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별계후등록(別繼後謄錄)』을 통해 본 17∼18세기 여성의 입후 청원과 가계계승 분쟁 (Women’s Petitions for Adoption and Succession Disputes in the 17th and 18th Century Korea from the Byeol gyehu deungrok(別繼後謄錄))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23.06
33P 미리보기
『별계후등록(別繼後謄錄)』을 통해 본 17∼18세기 여성의 입후 청원과 가계계승 분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여성과 역사 / 38호 / 85 ~ 117페이지
    · 저자명 : 김보람

    초록

    본 연구에서는 『별계후등록(別繼後謄錄)』을 중심으로 17∼18세기 여성들의 입후 청원 유형과 여성들이 개입된 가계계승 분쟁의 양상을 검토함으로써 조선후기 여성들이 어떤 방식으로 입후와 가계계승 문제에 관여하고 있었는지 살펴보았다. 『별계후등록』에 기록된 여성들은 대부분 사망한 남편을 위해 입후를 청원했지만, 어머니로서 아들을 위해, 딸로서 친정 부모를 위해서도 입후를 청원했다. 특히 친정을 위한 여성의 입후 청원 비율은 후기로 갈수록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이는 조선후기에 시집살이가 확산하면서 여성들은 친정과 거의 단절된 삶을 살아갔을 것이라는 통념과 배치된다. 나아가 여성들은 친정의 가계계승 문제에 적극 개입했는데, 그 바탕에는 그들도 여전히 친정 가문의 구성원이라는 의식이 강하게 자리 잡고 있었다. 조선후기 여성과 관련된 가계계승 분쟁은 탈종 위협에 직면하여 적극적으로 대응한 여성들, 원하는 후사를 들이기 위해 생가와 남편 문중 몰래 거짓 정장을 올려 계후입안을 도출한 여성들, 서녀로서 적녀를, 첩으로서 처를 모칭하면서 봉사 재산을 요구하거나 입후를 청원한 여성들로 분류된다. 이러한 모습들은 가계계승과 관련하여 조선후기 남성 부계집단의 그늘에 가려져 있었던 여성들의 행위성과 이해관계, 생존전략 등을 드러낸다. 그리고 이는 여성들 내 서로 다른 생애 주기상의 위치, 적서, 신분에 따라 상이한 내용과 함의를 지니고 있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plores the adoption petitions made by women, particularly widows, and their participation in succession disputes during the 17th and 18th century Korea. The government’s register of special cases of adoption, Byeol gyehu deungrok(別繼後謄錄), serves as the primary source for this examination. While most women recorded in the register sought an adoption for their deceased husbands, a certain degree of women also petitioned for their sons or natal family. Interestingly, the number of adoption petitions by women for their natal lineage increased over time, contradicting the belief that women during this period were subordinated to their husbands’ lineage and disconnected from their natal families. This trend indicates a strong consciousness among women of their membership in their natal family even after marriage. Women in late Joseon society were deeply involved in legal disputes over family succession. Widows without male offspring struggled to maintain their position in their husbands’ lineage against collateral kin who sought to take the role of heir and ceremonial property. Women also preferred heirs from families with higher social status and political power, even if they were distant relatives, which often led to conflicts with both the candidate’s family and the husband’s descent group. Some women even claimed legitimate wife or daughter status, as a concubine or its daughter, to gain an advantage in adoption and inheritance issue. These cases reveal the agency, interests, and survival strategies of women in matters of family succession, which have long been overshadowed by the patrilineal group-centered perspecti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여성과 역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