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별주(別住, parivāsa)의 종류와 특이사항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Parivāsa (別住))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23.08
31P 미리보기
별주(別住, parivāsa)의 종류와 특이사항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107호 / 129 ~ 159페이지
    · 저자명 : 이영신

    초록

    비구들은 지켜야 할 250가지 계율이 있으며, 만약 비구가 스스로 범계했다고 판단하면, 승가에게 자신의 죄(罪, āpatti)를 자백(自白, paṭiññā)한다. 이때 승가는 자백한 죄의 종류에 따라 적합한 갈마를 제시해서 범계한 비구가 참회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러한 죄들 가운데 가장 복잡한 과정으로 참회하는 것은 승잔죄이다. 승잔죄라고 판단되면 일정기간 별주함과 동시에 비구로서의 권리도 제한된다. 만약 승잔죄를 범한 비구가 곧바로 자백하지 않고 하루 동안 복장하게 된다면, 복장한 기간만큼의 별주(別住, parivāsa)하는 갈마를 받게 된다.
    별주는 복장 기간에 따라서 종류가 여러 가지로 나뉘게 된다. 합일별주(合一別住, samodhāna-parivāsa)와 청정이래별주(淸淨已來別住, suddhanta–parivāsa)로 구분할 수 있으며, 두 가지는 다시 각각 세분화해서 설명할 수 있다. 또한 별주를 중단하고, 무효화하고, 재개하는 방법도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처럼 별주의 종류와 형태의 다양화는, 때로는 비구들을 배려해주기도 하고 때로는 강력하게 규제하기도 한다. 이러한 별주의 변화로 인해서 비구 개인과 승가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영어초록

    Bhikkhus are bound by 250 disciplinary rules that they must uphold, and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they have kept them well depends on their individual conscience and the Saṅgha's judgment. If a bhikkhu admits that he has transgressed a rule, he confesses (自白, paṭiññā) his offense (āpatti) to the Saṅgha. At this point, the Saṅgha offers the bhikkhu the appropriate penance (kamma) according to the type of confessed offense to assist him in the process of repentance. Among these offenses, the most complex process of repentance is the saṅghādisesa offense. If deemed a saṅghādisesa offense, the bhikkhu is isolated for a specific period and also has his rights as a bhikkhu restricted. However, if an offense is concealed for one day before confessing, the bhikkhu receives a parivāsa penance equal to the duration of concealment.
    Parivāsa (別住) is categorized into various types based on the duration of concealment. It can be classified as samodhāna-parivāsa (合一別住), which includes odhāna-samodhāna-parivāsa (先行合一別住), aggha–samodhāna-parivāsa (最長合一別住), and missaka–samodhāna-parivāsa (變則合一別住). Additionally, suddhanta–parivāsa (淸淨已來別住) can be divided into cūḷa-suddhanta-parivāsa and mahā-suddhanta-parivāsa. Moreover, there are various methods for discontinuing, invalidating, and resuming parivāsa.
    The diversity of isolation types and forms can sometimes accommodate to monks, and sometimes strictly regulatory. In this paper, we will examine how the changes in isolation affect individual monks and the Saṅgh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