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판소리 계면조의 일시적 변조 및 변청 연구 (A Study on Temporary Modulation and Transposition in Pansori Kyemyenjo(界面調))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2.12
24P 미리보기
판소리 계면조의 일시적 변조 및 변청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악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음악연구 / 52권 / 39 ~ 62페이지
    · 저자명 : 김혜정

    초록

    남도의 향토민요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토리는 육자배기토리이다. 육자배기토리가 판소리나 산조와 같은 예술음악으로 수용된 이후 계면조라 불리게 되었고 육자배기토리와는 다른 특성들을 갖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판소리가 계면조라 하는 비교적 익숙한 육자배기토리의 민요 음계를 활용하지만 민요와 다른 세련성과 다양성을 구축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판소리 계면조 대목에서 구사하는 음계 다양성 확보 방법들을 찾아 유형화하고자 한다. 또 본격적인 변조와 변청은 계면조의 음계 내적 논의가 아니라고 판단되므로, 본고에서는 음계의 일부로 녹아있는 것처럼 인식되는 일시적 변조와 변청에만 집중해 보려 한다. 연구 대상은 계면조를 중심으로 사용하는 진양조 장단 대목으로 한정할 것이며 일시적 변조와 변청이란 1장단을 넘어서지 않는 것으로 규정할 것이다.
    판소리 계면조를 다양하게 활용하는 방법에는 계면조를 옥타브 위와 아래로 확대하여 사용하는 음역 확장과 일시적으로 우조로 변조하는 경우, 4도 위와 5도 아래의 계면조로 변청, 5도 위와 4도 아래의 계면조로의 변청의 네 가지 요소가 있다. 판소리 계면조의 음역확장과 일시적 변조 및 변청은 판소리 내에서 일종의 양념처럼 역활한다. 남도잡가 육자배기의 경우에도 음역확장이나 일시적 변조 및 변청을 메기는 소리의 초반부에 활용하는 특성을 보인다. 이 역시 분위기 변환과 같은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런데 일부 판소리꾼들은 이러한 일시적 변조나 변청을 자주 활용하지 않는 경우가 발견된다. 이는 음계적 변화가 아닌 다른 방식으로 판소리를 다양한 어법으로 만든 경우라 할 수 있다. 또 고제소리를 고집했던 명창들 가운데에는 일시적 변조 및 변청이 남도잡가에서 많이 사용된 것이므로 판소리에서 같은 방식을 활용할 경우 소리가 가벼워진다고 여겼을 가능성도 있다. 실제로 일시적 변조나 변청을 자주 사용한 사람이 주로 여성 창자들이며, 근대의 창자들이라는 점에서 그러한 가능성을 짐작해 볼 수 있다. 아마도 이러한 경향성에 대한 것은 앞으로 많은 사례 연구를 통해 검증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따라서 판소리가 반드시 다양한 어법을 활용해야 하고, 그것이 최선의 길이라 할 수는 없다. 다만 여러 가지 판소리의 음악어법 가운데 한 부분인 음계 운용방식에 있어서 다양한 방법들을 유형화하여 정리해 본 것에 본고의 의의를 둘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것을 각각의 소리꾼들이 어떻게 활용하였는지를 살펴본다면 개인적 취향이나 유파별 특성, 대목별 특징, 시대적 지향 등을 보다 세밀히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Tori used most in the folk songs of Namdo is Yukjabaegitori. Accepted as an art music as Pansori and Sanjo, Yukjabaegitori came to be called Kyemyenjo, and it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Yukjabaegitori. Focusing on the fact that Pansori utilizes the folksong scale of Yukjabaegitori, called Kyemyenjo, and that it established such sophistication and diversity, this article attempts to look for ways to obtain diverse scale performed in Pansori Kyemyenjo and categorize them. In addition, Full-scale transposition and modulation is deemed to be beside the point, this article focuses on temporary modulation and transposition, recognized as a part of scale. The object for study will be limited to Jinyangjo Jangdan, and only the first Jangdan, which is temporay modulation and transposition, will be covered.
    There are four elements to utilizing Pansori Kyemyenjo in various ways: musical expansion which expands Kyemyenjo to an octave high and an octave low; modulating to Ujo temporarily; transposing to Kyemyenjo 4 notes up and 5 notes down; Transposing to Kyemyenjo 5 notes up and 4 notes down. Expansion and temporary modulation and transposition in Pansori Kyemenjo spice up Pansori. Namjojapga Yukjabaegi shows characteristics which expands range and utilizes temporary transposition and modulation at the beginning of lead song. This serves to refresh atmosphere.
    However, there are cases where this kind of temporary modulation and transposition is not found. This can be a case in which Pansori is transformed into different styles, not through a change in the music scale. Among master singers who stuck to Gojesori, temporary modulation and transposition is used in Namdo Japga,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ound could be felt lighter if the same way is used in Pansori. Female singers used temporary modulation and transposition often, and they are modern-time singers: such possibility can be speculated.
    Therefore, it does not mean Pansori must use various styles, and it cannot be the best way. However, it is meaningful that this article examined and categorized different ways in employing scale, a part in Pansori musical language. Examining how each singer utilizes it, personnel preference, characteristics for school, features, and orientations for different ages can be examined in more dep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음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