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중∙후기 사람들의 연령별, 분묘형식별, 사망연령별 치아 선형 에나멜 형성부전증 발생 양상 (Patterns of Linear Enamel Hypoplasias among Korean Skeletal Samples from the Joseon Dynasty Period)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1.09
12P 미리보기
조선 중∙후기 사람들의 연령별, 분묘형식별, 사망연령별 치아 선형 에나멜 형성부전증 발생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체질인류학회
    · 수록지 정보 : 해부·생물인류학 / 24권 / 3호 / 123 ~ 134페이지
    · 저자명 : 박순영, 우은진, 정양승, 조길환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은평지역 분묘군 인골집단을 대상으로 대표적인 발달 스트레스 지표로서 많은 연구에서 이용되어온 영구치 선형 에나멜 형성부전증(LEH)의 발생 양상을 조사하여, 조선시대 중기에서 후기 사이에서울에 거주했던 사람들이 유아기에 경험한 발달 스트레스의 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은평 뉴타운 건설을 계기로 발굴된 은평 분묘군 출토 인골개체 가운데서 영구치의 앞니부위 치아 중 최소한한 개 이상이 남아 있으면서 LEH의 발생유무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한 160개체를 본 연구의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먼저 분묘군의 조성연대, 개체별 성, 사망연령, 분묘형식에 대한 정보를 얻은 후 각 치아별로 LEH의 발생유무, 발생개수를 조사하여 치아유형별 LEH의 발생률과 발생개수, 성별 LEH 발생개수, 분묘형식별 LEH 발생개수, 사망연령과 LEH 발생개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치아별로는 아래턱 좌∙우 송곳니, 위턱 좌∙우 송곳니, 위턱 좌∙우 안쪽앞니의 순서로 LEH의 발생률이 높고 치아당 발생개수도 많았다. 성별차이는 일관성이 없었고 뚜렷하지도 않았다. 분묘형식별 LEH 발생 양상의차이는 뚜렷하지는 않았으나 대체적으로 토광묘 피장자들이 회묘 피장자들에 비해 높은 빈도의 LEH를 보여주는 경향이 있었다. 사망연령과 LEH 발생개수 사이에는 분명한 패턴이 나타나지 않았다. 유일하게 아래턱 좌측 가쪽앞니에서만 LEH 발생개수와 사망연령 사이에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나 LEH를 많이 가진 개체일수록조기 사망한 경향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세계 각 곳에서 조사된 연구 결과들과 비교하여 고찰하고 본 연구 결과의 의미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고인골을 대상으로 치아에서 나타나는 성장기의 발달 스트레스 지표를 분석한최초의 시도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영어초록

    Dental linear enamel hypoplasia (LEH) is probably one of the most widely used developmental stress indicators among all known skeletal stress indicators. This research examined LEH on the permanent anterior teeth of 160 human skeletal remains from the Joseon Dynasty period.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mental stresses experienced by the people of the Joseon period by analyzing the patterns of LEH incidences.
    The skeletal remains analyzed for this research were excavated during an archaeological investigation at a construction site in Eunpyeong-gu, Seoul, South Korea. Eunpyeong site is estimated to date from the late 15th century to the late 19th century based on the burial type and goods discovered within the graves. Of all the skeletal remains found at this site, 160 individual specimens with at least one of the permanent anterior teeth constituted the sample of the study.
    Information regarding each individual specimen’s sex, age at death, and burial type was collected by the standardized methods. The prevalence and number of LEH by tooth type, and the number of LEH by sex, by burial type, and by age at death were analyzed. Mandibular canines were the most frequently affected teeth, maxillary canines coming next in the occurrence of LEH, and the third turned out to be the maxillary incisors. This result generally agrees with the findings from previous studies. When number of LEH by sex was compared, there was no consistent difference by sex which also agrees with the findings of previous studies. Although specimens from lime-mortar burials tended to have less number of LEH then those from earth-pit burials, a probable indication of the socioeconomic status effect on the formation of LEH, the result was not very pronounced. No obvious association between the number of LEH and age at death was found, either.
    Finally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compared with those reported by other researches on LEH worldwide.
    Although preliminary in its level of analysis, this study is the first report of the patterns of LEH of a skeletal population of Korea. With more studies of human skeletal remains from the past, it is hoped, physical anthropology can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past life of the Korean peop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해부·생물인류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