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부산지역 주민의 연령별 패스트푸드 이용실태 (A Comparative Study on Fast Food Consumption Patterns Classified by Age in Busan)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07.10
11P 미리보기
부산지역 주민의 연령별 패스트푸드 이용실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12권 / 5호 / 534 ~ 544페이지
    · 저자명 : 이정숙

    초록

    초등학생, 고등학생, 30대, 40대, 50대 등의 연령별 패스트푸드 이용실태를 비교함으로써 세대 간의 패스트푸드 이용 경향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외식문화의 올바른 지도와 바람직한 식생활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부산시내에 소재하는 초등학교와 고등학교를 12개교씩 선정하여 6개교는 학생을 대상으로, 6개교에서는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4개의 대학에서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2006년10월 15일부터 11월 15일까지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등학생(41.0%)과 40대(43.0%)가 자신을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았으며(p < 0.001), 고등학생, 30대, 50대는 자신의 건강상태가 ‘보통’ 이라고 생각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1주일동안 아침식사 횟수는 고등학생군이 3.9회로 가장 낮았고, 40대가 5.6 회로 가장 높았다. 1일 간식섭취 횟수는 모든 연령층에서 ‘1 회’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41.1%), 전체의 83.9%가 간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경우는 ‘먹지않는다’가 18명(9%)으로 가장 낮은 비율을 나타낸 반면, 다른그룹은 15.5%~21.5%가 ‘먹지않는다’로 답하였다. 전체 조사대상자의 39.3%가 편식을 하지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30대(52.6%)와 40대(58.5%)는 ‘하지않는다’가 높은 비율을 나타낸 반면 초등학생(25.0%)과 고등학생(31.5%) 및 50대(33.2%)는 낮은 비율을 보여 상대적으로 편식을 많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생활가치를 어디에 두느냐는 질문에서 모든 연령층에서 ‘영양섭취’에 가치를 두는 비율이높게 나타났으나, 고등학생은 ‘배고픔의 해결(27.0%)’에 가치를 두는 비율이 두 번째로 높았고, 30대, 40대는 ‘간단히먹는것’에 가치를 두는 비율이 두 번째로 높게 나타나 연령별 차이를 보였다(p < 0.001). 패스트푸드 이용빈도는 ‘1달에 1~2번 정도’ 이용한다는 응답이 초등학생은 77명(38.5%), 고등학생 81명(40.5%), 30대 57명(41.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40대와 50대는 ‘거의 이용하지 않는다’가 각각 73명(36.5%), 97명(48.7%)으로 가장 높게나타났다. 1주일에 한번이상 이용하는 경우가 초등학생의41.5%, 고등학생의 40.5%, 30대 24.1%, 40대 35.0%, 50대 18.1%이었다. 패스트푸드 이용 시 1회 사용금액은 초등학생의 경우 ‘2000원~3000원’을 사용하는 비율(37.5%) 이 가장 높았지만, 고등학생과 30대, 40대 및 50대는 ‘3,000 원~4,000원’을 사용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고, ‘2,000원~3,000원’은 두번째순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31.6% 가 패스트푸드가 한끼 식사로 불가능하다고 하였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불가능하다는 비율이 높았다(p < 0.001). 패스트푸드의 품목을 선택할 때 기준이 되는 것은 초등학생(36.5%)과 고등학생(43.0%)은 ‘가격’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고, 30대(53.2%), 40대(36.0%), 50대(39.7%) 는 ‘기호’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여 세대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p<0.001). 식생활태도와 영양지식 점수가 낮을수록, 비만도와 편식정도가 높을 수록 패스트푸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식생활태도를 증진시키고, 영양지식을 함양시킴으로써 음식을 선택할 때 영양적인 균형을 고려해서 선택하며, 낮추고, 자신의 식생활을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체계적인 영양지도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시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더불어 서구의 패스트푸드를 그대로 수용하기 보다는 우리 실정에 맞으며 우리 음식의 장점을 살린, 전통음식의 패스트푸드화를 위해 힘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ast food consumption patterns classified by age in Busan.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15 to November 15, 2006 by questionnaires and data analyzed by SPSS program.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orty one point five percent of the elementary group, 40.5% of the high school group, 24.1% of the 30’s, 35.0% of the 40’s and 18.1% of the 50’s took fast foods over once a week. Seventy two point five percent of the elementary group, 61.5% of the high school group, 16.8% of the 30’s group, 10.0% of the 40’s, and 14.6% of the 50’s preferred fast food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asis for selecting menus among the groups. The most important basis for selecting menus was ‘price’ in the elementary group and the high school group, but was ‘preference’ in the adult groups. As their age increased, they spend more money for fast food. Forty six percent of the elementary group and 49.5% of the high school group, 32.1% of the 30’s, 36.5% of the 40’s, 34.7% of the 50’s thought that fast food can substitute for a meal. The age affected significantly the substitutability for the meal of the fast food (p < 0.001). In the high school group, the ratio of skipping breakfast is higher than in the other age groups. Dietary attitude has direct effects on the preference of the fast foods. Nutrition knowledge, degree of unbalanced diet, and obesity rate hav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which were mediated by dietary attitude. Nutrition knowledge showed the greatest total causal effect in relation to the preference of the fast foods. Therefore, nutrition education for the subjects is needed to encourage them to choose more nutritious food and have healthier dietary patter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2(5) : 534~544, 2007)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