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성리학자들의 양명학에 대한 비판적 인식 검토(4) - 박세채의 「왕양명학변」을 중심으로 - (A Review of Critical Perceptions of Yang-Ming Studies by Neo-Confucian Scholars of the Joseon Dynasty (4) - Focusing on Park Se-Chae's "Wang Yangming's Scholarly Discrimination (王陽明學辨)" -)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20.05
27P 미리보기
조선 성리학자들의 양명학에 대한 비판적 인식 검토(4) - 박세채의 「왕양명학변」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유학연구 / 51권 / 101 ~ 127페이지
    · 저자명 : 전수연, 김민재, 김용재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소론의 영수로 지목되었던 남계 박세채의 양명학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살펴보는 것이다. 17~18세기의 조선에서는 예학에 대한 주자학적 관점의 천착과 동시에 탈주자학적 경향의 학풍이 일어나고 있었다. 그리고 학술적 견해 차이에 근거한 시대 인식으로 인해 사대부 간의 갈등과 분화 역시 한층 심해지고 있었다.
    조선 학계에서 양명학은 육구연의 심즉리 계보를 계승한 것으로 판단되어, 이황의 양명학 비판 이후로 줄곧 ‘선학(禪學)’으로 치부되었다. 이런 상황에 더하여 박세채는 육왕학이 유행한 이후로 명나라의 유풍(儒風)이 일어나지 못한 것을 보면서, 조선도 명나라처럼 되는 것이 아닐까 우려했다. 이 같은 이유로 박세채의 학문성향은 도통을 중시하는 벽이단적 성향을 띄게 되었다.
    한편 그의 제자인 정제두는 홀로 양명학을 탐독한 후 이를 토대로 학술체계를 세웠으며, 자신의 견해를 스승인 박세채에게 전하였다. 정제두가 학술체계를 세운 만큼 박세채도 논리적으로 대응해야 했는데, 그 결과물이 바로 「왕양명학변」이다. 「왕양명학변」에서 박세채는 『대학고본』, 「대학문」, ‘치양지’, 「주자만년정론」을 대상으로 순차적으로 변론을 진행한다. 이것은 양명학의 출발점과 집대성, 다시 말해 양명학과 주자학이 괴리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던 왕수인의 학술 전개 과정 전부를 변척 대상으로 삼은 것이다. 또한 ‘격물’에서부터 양명학의 요체인 ‘치양지’에 이르기까지 왕수인의 문집으로부터 선별한 전거를 제시하고 그에 대해 반박하면서 치밀하게 비판하고 있다.
    박세채의 양명학 비판도 비록 이황의 변척과 마찬가지로 ‘양명학은 선학이다.’라는 관점으로 귀결되지만, ① 치양지에 대한 분석이 시도된 점, ② 왕수인 만년 시기의 저술을 비판의 대상으로 선정한 점, ③ 양명학에 대한 비판을 왕수인의 문집까지 탐독한 후 도출하였다는 점 등에서 차별성을 확보한다. 결과적으로 박세채의 변척은 오히려 정제두가 양명학에 대한 고유한 이론체계를 발전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한국양명학을 대표하는 강화학파가 형성되는 데도 일정 부분 기여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critical perception of Yang-Ming Studies by Park Se-Chae(朴世采), who was pointed out as the leader of "Soryon(小論)".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Joseon had a Neo-Confucianism(朱子學), view of Ritual theory(禮學) and at the same time a Post Neo-Confucianism(脫朱子學) trend was taking place. Therefore, the conflict and differentiation between the nobility were also intensifying due to the perception of the times based on academic differences.
    In Joseon academia, Yang-Ming Studies was regarded to have inherited Lu Jiuyuan's(陸九淵) Xinjili(心卽理), and had been dismissed as a Soenhak(禪學) ever since Yi Hwang's criticism of Yang-Ming Studies. In addition to this situation, Park Se-Chae was concerned that Joseon would become like Ming Dynasty, seeing that the Confucianism of the Ming Dynasty had not flousrished since Lu-Wang xue(陸王學) became popular. For this reason, Park Se-Chae's academic tendency had grown to reject heresy, which valued Confucian Orthodoxy(道統) Meanwhile, his disciple Jeong Je-Du(鄭齊斗) studied Yang-Ming Studies by himself and established an academic system based on it, delivering his views to his teacher, Pak Se-chae. As Jeongjedu(鄭齊斗) established an academic system, Park Se-Chae had to respond logically, and the result was the "Wang Yangming's Scholarly Discrimination(王陽明學辨)". In the "Wang Yangming's Scholarly Discrimination" Park Se-Chae conducted a series of arguments for the "the Ancient Text Daxue(古本大學)", "Daxuewen(大學問)", "Zhiliangzhi(致良知)" and "Zhu xi in later life(朱子晩年定論)". This is a criticism of Wang Shouren(王守仁)'s entire academic development process, which wa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 of Yang-Ming Studies's starting point and collectivity, the gap between Yang-Ming Studies and Neo-Confucianism. He, Park Se-Chae, also presented selected premises from Wang Shouren's collection of writings and refuted them carefully, ranging from "Gewu(格物)" to "Zhiliangzhi" a key element of Yang-Ming Studies.
    Park Se-Chae's criticism of Yang-Ming Studies also came down to the perspective that 'Yang-Ming Studies is Soenhak’ as Yi Hwang's alteration. However, the following three distinctions had been ensured : ① the analysis of 'Zhiliangzhi' was attempted, ② Wang Shouren's works were selected as a target of criticism, ③ Criticism of 'Yang-Ming Studies was derived after reading Wang Shouren’s collection of writings. As a result, the transformation of Park Se-Chae rather served as an opportunity for Jeong Je-doo to develop his own theoretical system for Yang-Ming Studies, and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a Ganghwa school(江華學派) representing Korean Yang-Ming Stud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8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4 오후