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시대 별기은(別祈恩)의 성격과 제행(祭行) 형태 (Byeolgieun’s Property and Ritual Formalities in the Goryeo Dynasty)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21.08
45P 미리보기
고려시대 별기은(別祈恩)의 성격과 제행(祭行) 형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세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중세사연구 / 66호 / 179 ~ 223페이지
    · 저자명 : 정서윤

    초록

    본고에서는 고려 全 시기에 걸쳐 제행되었던 別祈恩 의례의 제행 양상을 살펴보았다. 별기은은 국가와 왕실의 주체로 宮內, 寺社, 山川, 神祠 등 다양한 祈福處에서 제행된 제의이다. 다양한 신격의 존재를 인정하였던 고려의 시대상을 대표하는 의례였던 만큼, 별기은은 고려 全 시기에 걸쳐 여러 사상적 기반을 토대로 제행되었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각 종교적 색채의 농도에 추이를 보이고 있으며 이에 대해 고려 초·중기에는 별기은의 佛·道祭식 제행 모습이, 고려 후기에는 巫祭식 제행의 모습이 짙다고 정리할 수 있다.
    별기은으로 보이는 최초의 기록은 성종대, 최승로의 시무 28조의 ‘別例祈祭’에서 찾을 수 있는데, 이를 ‘법식과 다른 기도와 제사’ 즉, 淫祀로 보는 기존의 해석이 있지만 ‘별례의 제사’, ‘특설의례’라는 새로운 해석 시도를 통해 別例燃燈會·特設仁王會 등 고려 전기 별기은의 모습을 파악할 수 있다. 이후 불안했던 국내외 상황 속에서 祈恩色·別例祈恩都監 등의 제행 관련 국가기구가 설치되며 점차 체계성을 갖추어가던 별기은은 고유의 국가제사로서 편제되고 성행하게 되자 ‘별기은’에서 축약된 형태인 ‘기은’으로 불리우며, 중앙과 궁내뿐만 지방에서도 제행되기 시작한다.
    특히 원 간섭기에 들어서며, 담당 祭官이었던 外山祈恩別監과 祈恩使가 파견되는 모습을 살펴볼 수 있는데, 이들은 지방 名山의 神祠에서 별기은 제행을 담당하였다. 유교식 山川祭를 지내던 外山祭告使가 겸임하였던 외산기은별감은 지방 명산에 기은을 지내러 갈 때 지방에 있는 죄인에 대한 왕의 사면령을 전달하였으며, ‘국왕 대행인’, ‘국가제사 의례자’라는 높은 지위를 통해 많은 폐행을 일삼기도 하였다. 이처럼 외산기은별감이 명산의 신사에서 산천제식 별기은을 제행하는 모습은 이전까지의 佛·道祭식 의례에서 고려 말 巫祭식 의례로 고착화되기 전의 과도기적 형태로 볼 수 있다.
    13C 초부터 서서히 등장하던 무당의 별기은 제행 모습은 원 간섭기 전후로 성행하게 된 巫風으로 인해 더욱 만연해지게 된다. 고려 말, 무당들이 정국 운영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게 되며 그들의 후손 및 친척들이 고위관직에 오르는 상황을 통해 무당의 입지가 더욱 높아져 결국 별기은 역시 巫祭로 고착화된다. 왕실 내외로 祈雨祭와 사적인 의례를 책임지던 무당이 국가제사를 관장하게 되어 禁巫論까지 나오는 상황 속에서, 관인들은 기존의 제도 속 ‘기은’과 구별하기 위해 다시금 ‘별’자를 붙여 ‘별기은’이라고 칭하는 것에서 기은의 ‘무속적’ 제행 형식을 구분하려 하였다. 巫俗化된 별기은은 조선으로 이어져 유학자로부터 지속적으로 비판받았으며 이후 몇 번의 유교화가 시도되지만 무속 별기은은 여전히 잔존해 있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dealt with the Byeolgieun(別祈恩)’s ritual aspect that was practiced in the whole Goryeo Dynasty. Byeolgieun was a ritual ceremony held by government and royal family in the various Gibokcheo(祈福處;a place for invoking a blessing) such as the palace, temple, mountains, rivers, and shrines etc. As Byeolgieun was the ritual representing the Goryeo Dynasty, which recognized the existence of various divinities, Byeolgieun was performed on the basis of several ideological grounds throughout the Goryeo Dynasty. According to the flow of time, it showed each ideological tone depth progressed and so Byeolgieun’s Buddhistic·Taoistic ceremony shaped in the early, middle Goryeo period, while Shamanistic tendency was stronger in the Late Goryeo period.
    There seems that the first Byeolgieun recording can be discovered in Byeolryegije(別例祈祭) of SImu 28, Choe Seung Ro(崔承老)’s Sangsomun(上疏文) when King Seongjong(成宗) period. Byeolgieun had already an established interpretation, that is “Eumsa(淫祀)”, means different from ritual processes and rites. But it could figure out that rites aspect regarding to the early Goryeo period Byeolgieun through trying to a new interpretation of exceptional rites such as Byeolryeyeondeunghoe(別例燃燈會)·Teukseolinwanghoe(特設仁王會). Hereafter under the unstable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nditions, Byeolgieun, which was gradually becoming more formationed and prevailed as national ritual after the establishment of a national organization related to ritual practice, GIeunsaek(祈恩色)·Byeolryegieundogam(別例祈恩都監), then from the word “Byeolgieun” being called to Gieun (contracted form) started to expand, not only in the capital town and palace but conducted ceremony in local area.
    As entered Yuan(元) intervention period, through the dispatch of those who are in charge the officer, Oesangieunbyoelgam(外山祈恩別監) and Gieunsa(祈恩使), Byeolgieun started to be performed in local Myeongsan(名山;authorized mountains) and temples. Oesanjegosa(外山祭告使), who performed confucianstic Sancheonje(山川祭;rites of authorized mountains and rivers), concurrently served as Oesangieunbyoelgam. When they went to the local Myeongsan for performing rites, they conveyed a decree of amnesty of the king to the local prisoners and they did lots of bad activities by using the high position as national rites officials. These Sancheonje style of Byeolgieun, Oesangieun- byoelgam conducts in the temple of the Myeongsan, can regard as the transition period before type was fixed from Buddhistic·Taoistic ceremony to Shamanistic ceremony in the Late Goryeo period.
    From the early 13th century, gradually appearing the Mudang(巫堂;shaman)’s ceremony much more prevailed by shamanistic trend since Yuan intervention period. In the Late Goryeo period, Mudangs participated in the politic issues directly or indirectly and using these current situation, Mudangs’ descendants and relatives took the higher status. Therefore Mudangs’ positions were much higher and Byeolgieun was fixed Shamanistic ceremony. Because Mudangs, who charged in GiuJe(祈雨祭;ritual for rain) and several private rituals in and out of the royal family, conducted the national rituals much more than ever, preventing Shamanism theory appeared. And In this circumstance, in order to distinguish “Gieun” in the previous system and separate Shamaniistic ritual formation, “Byeol” was added again then named “Byeolgieun”.
    Confucian scholars’ intense criticism against Shamanistic Byeolgieun, carried over Joseon, continued. Moreover several Confucian transformation made an attempt, but still remained Shamanistic ceremon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중세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