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개벽』과 『별건곤』을 통해본 한국인의 한국자랑 (The Korean People's Sources of Pride Shown in Kaepyuk (開闢) and Beolgeongon (別乾坤) Magazines)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2.06
34P 미리보기
『개벽』과 『별건곤』을 통해본 한국인의 한국자랑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연구 / 33호 / 149 ~ 182페이지
    · 저자명 : 이에나가유코

    초록

    본고는 1920년대 문화 계몽 운동을 주도한 개벽사 잡지 『開闢』과 『別乾坤』을 통해 한국문화의 자부심을 살펴보았다. 첫째, 『開闢』의 「팔도대표의 팔도자랑」을 통해 지역 특성과 자부심을 느낄 수 있었으며 조선 문화의 원천은 바로 지역의 자랑거리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산물이나 공예는 팔도 자랑의 범주를 벗어나 한국의 특산물로 인식되어 호평을 받고 있는 대목들이다. 그런데 1925년『開闢』의「팔도대표의 팔도자랑」에 거론되었던 대목들이 1928년에 간행된『別乾坤』의「내가 자랑하고 싶은 조선 것」에는 지역 자랑에서 한발 더 나아가 조선자랑으로 나라의 전체 자랑 중의 하나로 인식되어 가는 양상을 볼 수 있다.
    둘째, 1928년에 간행된 『別乾坤』「내가 자랑하고 싶은 조선 것」의 수많은 목록 중에서도 한글과 의식주 문화에 대한 자랑이 뚜렷하다. 이들은 한류 문화의 원천이며 이러한 한(韓)브랜드의 자랑은 1920년대부터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한옥, 한복, 한식이 주목을 받는 시기가 한국 민속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는 시기라는 점을 감안하면 정체성을 대변하는 이러한 주제는 민속학의 학문적 대두와 활성화 등 일련의 흐름과 함께 해왔다고 볼 수 있다.
    셋째, 『開闢』과 『別乾坤』의 자랑 대목 중에서 한(韓)브랜드 자랑 못지않게 도덕적인 민족성에 자부심이 제기되고 있다.『開闢』과『別乾坤』을 통해본 한국문화의 자부심은 풍부한 지역문화와 한글·한옥·한식·한복을 비롯한 한(韓)브랜드, 그리고 국민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ntends to review what the Korean people had been proud of between 20th and 21st centuries. To this end, the paper examined what the contemporary Korean's sources of pride were, which are shown in the modern magazines of Kaepyuk (開闢) and Beolgeongon (別乾坤) that had been published in the 1920s.
    First, the article of「Pride of Leading Figures (Representatives) from the Eight Provinces of Korea about Local Specialties」in Kaepyuk demonstrates distinct local characteristics and Korean people's pride in their villages, districts, and provinces.
    It also shows that the strength and richness of Joseon culture stems from the sources of local people's pride (people's pride in local specialties). Similarly, residents of towns, villages, and cities reproduce the birthplaces and provide storytelling places of figures & celebrities they take pride in and, therefore, serving as "bearers of history." Notably, local specialties and artifacts are being recognized as Korean specialties, going beyond the category of province specialties.
    Furthermore, we can see that what are mentioned in「Pride of Leading Figures (Representatives) from the Eight Provinces of Korea about Local Specialties」in Kaepyuk in 1925 are also hailed as Joseon's (national) sources of pride, not just as a local pride, in the article of「What I am Proud of about Joseon」in Beolgeongon written in 1928.
    Secondly, out of numerous sources of pride mentioned in「What I am Proud of about Joseon」in Beolgeongon, Korean people's pride in Hangeul (the Korean alphabet) and Hanbok (Korean traditional clothing), Hansik (Korean food), Hanok (Korean traditional clothing)is described more distinctly. All of these constitute the Korean wave culture and therefore, the Korean people's pride in the "Han- brands" can be considered to have begun in the 1920s.
    Given that there are currently heated discussions on Korean folklore right at the time when Hanok, Hanbok and Hansik are at the center of attention for people around the globe, such themes representing Korean people's identity have been in line with a series of trends, including the emergence of folklore as a field of study.
    Thirdly, out of sources of pride shown in Kaepyuk and Beolgeongon, there are an increasing number of discussions on ethnicity of the Koreans as much as on "Han- brands." The national characteristics the modern Korean people were proud to have were 1) a sense of morality, love of peace, immense potential, 2) smartness, excellent language abilities, good heal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