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원교(圓嶠) 이광사(李匡師)의 「낙고변(洛誥辨)」에 보이는 비판적 경해 연구 (A Study on Critical Reading of the Book of History's 《luogao》 by Lee Kwangsa)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22.12
29P 미리보기
원교(圓嶠) 이광사(李匡師)의 「낙고변(洛誥辨)」에 보이는 비판적 경해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태동고전연구 / 49권 / 209 ~ 237페이지
    · 저자명 : 이은호

    초록

    원교 이광사 「낙고」편 해석은 바로 「강고」의 첫 구절 48자가 「낙고」의 탈간문이 아니라는 것에서 시작한다. 이 견해를 관건으로 「강고」, 「소고」, 「낙고」의 순서를 일련의 연속된 시간흐름의 서사로 파악한 점이 이광사의 독특한 『상서』 해석이다. 즉, 경인일(庚寅日, 2월 16일)에 「소고」의 서사가 시작되어 다음 달 갑자일(甲子日, 3월 21일)에 끝이 난다. 이 기간 가운데 「소고」가 시작된 지 약 한 달 이후인, 을묘일(乙卯日, 3월 12일)과 정사일(丁巳日, 3월 14일)은 「낙고」의 서사이고, 기미일(己未日, 3월 16일) 하루 전체가 「강고」의 서사일에 해당된다는 것이다. 이것을 시간 순서대로 일목요연하게 본문의 시간표대로 나열해 보면, 「소고」, 「낙고」, 「강고」의 시간 순서를 한 눈으로 정리하여 비정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다. 이는 역사적 사실 여부와는 별개로 경문을 개괄적으로 이해하려는 폭넓은 시각을 확인할 수 있는 대표적인 사안이라 평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을 바탕으로 「낙고」편의 채침설 ①“주공이 성왕에게 (자신의) 낙읍(洛邑) 체류를 허락하였다.”[周公許王留洛], ②“주공을 낙읍에 남게 한 것은 후세의 유후(留後)의 뜻과 같다.”[如後世留後], ③“종주(宗周)의 사보(四輔)가 되라는 것이니, 한(漢)나라의 삼보(三輔)도 여기에서 근본한 것이다.”, 그리고 ④“주공이 농사일을 밝힐 것이다”[明農]라고 한 것은 “주공이 물러나 늙으려는 것”[周公退老]이라는 네 가지 설에 대해서 당시 시대적인 배경 이해와 역사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채침설의 문제를 지적하였다. 아울러 이런 내용을 종형(從兄)인 이광찬에게 질정하였고, 이광찬의 반박에 대해서 일부 수용은 하지만 자신의 견해를 재차 강조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의 『상서』「낙고」편 해석만 보자면, 주자학 일변의 고정된 해석이 아닌, 열린 관점의 비판적인 자세로 경학을 바라보려고 했던 태도를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most important key and starting point of Wongyo Lee Kwangsa’s interpretation of 《luogao》 is that the first 48 characters of 《kanggao》 are not the sentences of 《luogao》. Starting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Lee's very unusual view to grasp the narrative sequence of 《kanggao》, 《shaogao》, and 《luogao》 as a series of events. The narrative of 《shaogao》 begins on February 16 and ends on March 21 of the following month. During this period, March 12th and March 14th after the beginning of 《shaogao》 is the period of 《luogao》. Also, the entire day of March 16 corresponds to the epic day of 《kanggao》. If these contents are arranged in chronological order, clearly and in the timetable of the text, the order of these can be arranged very simply. It can be evaluated that the original text was understood and critically interpreted regardless of the historical fact. Wongyo Lee Kwangsa looked at the book of history with an open, critical attitude rather than a fixed interpret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태동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3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