성과와 유적의 입지 등을 고려하면, 제철유적은 사적(私的) 생산과정에서 조성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iron-making process conducted within the ruins by reviewing the iron-making remains and relics excavated and investigated in Jeollabuk-do, and to organi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ra based on this.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remains of hammering were mainly identified around the Mangyeong River. The center of Hammering is the upper reaches of the Mangyeong River, where groups of Sangun-ri and Sugye-ri in Wanju were active, and Hammering was formed through a furnace in the house. It is estimated that ironware production technology existed in Jeollabuk-do from the mid-3rd to the first half of the 4th century, and from the late-4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5th century, refining or ironbar production technology existed. The remains related to smelting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have not yet been investigated, but scientific analysis shows that slag excavated from Amakseong Fortress in Namwon was produced during the smelting process, and it is highly likely that smelting took place around "Siribong" where Amakseong Fortress is located in the 6th and 7th centuries.
    During the Unified Silla-Goryeo period, ruins related to casting were investigated. Considering that the building site, which is believed to be a government office, was investigated nearby, the subject of production is presumed to be a government office. The product is an iron pot, which shows the heating and cooking methods at the time, and the supply process of cooking utensils.
    In the Joseon Dynasty, the creation of square furnaces to produce wrought iron was prevalent. Such a smelting furnace has a structure in which a discharge port exists in the front long wall and a small diameter blowing hole is pierced in the hind long wall. It resembles a square furnace in Japan, but the detailed structure is different. In addition, it is believed that the hammered flakes and slag were recovered from the brazier, which forms a set with the smelter, to remove impurities from the soft iron and to produce iron bars.
    The operation period of the iron production site where the excavation survey was conducted was in the late Joseon Dynasty (17-19 years old), and considering the achievements of mining history and the location of the sites,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iron sites were created during the private production proc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