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禽獸와 聖人의 사이‘人禽之辨’과 ‘聖我之辨’을 통해 본 先秦儒學의 인간관 (Between Beast and Sage - Pre-Qin Confucianists' View of Human Being based on the perspectives of the Differences between Beast and Man and the Differences between Sage and Selfhood)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8.12
21P 미리보기
禽獸와 聖人의 사이‘人禽之辨’과 ‘聖我之辨’을 통해 본 先秦儒學의 인간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동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대동철학 / 85권 / 249 ~ 269페이지
    · 저자명 : 정병석

    초록

    先秦 유가철학 역시 인간을 정의하면서 처음에는 인간과 금수의 구별에 대한 논의를 먼저 시작한다. 이것이 바로 인금지변이다. 선진시기의 유가들이 말하는 인금지변은 결코 순수한 사실적 측면을 통하여 인간과 다른 동물과의 차이점을 존재론적 관점에서 분석하지는 않는다. 그 보다는 선진유가들은 다분히 당위적 측면에서 인간과 금수를 구분하고 있다. 인간과 금수의 구별은 곧바로 인간은 금수에 비해서 근본적으로 우월하다는 ‘人禽異類’라는 논리적 귀결을 맺게 된다. 이런 방식의 인간 이해는 약간의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선진유가 모두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인간과 금수의 차이를 통해 인간다운 것이 무엇인지를 살펴본 후. 선진유가들은 한 걸음 더 나아가 인간의 완전성이라는 문제에 대해 이야기한다. 바로 성인과 보통 사람은 어떻게 다르고 같은 가에 대한 聖我之辨의 문제이다. 비록 공자는 자신은 감히 성인으로 자처할 수 없음을 말하지만, 맹자와 순자는 성인과 보통 사람(나)은 기본적으로 평등하다는 聖我同類의 관점을 제시한다. 이것이 말하려는 핵심은 성인 역시 보통 사람과 다를 것이 없고, 보통 사람 누구라도 노력하면 얼마든지 성인의 단계에 도달할 수 있다는 聖我의 보편적 평등성을 말하는데 있다. 이처럼 선진유가는 인간을 금수와 성인의 사이에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본 논문은 선진 유가의 인간에 대한 철학적 논의를 인금지변과 성아지변의 관점을 통하여 분석하려고 한다.

    영어초록

    In defining man, pre-Qin Confucianists first starts a discussion about the differences between man and beast. This is the Differences between Beast and Man. For the Differences between Beast and Man, pre-Qin Confucianists never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man and other animals from an ontological viewpoint through pure factual elements. Rather, they distinguish between man and beast from a normative viewpoint. The distinction between man and beast leads to a logical conclusion that, as man is fundamentally superior to beast, 'Man is a different species from beast'. Understanding man in this way is common to all pre-Qin Confucianists, although there are some differences.
    After examining what humane is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man and beast, pre-Qin Confucianists discuss the issue of human perfection with a further step. That is a question of the Differences between Sage and Selfhood with respect to how a sage is different from and the same as an ordinary person.
    Although Confucius states that he cannot set himself up as a sage, Mencius and Xunzi suggest a viewpoint of the Homogeneity of Sage and Selfhood that a sage and an ordinary person (or selfhood) are basically equal. This point is to highlight the universal equality of Sage and Selfhood in which a sage is no different from an ordinary person and any ordinary person can reach the level of a sage through efforts. Thus, pre-Qin Confucianists view man as a being between beast and sage, and, based on that, discuss the issue. In this context, this study intents to analyze the pre-Qin Confucianists' philosophical debate on man based on the viewpoints of the Differences between Beast and Man and the Differences between Sage and Selfho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3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