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수궁가 ‘고고천변’ 대목의 유파별 특성 연구 (The characteristics of ‘Gogocheonbyeon’, Sugung-ga by the genealogies)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0.06
49P 미리보기
수궁가 ‘고고천변’ 대목의 유파별 특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악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음악연구 / 47권 / 49 ~ 97페이지
    · 저자명 : 김미선, 김동건

    초록

    본 연구는 수궁가 눈대목의 하나인 ‘고고천변’의 유파별 특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눈대목’은 판소리에서 가장 자주 불리고 가장 두드러지거나 흥미 있는 장면이다. 그리고 창자들이 자신의 특장으로 삼아 공력을 기울여 연마한 대목이어서 창자별·유파별·제별 특성이 가장 잘 드러나는 대목이기도 하다. 따라서 ‘눈대목’에 나타한 유파별 특성을 살펴보는 것은 수궁가 전체의 유파별 특성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척도가 될 것이라 여겨진다.
    유파별로 살펴본 고고천변 사설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새타령의 위치가 송만갑제만 다르다. 다른 바디들과는 달리 송만갑제는 맨 마지막 단락에 새타령이 나오는데, 토끼전 필사본 모두에서 새타령이 고고천변의 마지막 부분에 들어 있는 것으로 보아 송만갑제에 나오는 새타령의 위치가 원래 위치인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정회석 고고천변에는 새타령이 들어있지 않다. 그러나 정권진의 창본에 들어 있는 것으로 보아 서편제에 원래 새타령이 없는 것은 아닌 것으로 여겨진다. 셋째, 유성준제 여섯 바디들 중 임방울사설과 박초월사설의 친밀도가 높다. 넷째, 박동진의 사설은 새로 개작하여 첨가한 부분이 많이 보인다. 다섯째, 김창환 고고천변의 사설이 가장 짧다.
    유파별로 살펴본 악조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동편제의 송만갑제는 거의 우조로 짜여져있다. 둘째, 유성준제는 계면조의 비중이 높게 나타난다. 셋째, 유성준제의 임방울·박초월·박동진·강도근에게서 반드름조가 보인다. 넷째, 서편제의 김창환제는 완전 평조로 이루어져 있다. 다섯째, 서편제의 정응민제는 평조에 계면조가 가미되어 있다. 즉, 고고천변의 악조는 유파별 특성을 달리하여 동편제의 송만갑제는 우조로, 유성준제는 계면조 위주로, 서편제는 평조 위주의 악조로 짜여졌다. 동편제 유성준제에서 나타난 계면조의 높은 분포와 서편제에 나타난 평조의 높은 분포를 통하여, 기존 유파별 악조에 대한 선입견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유파별로 살펴본 고고천변 붙임새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디붙임의 비중은 김창환이 95.8%로 가장 높고, 송만갑·임방울·박초월·박동진이 90%이상 차지한다. 정회석의 본디붙임 비중이 76%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송만갑과 임방울이 ‘대마디대장단+끊기’ 비중이 높고 ‘완자걸이’를 사용하지 않는 점이 같다. 셋째, 송만갑·임방울·박초월은 엇붙임 중에서 ‘엇밀붙임’만을 사용하여 붙임새 분포가 서로 비슷하였다. 넷째, 김연수·정광수의 붙임새가 화려하고 다채로웠다. 즉, 고고천변의 붙임새는 후대로 오면서 본디붙임의 잉어걸이·완자걸이 등을 사용하고, 엇붙임의 비중이 높아져 유파별 특성보다 개인적 취향이 많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고고천변 리듬형태의 특징은 첫째, 강도근을 제외한 모든 바디에서 리듬형태 제1형( )이 50%이상 차지했다. 그 중에서도 임방울은 리듬형태 제1형을 73.8% 사용해 리듬형태가 가장 단순하였다. 둘째, 리듬형태 제5형(제1형~제4형에 해당하지 않는 리듬형태)이 정광수에게 가장 많이 나타나 정광수의 리듬형태가 가장 다채로웠다.
    결과적으로 악조와 붙임새에서 송만갑과 임방울의 친연성이 매우 높게 나타나 임방울이 유성준제 소리에 가장 가까울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박동진 바디는 유성준제의 어느 바디와도 친연성을 보이지 않아 박동진이 많은 부분을 개작했음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spects of the inheritance and variation of ‘Gogocheonbyeon’, which is one of the Nundaemoks of Sugung-ga. The Nundaemok passage, as one of the most remarkable passages in Pansori, comprises the core of the story, and is sung most freqquently. Because of the importance of this passage, to the story and to the singer’s repertoire it has been transmitted and adjusted many times, and so shows the characteristics and mutual differences between singers and lineages. So, the aspects of the inheritance and variations of Nundaemok can be tought of as some yardstick for the those of all the Sugung-ga.
    Each badi shows its own characteristics of Gogocheonbyeon narratives as follows. At first, the place of Saetaryeong in Songmangab-Je is different from others. Unlike other Je’s, the Saetaryeong is located at the end of the Songmangab-je. Secondly, There is no Saetaryeong in the Gogocheonbyeon of Jeong Hoeseok. But from the fact that there is a Saetaryeong in Jeong Kwonjin’s Changbon, we can infer that it is not the case there is no Saetaryeong in Seopyeon-Je. Thirdly, among the six badi’s of Yu Seongjun-je, the narratives of Im Bangul are very similar to those of Pak Choweol. At fourth, the narratives of Pak Dongjin seem to be adapted newly and many narratives seem to be added newly to those of Pak Dongjin. At fifth, the Gogocheonbyeon of Kim Changhwan is shortest.
    Each badi also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Butimsae. At first, the ratio of Bondibutim is 95.8% in Kim Changhwan’s narratives. And in cases of Song Mangab, Im Bangul, Pak Choweol, and Pak Dongjin, the ratio of Bondibutim shows more than 90%. But the bondibutim of Jeong Hoeseok shows the lowes ratio of 76%. At second, At second, the narratives of Song Mangab and Im Bangul show much similarities in that the ratio of Daemadi-jangdan+Kkeunki is high and both do not use Wanjageoli. At third, the ratio of Eotbutim is low in the narratives of Song Mangab, Im Bangul and Pak Choweol, and they use only ‘Eotmilbutim’ among Eotbutim’s. At fourth, the butimsae of Kim Yeonsoo and Jeong Kwangsoo is very splendid and various.
    The rhythmic patterns of Gogocheonbyeon are as follows. At first, in every badi the rhythmic pattern type I ( ) is used more than 50% except that of Kang Dogeun. Among them the rhythmic pattern I of Im Bangul forms 73.8% of badi, so the rhythmic pattern of Im Bangul appears to be the simplest one. At second, the rhythmic pattern V, which is not included in the rhythmic pattern I~VI, used most frequently in the badi of Jung Kwangsoo, and that of Jung Kwangsoo appears most variou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al tones and Sigimsae of Gogocheonbyeon are as follows. At first, the Gogocheonbyeon of Song Mangab is composed mostly of Wu-Jo and the ratio of Kkenneunmok is very high in his Gogocheonbyeon. At second, Yu Seongjoon-Je is mostly composed of Gyemyeon-jo, and the heavily trembling Sigimsae is used much in his works. At third, Seopyeon-Je is mostly composed of Pyeong-Jo, and Mineunmok is used much in Kim Changhwan’s works. And Jeong Hoeseok uses a strong Jjikneunmok. At fourth, the Gogocheonbyeon of Song Mangab and Im Bangul is faster than that of others, and the works of Pak Choweol, Pak Dongjin and Kang Dogeun show slow temp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음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