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민요 반주를 활용한 수준별 학습지도방안 (Level-differentiated Lesson In Utilization of Folksong Accompaniment)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4.06
23P 미리보기
민요 반주를 활용한 수준별 학습지도방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남도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남도민속연구 / 28호 / 333 ~ 355페이지
    · 저자명 : 최진

    초록

    2009 개정 중학교 11종의 음악 교과서에서는 가야금에 관련된 기악 활동이 유래, 종류, 명칭, 조현법, 연주부호, 자세와 연주 주법에 이르는 상세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그런데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다양한 학생들의 수준 때문에 교육의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다. 수준별 지도는 학생 개개인의 능력에 따라 교육을 제공하여 흥미를 유발하고 균등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교수 방법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민요 도라지의 반주를 활용하여 가야금의 수준별 실기지도를 단계별로 제시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라지 1단계는 가야금의 기초단계로, 이 단계에서는 학생이 가야금의 줄 이름과 오른손 주법을 익히도록 한다. 학생들이 가야금의 12줄을 익힐 수 있도록 단순한 음을 한 장단에 한 음씩( ) 제시하고, 이 활동을 통해 12줄을 익히는 것 외에도 첫 박을 크게 한 박씩 연주해 보며, 장단의 첫 박인 쿵( )박을 익힐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도라지 2단계는 가야금의 발전단계로, 복합적인 오른손 주법을 배우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옥타브 관계가 아닌 두 줄을 집고 동시에 소리 내는 주법을 익힐 수 있으며, 쿵 딱( ♩), 쿵 딱( ♩)의 리듬꼴로 세마치장단의 3박 리듬을 연주함으로써 세마치장단의 기본 흐름을 익힐 수 있다. 또한, 가야금의 주법 중 연튕김이나 검지와 엄지 또는 검지와 중지의 집는 주법 등 다소 난이도가 높은 주법을 익힐 수 있다.
    셋째, 도라지 3단계는 심화단계로, 저음, 중음, 고음의 12줄을 고루 연주한다. 또한 이 단계에서는 도라지 선율을 가야금으로 연주하며, 왼손의 주법을 익힐 수 있다. 학생들은 농현과 흘러내리는 소리, 밀어올리는 소리, 꺾는 소리 등을 연습하도록 하며, 학생들은 오른손과 왼손의 협응능력을 기를 수 있다.
    넷째, 도라지 합주 단계는 지금까지 배워온 것을 정리․평가하는 단계이다. 학생들은 이 단계에서 자신의 수준에 따라 서로 다른 성부를 연주함으로써 각각 다른 선율이 합쳐져 도라지가 더욱 풍성한 소리의 가야금 4중주 합주로 완성되는 것을 보고 듣고 느끼며 음악적으로 성장할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가야금의 학습 수준에서 나타나는 차이를 줄이고, 수준에 맞는 연주를 하여 합주에 참여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가야금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보다 높은 학업 성취도를 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차후 이와 같은 방안이 여러 악곡에 적용된 워크북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The 11 middle music textbooks of 2009 revised school curricula delineate the origin, kinds, names, accordatura, marks, postures, and play styles of the gayaguem. However, in the reality, the efficiency of education is falling behind due to the various levels of students. Level-differentiated instruction is a very important teaching method because it provides education, motivation, and equal change of educa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individual students. Therefore, this article carried out a level-differentiated performance instruction of the gayaguem on a series of levels by utilizing the accompaniment of folksong Doraji.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Firstly, the first step of Doraji is the basic step of the gayageum. In this step, students learn the string names and the right hand movement of the gayaguem. Simple notes are presented as a note( ) for each beat for students to learn the 12 strings of the gayaguem. Through this activity, students learn not only the 12 strings but also the first beat of a rhythm, kung( ) beat by playing aloud the first beat by beat.
    Secondly, the second step of Doraji is the development step of the gayaguem and this step is dedicated to learning complex movement of the right hand. In this step, students learn to pluck two strings simultaneously which are not octaves. Students play the rhythm of Semachi rhythm which is 3 beat rhythm ‘kung ttak( ♩)’, ‘kung ttak( ♩)’ to learn the basic flow of Semachi rhythm. Also, students learn rather difficult playing style of the gayaguem such as plucking the strings with the thumb and the index finger or the index finger and the middle finger.
    Thirdly, the third step of Doraji is the intensive step in which low, middle, and high notes of the 12 strings are played. In this step, students play Doraji melody with the gayageum and learn the movement of the left hand. Students practice vibrato, flowing note, rising note, and bending and also the coordination capability of the right and left hand.
    Fourthly, Doraji accompaniment step is the final step to organize and evaluate the lesson. In this step, students will play different parts according to their level and through the harmony of different melodies, they will be able to see, hear, and feel how Doraji is completed as the gayageum quartet accompaniment and thus, grow musically.
    The research is expected to bridge the gap among different levels in learning to play the gayageum; boost the interest about gayageum through the participation in the accompaniment by playing the suitable level; and finally foster a high level of learning accomplishment. The development of a workbook in which such measures are applied to different songs is need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도민속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7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