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 고훈시대 살포의 형식과 시기별 양상 (The Formality and Aspects of salpo In Japan's Kohun Periods)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24.02
30P 미리보기
일본 고훈시대 살포의 형식과 시기별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일본연구 / 41호 / 609 ~ 638페이지
    · 저자명 : 이상원

    초록

    본 연구는 일본열도 고훈시대의 고분에서 출토되는 철제 농구 중 한반도와 깊은 관련이 있는 살포에 대해 검토한 것이다. 일본열도에서 살포는 고훈시대 전기부터 종말기에 이르기까지 비교적 오랜 기간에 걸쳐 출토된다.
    고훈시대 전기의 살포는 전체 크기 및 신부 형태, 공부의 제작기법 등이 한반도 남부지역에서 출토되는 것과 동일하다. 비록 초현 시기와 관련된 문제는 있지만, 당시 일본열도와 한반도 사이에 이루어졌던 경제적인 문물 교류 속에서 유입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고훈시대 중기는 고구려의 남하정책으로 인해 한반도 남부지역, 특히 낙동강 하류역을 중심으로 기술을 가진 사람들이 열도로의 이주가 발생한다. 때문에 중기 전반에는 고훈시대 전기와 마찬가지로 한반도 남부지역에서 제작된 것이 유입되었다. 그러나 중기 중반 이후부터는 열도 내에서의 환경에 적응하여 그 환경에 맞게 제작이 이루어진다. 이를 보여주는 것이 소형화된 크기의 살포이며, 이는 열도 내에서 재료 수급의 문제와 공방과 관련된 작업 환경이 제한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았다.
    고훈시대 후기는 고훈시대 전기와 중기를 거치면서 지속적으로 한반도에서 제작된 것이 유입되어 들어오는 한편으로 중기 중반 이후 열도 내에서의 환경에 적응해 가는 도래인들로 인해 단야와 관련된 기술이 조금씩 발전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단야 및 제철과 관련된 단야구로 확인되는데, 5세기 후반 이후에 성행을 맞이하기 때문이다.
    고훈시대 종말기는 한반도와의 교류를 살펴볼 수 있는 고고 자료도 급속히 줄어든다. 시기적인 차이가 확인됨에도 불구하고 한반도에서 출토된 자료와 유사한 형태가 확인된다. 일본 환경에 완전히 적응하였음을 보여주는 동시에 단야 및 제철의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였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한반도에서 살포는 4세기대에 등장하여 6세기 중엽 이후 고분에의 부장은 소멸하지만, 중세와 근세를 거쳐 현대에 이르기까지 사용되는 농구이다. 그러나 일본에서는 7세기 중엽 이후로는 완전히 자취를 감춰 소멸하는 농구로, 한반도와 달리 필요를 느끼지 못하였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점에서 살포는 논의 물꼬를 트거나 막을 때 사용하였던 실용적인 농구라기보다는 한반도에서 도래해 간 집단의 매장 풍습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of examining Salpo, which has a deep connection with the Korean Peninsula among iron farming tools excavated from ancient tombs in the Kohun periods. Salpo in the Japanese archipelago was excavated over a relatively long period of time from the early Kohun periods to the late Kohun periods.
    In the early period of the Kohun periods, the overall size of the Salpo, the shape of the bride, and the manufacturing technique of the part of a body are identical to those excavated in southern Korea. Although there are problems related to the initial period, it was found to have flowed in through economic cultural exchanges between the Japanese archipelago and the Korean Peninsula at the time.
    In the mid-Kohun periods, due to Goguryeo's southward policy, people with skills centered o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especially the Nakdong-River, migrate to the archipelago. Therefore, in the first half of the mid-term, as in the early period of the Kohun periods, those produc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ere introduced. However after the middle of the Kohun periods, production is made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within the Japanese archipelago. Showing this is a miniaturized salpo, which means that the work environment related to the supply and demand of materials and workshops within the Japanese archipelago has been limited.
    In the late Kohun periods, it can be seen that technologies related to blacksmith are gradually developing due to the arrival of people who are adapting to the environment in the archipelago after the middle of the Kohun periods through the early and middle periods of the Kohun periods. This is confirmed as a blacksmith's tool related to blacksmith and ironmaking, as it has become popular after the second half of the 5th century.
    During the end of the Kohun periods, archaeological materials that can look at exchanges with the Korean Peninsula are also rapidly decreasing. Despite the fact that the timing difference is confirmed, a form similar to the data excavated from the Korean Peninsula is confirmed. It was found that it showed that it had fully adapted to the Japanese environment, and at the same time, it meant that blacksmith and steel technologies had developed dramatically.
    In the Korean Peninsula, salpo appeared in the 4th century and the burial site of ancient tombs disappeared after the mid-6th century, but it is a farming tool used from the Middle Ages and modern times to modern times. However, in Japan, it is a farming tool that completely disappears after the middle of the 7th century, and unlike the Korean Peninsula, it is thought that there was no need. In this respect, salpo can be considered to be related to the burial customs of groups that originated from the Korean Peninsula rather than the practical farming tool used to open or block the water of the price fie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